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말 517

설레임 vs 설렘

"설렘" vs. "설레임" 비교설렘 (⭕ 표준어)설레임 (❌ 비표준어)어원"설레다"의 명사형잘못된 형태어미 변화"설레다" → "설렘""설레임" 형태는 문법적으로 어색표준어 여부✅ 표준어❌ 비표준어 (잘못된 표현)📌 왜 "설렘"이 맞을까?동사 "설레다"의 명사형은 "-ㅁ"이 붙어서 "설렘"이 됨.예) 떨리다 → 떨림, 흐리다 → 흐림"설레임"처럼 "-임"을 붙이면 비문법적인 형태가 됨.예) "떨리임❌", "흐리임❌" 같은 형태는 쓰지 않음!따라서 "설렘"이 맞는 표현이고, "설레임"은 잘못된 표현임!✅ "설렘" 예문"첫사랑을 다시 만난다는 생각에 가슴이 설렘으로 가득 찼다.""여행을 떠나기 전날 밤의 설렘은 언제나 특별하다.""설렘을 안고 새로운 직장에서 첫 출근을 했다."🚫 (잘못된 예문)"첫사랑을 ..

우리말doit 2025.03.16

통털어 vs 통틀어

(문제) 남녀 통털어 최고이다 vs 남녀 통틀어 최고이다  정답: 통틀어(o)  - [부사] 있는 대로 모두 합하여.  - 통털어(x)  ex)    · 38선 경비 중대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이제 통틀어 박노익과 자기 두 사람뿐이다.    · 햇빛이 유난히 넉넉하고 도타운 집이었다. 통틀어 두세 평 정도의 햇빛 속의 광경이 뭔가 눈부셨다. cf. 통틀다  - [동사] 있는 대로 모두 한데 묶다.  ex)    · 있는 돈을 통틀면 천만 원쯤 된다.    · 부여와 공주를 통틀고 나서도 아직 3천에선 3백여 명이 모자랐다. -> 활용 : 통틀어, 통트니, 통트오 출처: 통틀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통틀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7

장마철 vs 장맛철

(문제) 장마철 대비 타이어 교체 vs 장맛철 대비 타이어 교체  정답: 장마철(o)  - [명사] 장마가 지는 철.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6월 말부터 8월 초이다. ≒장마기.  - 발음[장마철]  - 장맛철(x)  ex)    · 장마철로 접어들면서 마을 사람들은 연일 강둑에 나가서 무너진 둑을 쌓고 허술한 곳을 메우곤 했었지만....    · 유월 초순, 장마철은 아직 이른 것 같은데, 사흘간 궃은 날씨가 계속되었다. cf.예문"올해 장마철에는 비가 많이 올 거라고 해." (⭕ 올바른 표현)"올해 장맛철에는 습기가 많을 거야." (❌ 잘못된 표현)💡 비슷한 예시:"장마비" (⭕) vs. "장맛비" (❌) 출처: 장마철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6

흑역사 vs 흙역사

(문제) 그날은 지우고 싶은 흑역사다 vs 그날은 지우고 싶은 흙역사다  정답: 흑역사(o) "흑역사"의 뜻"흑(黑)"(검다, 어둡다) + "역사"(과거의 일)"부끄럽거나 감추고 싶은 과거"를 의미하는 단어일본어 "黒歴史(くろれきし, 쿠로레키시)"에서 유래된 표현✅ 예문"중학교 때 썼던 시를 다시 보니 완전 흑역사야.""저때 왜 저런 옷을 입었을까? 완전 흑역사지.""흙역사"는 잘못된 표현! 🚫"흙(soil, dirt) + 역사"는 어색한 조합"흙"과 "역사"를 조합하면 "흙과 관련된 역사"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음따라서 "흙역사"라는 표현은 표준어가 아니며, "흑역사"가 올바른 표현! 😊

우리말doit 2025.03.05

천정부지 vs 천장부지

(문제)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 vs 천장부지로 치솟는 물가  정답: 천정부지(o)  - [명사]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물가 따위가 한없이 오르기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井不知(하늘 천 / 우물 정 / 아니 불 / 알 지)  - 천장부지(x)  ex)    · 외촌동은 하루아침에 미군이 철수해 버린 기지촌처럼 썰렁해졌었고, 여태까지 천정부지로 뛰어오르던 땅값은 폭락하여 버렸었다.   cf. '천장'의 의미로 '천정'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천장'만 표준어로 사용합니다. 다만 '천정부지(天井不知)'는 널리 쓰이므로 표준어로 인정합니다.   출처: 천정부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2.19

여의다 vs 여위다

(문제) 아버지를 여의고 슬픔에 빠졌다 vs 아버지를 여위고 슬픔에 빠졌다  정답: 여의다(o)  - [동사]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  - 딸을 시집보내다.  - 멀리 떠나보내다.  ex)    · 그는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자랐다.    · 막내딸을 여의다.    · 일체의 번뇌를 여의다. cf. 여위다  - [동사] 몸의 살이 빠져 파리하게 되다.  - 살림살이가 매우 가난하고 구차하게 되다.  - 빛이나 소리 따위가 점점 작아지거나 어렴풋해지다.  - 땅이나 강 따위가 부피가 줄어들고 메말라지다.  ex)    · 오래 앓아서인지 얼굴을 홀쭉하게 여위고 두 눈만 퀭하였다.    · 푸른빛이 가지가지마다 철철 흐르는 듯하던 녹음도 이제는 쌀쌀한 바람을 맞아 빛이 여위고 몸이 ..

우리말doit 2025.02.18

열두째 vs 열둘째

(문제) 내 자리는 앞에서 열두째 줄에 있다 vs 내 자리는 앞에서 열둘째 줄에 있다  정답: 열두째(o)  - [수사] 순서가 열두 번째가 되는 차례.  - [관형사] 순서가 열두 번째가 되는 차례의.  - [명사] 열둘째.   cf. ‘열두째’가 표준어이고 ‘열둘째’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둘째’는 십 단위 이상의 서수사에 쓰일 때에 ‘두째’로 한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6항)에 따른 것이다. ‘열두 개째’의 뜻으로 쓸 때는 ‘열둘째’가 표준어이다. 📍 "열두째" vs "열둘째" 차이점"열두째" (✅ 표준어)서수(順序, 순서를 나타내는 말)첫째, 둘째, 셋째… 열두째처럼 차례를 나타낼 때 사용예) "그는 우리 반에서 열두째로 발표했다.""열둘째" (🚫 비표준어)"열둘"은 수량을 나타내는 말이..

우리말doit 2025.02.17

허리춤 vs 허릿춤

(문제) 허리춤에 손을 올리고 춤을 췄다 vs 허릿춤에 손을 올리고 춤을 췄다  정답: 허리춤(o)  - [명사] 바지나 치마처럼 허리가 있는 옷의 허리 안쪽. 곧 그 옷과 속옷 또는 그 옷과 살의 사이. ≒요하, 춤.  - 허릿춤(x)  ex)    · 허리춤을 추키다.    · 허리춤에 손을 찔러 넣다.    · 담뱃대를 허리춤에 꽂다.  출처: 허리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허리춤"이 표준어인 이유는 사이시옷 표기 규정에 따라 사이시옷을 넣을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1. 사이시옷 규정 개요국립국어원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에 따르면,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서 하나의 단어를 이룰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조건순우리말 +..

우리말doit 2025.02.15

윽박지르다 vs 욱박지르다

(문제) 잘못한 아이를 윽박질렀다 vs 잘못한 아이를 욱박질렀다  정답: 윽박지르다(o)  - [동사] 심하게 짓눌러 기를 꺾다.  - 발음[윽빡찌르다]  - 욱박지르다(x)  ex)    · 애들하고 좀 싸웠다고 그 앨 너무 윽박지르지 마요.    · 부모님이 아이에게 숙제하라고 윽박지른다.    · 상사가 직원에게 실수했다고 윽박지른다.    출처: 윽박지르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2.13

노동양 vs 노동량

(문제) 우리나라 평균 노동양 vs 우리나라 평균 노동양  정답: 노동량(o)  cf. '노동량'이 맞습니다. '량'은 한자어 다음에, '양'은 한자어를 제외한 고유어와 외래어 다음에 결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량"과 "양"의 구분 원칙"량(量)" → 한자어 다음에 붙음노동량, 배설량, 이동량, 소비량, 생산량"양(量)" → 고유어, 외래어 다음에 붙음커피 양, 칼로리 양, 데이터 양💡 기억하기 쉬운 팁:한자어 + 량고유어·외래어 + 양

우리말doit 2025.02.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