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말 맞춤법 263

찜찜하다 vs 찝찝하다

찜찜하다  - [형용사] 마음에 꺼림칙한 느낌이 있다.  ex)    · 일을 하다 말았더니 기분이 왠지 찜찜하다.    · 우리는 그를 혼자 두고 떠나기가 못내 찜찜하였다. 찝찝하다  - [형용사] 개운하지 않고 무엇인가 마음에 걸리는 데가 있다.  ex)    · 그와의 약속을 막상 미루고 나니 마음이 찝찝하긴 하다.    · 나는 해야 할 일을 다 끝내지 못해 찝찝한 마음으로 집에 돌아왔다.    · 나는 왠지 그 일에 손을 대기가 찝찝해서 망설이고 있던 차였다.  출처: 찜찜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찝찝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3

천둥벌거숭이란?

[명사]  - 철없이 두려운 줄 모르고 함부로 덤벙거리거나 날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ex)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더니, 어디서 또 이런 천둥벌거숭이들이 뛰어들지?    · 천둥벌거숭이 같은 자식 놈을 생각하니 눈앞이 캄캄한 느낌입니다. 1. 사람을 비유하는 뜻 (비유적 표현)철없이 덤벙대거나 막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특히, 예의가 없거나 서투른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예시:"그 친구는 너무 덤벙거려서 마치 천둥벌거숭이 같아.""처음 도시로 나온 촌뜨기처럼 천둥벌거숭이처럼 굴지 마."2. 생물학적 의미 (실제 생물과 관련된 표현)애벌레 상태에서 성충이 된 지 얼마 안 된 곤충을 가리키기도 합니다.갑자기 성충이 되어 아직 날개도 단단하지 않고 적응이..

우리말doit 2025.03.02

원래 vs 월래

원래  - [명사]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  =본디.  - [부사] 처음부터 또는 근본부터. =본디.  - 元來/原來(으뜸 원 / 올 래 / 근원 원 / 올 래)  ex)    · 원래의 가격보다 훨씬 싸다.    · 계획은 원래대로 진행되었다.    · 원래부터 흰머리가 많던 설 박사는 지금은 머리털 전체가 하얀 은빛의 백발이 되어 버렸다.    · 그는 원래 서울 사람이다.    · 원래 기술 좋은 장인은 연장 탓하지 않는 법이다.    · 원래 네 물건이던 것을 저 마네킹이 강제로 빼앗아 갔으므로 그것을 되돌려받는다고만 생각해라.  월래  - [명사] 지난달 이래 지금까지 이르는 동안.  - 月來(달 월 / 올 래)  ex)    · 작업을 월래 해 오고 있지만, 예상보다 힘들어서 진척이 ..

우리말doit 2025.03.02

머리돌 vs 머릿돌

(문제) 건물 앞에 머리돌을 세웠다 vs 건물 앞에 머릿돌을 세웠다  정답: 머릿돌(o)  - [명사] 『건설』 정초식(定礎式) 때, 연월일 따위를 새겨서 일정한 자리에 앉히는 돌.  - 발음[머리똘/머릳똘]  - 머리돌(x)  ex)    · 머릿돌을 얹다. 출처: 머릿돌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사이시옷 규정에 따른 설명국립국어원의 사이시옷 표기 원칙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사이시옷을 받습니다.합성어일 것‘머릿돌’ = ‘머리’ + ‘돌’ → 합성어 ✅앞 단어가 순우리말일 것‘머리’(순우리말) + ‘돌’(순우리말) → ✅뒷 단어가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거나 된소리, 거센소리가 날 것‘돌’은 ‘ㄷ’으로 시작하는 단어 → ✅실제 발음: [머리똘] (된소..

우리말doit 2025.02.27

염두에 vs 염두해

(문제) 복귀를 염두에 두다 vs 복귀를 염두해 두다  정답: 염두에(o) cf. '염두'는 '생각할 때 있어서 가장 우선 순위'라는 뜻을 가진 단어이므로, '염두에 두다'라고 해야 바른 표현입니다. 📍 "염두에 두다" vs "염두해 두다" 차이점표현표준어 여부의미예문"염두에 두다"✅ 표준어마음속에 기억하고 생각해 둠"그 점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세우세요.""염두해 두다"🚫 비표준어"염두에 두다"의 잘못된 표현❌ (틀린 표현)📍 왜 "염두에 두다"가 맞을까?"염두(念頭)"는 한자어로 "생각의 머리"라는 뜻"염두" 자체가 명사이므로, "~에 두다"처럼 조사 "에"가 붙어야 자연스러움."염두하다"라는 동사는 존재하지 않음따라서 "염두해 두다"는 잘못된 표현!📌 결론✔ "염두에 두다"가 맞는 표현!✔ ..

우리말doit 2025.02.24

집게발 vs 집개발

(문제) 게는 집게발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vs 게는 집개발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정답: 집게발(o)  - [명사] 『동물』 게, 가재 따위의 발끝이 집게처럼 생긴 발. ≒협각.  - 발음[집께발]  - 집개발(x) cf. 집게  - [명사] 물건을 집는 데 쓴느, 끝이 두 가닥으로 갈라진 도구.  - 『의학』 날이 서지 않은 가위 모양으로 생긴 외과 수술 기구. 조직이나 기관을 집어서 누르거나 고정하는 데에 쓴다. 분만 집게, 지혈 집게 따위가 있다. ≒겸자.   출처: 집게발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집게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2.22

보다싶이 vs 보다시피

(문제) 보다싶이 이제 시작이야 vs 보다시피 이제 시작이야  정답: 보다시피(o)  cf. 동사 '보다'의 어간 '보-'에 '-는 바와 같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다시피'가 결합하면, '보다시피'가 됩니다. 📍 "보다시피" vs "보다싶이" 차이점"보다시피"✅ 표준어직접 보아서 알 수 있듯이"보다시피 여기는 아주 깨끗한 곳입니다.""보다싶이"🚫 비표준어"보다시피"의 잘못된 형태❌ (틀린 표현) 📍 왜 "보다싶이"는 틀릴까?"-싶이"라는 어미는 존재하지 않음"싶다"와 혼동하여 잘못된 형태가 굳어진 것   미 "-다시피"의 의미와 용법✅ "-다시피"는 주로 동사 어간에 붙어, 어떤 사실을 경험하거나 간접적으로 인지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문장에서 "이미 알고 있듯이", "직접 경험..

우리말doit 2025.02.21

-구만 vs -구먼

(문제) 학교가 참 크구만 vs 학교가 참 크구먼  정답: -구먼(o)  - [어미] '-군'의 본말  ex)    · 그것참, 그럴듯한 생각이구먼그래.    · 가지가 실하니 열매도 많이 열리겠구먼. cf. ‘-구먼’이 표준어이고 ‘-구면’은 비표준어이다. 이는 일부 단어의 경우,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10항)에 따른 것이다. cf -군  - [어미] ((‘이다’의 어간,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뒤에는 보조사 ‘요’가 오기도 한다.  - '-구나'의 준말  출처: -구먼 사전 - 내용 보기 ..

우리말doit 2025.02.20

술보 vs 술고래

(문제) 그는 술을 정말 많이 마시는 술보다 vs 그는 술을 정말 많이 마시는 술고래다  정답: 술고래(o)  - [명사] 술을 아주 많이 마시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래.  - 술보(x)  ex)    · 그는 마셨다 하면 소주 서너 병은 마시는 술고래이다.    · 저렇게 매일 술에 절어 사는 술고래와 결혼을 하라니, 전 절대 그럴 수 없어요. cf. ‘술고래’가 표준어이고 ‘술꾸러기’, ‘술보’, ‘술부대’, ‘술푸대’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5항)에 따른 것이다.

우리말doit 2025.02.14

전채 vs 전체

(문제) 전채 요리로 입맛을 돋우다 vs 전체 요리로 입맛을 돋우다  정답: 전채(o)  - [명사] 서양 요리에서, 식욕을 돋우기 위하여 식사 전에 나오는 간단한 요리. 또는 술안주로 먹는 간단한 요리. =오르되브르.  - 前菜(앞 전 / 나물 채)  ex)    · 프랑스의 전채 요리는 맛도 좋지만 모양이 매우 화려하다.    · 주요리 전에 전채가 나오는 게 일반적이다.    · 이곳에서는 홍합이 전채로 나오며 샐러드 바는 무료다.  cf. 전체  - [명사] 개 또는 부분의 집합으로 구성된 것을 몰아서 하나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에 바로 그 대상.\  - 全體(온전할 전 / 몸 체)  ex)    · 국가 전체.    · 가뭄으로 마을 저네가 황폐해졌다.    · 날림으로 지은 집이라 조금만 볕이 ..

우리말doit 2025.01.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