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글맞춤법 10

머릿말 vs 머리말

(문제) 작가가 쓴 머릿말에 나와 vs 작가가 쓴 머리말에 나와  정답: 머리말(o)  - [명사]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두서, 머리글, 서기, 서문, 서언, 서제.  - 말이나 글 따위에서 본격적인 논의를 하기 위한 실마리가 되는 부분. =서론.  - 발음[머리말]  - 머릿말(x)  ex)    · 나는 책을 읽을 때 머리말을 먼저 읽는다.    · 이 글을 머리말, 본문, 맺음말로 나누어 보자. cf.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라, ‘머리말’은 [머리말]로 발음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인사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인산말]로 발음되지 않고 [인사말]로 발음된다. ‘예사소리’도 마찬가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cf. 사..

우리말doit 2024.07.19

얼룩빼기 vs 얼룩배기

(문제) 저기 얼룩빼기 송아지가 있어 vs 저기 얼룩배기 송아지가 있어  정답: 얼룩빼기(o)  - [명사] 겉이 얼룩얼룩한 동물이나 물건.  - 발음[얼룩빼기]  - 얼룩배기(x)  ex)    · 치마를 만들 옷감이라면 저 얼룩빼기가 좋겠구나.    · 어머니께서는 얼룩빼기 송아지 한 마리를 사 오셨다.    · 동생은 강아지 중에서 얼룩빼기를 제일 좋아한다. ※ ‘-배기/-빼기’가 혼동될 수 있는 단어는, 첫째 [배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로 적고, 둘째 한 형태소 내부에 있어서, ‘ㄱ, ㅂ’ 받침 뒤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로 적으며, 셋째 다른 형태소 뒤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것은 모두 ‘-빼기’로 적는다. ‘얼룩배기/빼기’는 셋째 유형이므로 ‘얼룩빼기’로 적는다. 한글..

우리말doit 2024.05.09

백지장 vs 백짓장

(문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vs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  정답: 백지장(o)  - [명사] 하얀 종이의 낱장.  - 핏기가 없이 창백한 얼굴빛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종잇장.  - 발음[백찌짱]  - 白紙張(흰 백 / 종이 지 / 베풀 장)  - 백짓장(x)  ex)    · 시험지를 받으니, 내 머릿속이 백지장처럼 하얗게 변했다.    · 그 신인 연기자는 배우로서의 자신을 잭지장 상태와 같다고 말했다. ※  '백지장'으로 적습니다. 한자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예외)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곳간(庫間)셋방(貰房)숫자(數字)찻간(車間)툇간(退間)횟수(回數)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

우리말doit 2024.04.24

안밖 vs 안팎

(문제) 집 안밖을 청소하다 vs 집 안팎을 청소하다 정답: 안팎(o) - [명사] 사물이나 영역의 안과 밖. - 마음속의 생각과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 남편과 아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부부. - 어떤 수량이나 기준에 조금 모자라거나 넘치는 정도. - 안밖(x) ex) · 나라 안팎에서 성금을 모금하다. · 안팎이 다른 사람. · 그 집은 안팎이 모두 부지런하다. · 100여 명 안팎. ※ ‘안팎’은 ‘안’과 ‘밖’이 결합한 말이지만, ‘안밖’으로 적지 않고 ‘안팎’으로 적는다. 이는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 소리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 31항)에 따른 것이다. cf. 제31항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 소리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

우리말doit 2024.01.30

더욱이 vs 더우기

(문제) 이 집에는 문이 하나밖에 없는 데다 더욱이 매우 좁다 vs 이 집에는 문이 하나밖에 없는 데다 더우기 매우 좁다 정답: 더욱이(o) - [부사] 그러한 데다가 더. - 발음[더우기] - 더우기(x) ex) · 그 아이는 이 일을 하기에는 나이가 너무 어리고, 더욱이 몸도 너무 약하다. · 다행히 주위는 비교적 조용한 편이고, 더욱이 내 곁에 앉아 있는 남녀는 말 한마디 없어 · · ·. ※ ‘더욱이’는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부사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25항)에 따라 ‘더우기’로 적지 않고 ‘더욱이’로 적는다. 출처: 더욱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더우기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우리말doit 2023.11.20

대가 vs 댓가

(문제)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받다 vs 노동의 댓가로 임금을 받다 정답: 대가(o) - [명사] 물건의 값으로 치르는 돈. - 일을 하고 그에 대한 값으로 받는 보수. - 노력이나 희생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결과. 또는 일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하는 노력이나 희생. - 발음[대까] - 代價(대신할 대 / 값 가) - 댓가(x) ex) · 물품의 대가를 지불하다. ·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대가를 치러야 하는 법이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

우리말doit 2023.11.01

고삿고기 vs 고사고기

(문제) 일을 쉽게 수습하기 위해 그들은 고삿고기가 될 사람을 노리고 있었다 vs 일을 쉽게 수습하게 위해 그들을 고사고기가 될 사람을 노리고 있었다 정답: 고삿고기(o) - [명사] 책임을 혼자 뒤집어쓰고 희생되는 사물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告祀고기(알리다 고 / 제사 사) - 발음[고사꼬기 / 고삳꼬기] - 고사고기(x) ex) · 맨 먼저 짐짝에서 끄집어내는 것은 도끼와 톱과 칼이요, 맨 먼저 그의 칼날에 고삿고기 되는 것은 다른 것 아닌 이 나무들이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

우리말doit 2023.11.01

공부벌레 vs 공붓벌레

(문제) 공부벌레 경식이는 날마다 도서관에서 산다 vs 공붓벌레 경식이는 날마다 도서관에서 산다 정답: 공붓벌레(o) - [명사] 공부만 파고드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발음(공부뻘레 / 공붇뻘레) - 工夫벌레(장인 공 / 남편 부) - 공부벌레(x) ex) · 아까 걘 공붓벌레인 데다가 선생한텐 아첨 대장이라고.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

우리말doit 2023.10.31

누누이 vs 누누히

(문제) 누누이 말하다 vs 누누히 말하다 정답: 누누이(o) - [부사] 여러 번 자꾸. - 발음[누누이] - 누누히(x) ex) · 누누이 당부하다. · 누누이 타이르다. cf. -이 : 느긋이, 버젓이, 따뜻이, 의젓이, 반듯이, 깨끗이 -히 : 족히, 극히, 급히, 엄격히, 정확히, 특히, 속히, 솔직히, 출처: 누누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출처: 한글맞춤법 3장 6절 13항 한국어 어문 규범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30

전세방 vs 전셋방

전세방 vs 전셋방 정답: 전세방(o) - [명사] 전세를 받고 빌려주는 방. 또는 전세를 주고 빌려 쓰는 방. - '傳貰+房'(전할 전 / 세내다,빌리다 세 / 방 방) - 전셋방(x) ex) · 지하 전세방에서 살림을 시작한 지 10년 만에 집을 장만하였다. cf. 전세 - 남의 집이나 방을 빌어 쓸 때 그 임자에게 일정한 돈을 맡기고 빌어 쓰다가, 내놓을 때 그 돈을 다시 찾아가는 제도(制度). 또는 그 세(사용료(制度)) ※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경우는 크게보면 다음과 같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예외적으로 6개)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

우리말doit 2023.09.0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