728x90
반응형

표준어 비표준어 63

개다 vs 개이다

(문제) 날씨가 활짝 개다 vs 날씨가 활짝 개이다  정답: 개다(o)  - [동사] 흐리거나 궃은 날씨가 맑아지다.  - 언짢거나 우울한 마음이 개운하고 홀가분해지다.  ex)    · 날이 개다.    · 비가 개다.    · 날씨가 활짝 개다.    · 기분이 개다.    · 네가 그렇게 위로를 해 주니 내 마음이 좀 개는구나. cf. ‘개이다’는 ‘개다’에 피동 접미사 ‘-이-’를 불필요하게 덧붙인 것이므로 규범에 어긋난 표기이다. 따라서 ‘날씨가 활짝 개였다’는 ‘날씨가 활짝 개었다’로, ‘활짝 개인 하늘’은 ‘활짝 갠 하늘’로 적어야 한다. 출처: 개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1.05

비렁뱅이질 vs 비럭질

(문제) 길에서 비렁뱅이질을 하는 사람을 보았다 vs 길에서 비럭길 하는 사람을 보았다  정답: 비럭질(o)  - [명사] 남에게 구걸하는 짓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발음[비럭찔]  - 비렁뱅이질(x)  ex)    · 그들을 생활이 곤란해지자 비럭질을 나서기로 하였다.    · 육신이 멀쩡한 젊은 놈이 할 짓이 없어서 비럭질이야? 출처: 비럭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비렁뱅이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1.04

확율 vs 확률

정답: 확률 2음절 이하에 쓰일 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률, 렬'은 '열, 율'로 적어야 하지만, 'ㄱ'로 끝나기에 '확률'이라 적습니다. 왜 "확률"이 맞는가?한자어 구성:"확실하다"를 뜻하는 確(굳을 확)"비율"을 뜻하는 率(비율 률/율)두 단어를 결합하여 확률(確率)이 됩니다.두음법칙 적용 규칙:한자어에서 "률/렬"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만 "율/열"로 바뀝니다.왜 "확율"은 틀린 표현인가?"율"은 두음법칙에 의해 바뀌는 경우만 사용되므로, "확률"을 "확율"로 바꾸는 것은 규칙에 어긋납니다."확률"이라는 단어에서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확률"이 올바른 표기입니다.올바른 사용 예문"합격할 확률은 50%입니다.""이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해 봅시다."😊 표준어 "확..

우리말doit 2025.01.03

무난하다 vs 문안하다

1. 무난하다 (無難하다)의미: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고 순조롭거나 평범하다.성격이나 태도가 원만해서 누구와도 잘 어울릴 수 있다.어원: 한자 "無(없을 무)" + "難(어려움 난)" = 어려움이 없다.사용 예문:"무난한 디자인이라 누구나 좋아할 거야.""그는 대인관계에서 무난한 편이다.""오늘 면접은 무난하게 끝났다."2. 문안하다 (問安하다)의미:웃어른이나 친지에게 안부를 여쭙거나 안녕을 묻다.예의를 갖춰 인사를 드리다.어원: 한자 "問(물을 문)" + "安(편안할 안)" = 안부를 묻다.사용 예문:"설날에 부모님께 문안 인사를 드렸다.""오랜만에 찾아뵙고 문안해야겠다."차이점 요약정리"무난하다": 문제나 어려움이 없는 상태를 표현."문안하다": 웃어른이나 친지에게 안부를 여쭙는 행위.두 단어를 문맥에..

우리말doit 2025.01.02

어깃장 vs 어깃짱

어깃장과 어깃짱 중에서 표준어는 어깃장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어깃장표준어: 어깃장의미:남의 말이나 행동에 고분고분 따르지 않고 반대로 어기거나 방해하는 태도나 행동을 의미합니다.주로 반항하거나 고의로 반대되는 행동을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예문:"그는 회의 중 계속 어깃장을 놓으며 논의를 방해했다.""어깃장을 놓지 말고 협조 좀 해라."2. 어깃짱비표준어: 어깃짱은 잘못된 표현입니다.발음상의 착오로 인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표준어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요약올바른 표현은 어깃장이며, 문맥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7

인두껍 vs 인두겁

인두껍과 인두겁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표준어는 인두겁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인두겁표준어: 인두겁의미:사람의 겉모습이나 얼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특히 사람의 탈을 쓴 겉모습을 뜻하며, 부정적인 의미로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사람답지 못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비난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어원:'인두(人頭)'는 사람의 머리, '겁'은 껍데기를 뜻하므로, '사람의 껍데기'라는 의미입니다.예문:"인두겁을 쓰고도 그런 짓을 하다니, 정말 사람이라고 볼 수 없다.""인두겁만 썼을 뿐, 그 행동은 짐승보다 못하다."2. 인두껍비표준어: 인두껍은 잘못된 표현입니다.'껍'은 '껍데기'를 뜻하기는 하지만, 표준어로는 인두겁만이 인정됩니다.요약 따라서 올바른 표현은 인두겁입니다. 😊

우리말doit 2024.12.27

족대 vs 쪽대

족대와 쪽대는 둘 다 비슷한 발음이지만, 실제로는 족대는 표준어로 존재하는 반면, 쪽대는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아래에서 정확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족대의미:물고기나 작은 수생 동물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주로 그물망이 달린 막대로, 얕은 물가에서 물고기, 새우, 게 등을 잡는 데 사용됩니다.전통적인 어업 도구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예문:"그는 족대를 들고 냇가로 갔다.""족대질로 작은 물고기를 잡았다."2. 쪽대의미:표준어로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만약 특정 지역이나 구어체에서 사용된다면 그 의미를 문맥에 따라 유추해야 합니다.흔히 발음상의 착오로 혼동되거나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결론족대: 표준어로, 물고기를 잡는 도구를 의미.쪽대: 표준어가 아니며, 특정 맥락이나 방언일..

우리말doit 2024.12.27

다디달다 vs 달디달다

"다디달다"와 "달디달다"는 모두 "아주 달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지만, 표준어는 "다디달다"입니다.1. 다디달다표준어로, "매우 달다" 또는 "아주 달콤하다"는 뜻.일반적으로 과일이나 음료처럼 단맛이 강한 음식을 표현할 때 사용.예문:이 꿀은 다디달다.봄에 나는 딸기가 다디달아서 맛있다.2. 달디달다비표준어로, "다디달다"의 잘못된 형태.발음상의 혼동으로 종종 사용되지만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음.3. 어원 및 형태"다디달다"는 강조의 접두사 '다디-'가 붙어 단맛을 강조한 표현입니다. '다디-'는 고유어로서, 같은 방식의 표현이 몇 가지 더 있습니다:다디달다 (아주 달다)다디다시다 (아주 맛이 좋다)올바른 사용표준어인 "다디달다"를 사용하며, "달디달다"는 잘못된 표현임을 주의해야 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6

젬병 vs 잼병

"젬병"과 "잼병"은 우리말에서 혼동되기 쉬운 표현이지만, 표준어로 인정된 표현은 "젬병"입니다.이 표현은 특정 분야나 기술에 대해 능력이 부족하거나 서툴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1. 젬병의 의미표준어: 젬병뜻: 어떤 일에 서투르거나 능력이 없는 사람 또는 그런 상태.예: "나는 요리에 젬병이다." (요리에 서툴다는 의미)2. 어원"젬병"은 불분명한 어원을 가지고 있지만, 국어학적으로 '잼병'이 변형된 발음으로 굳어진 표현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과거 병(甁, 병)을 접미사처럼 사용하여 "무언가가 부족하다"는 뜻으로 쓰이던 관용적인 표현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3. 잼병과의 차이잼병은 비표준어입니다.두 단어는 발음과 쓰임새가 비슷해 혼용되지만, 표준어로는 "젬병"만 사용해야 합니다.4. 예문"나는 ..

우리말doit 2024.12.25

플래카드 vs 플랭카드

"플래카드"가 표준어이고, "플랭카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아래에서 두 표현의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플래카드" (표준어)정의플래카드 (placard)는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주로 글씨나 메시지가 적힌 큰 천이나 판을 걸어놓아 홍보, 광고, 항의, 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구를 뜻합니다.사용 예문"행사장 입구에 축하 플래카드가 걸려 있었다.""그는 시위에서 커다란 플래카드를 들고 구호를 외쳤다."2. "플랭카드" (비표준어)"플래카드"의 발음을 잘못 옮겨 적은 비표준 표현입니다.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placard는 "플래카드"로 표기해야 올바릅니다.3. 왜 "플래카드"가 맞는 표현인가?외래어 표기법외래어 표기법은 원어 발음을 최대한 반영하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

우리말doit 2024.12.0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