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글맞춤법 18

부삽이란?

[명사]  - 아궁이나 화로의 재를 치거나, 숯불이나 불을 담아 옮기는 데 쓰는 조그마한 삽. 쇠붙이 따위로 네모가 지거나 둥글게 만들었는데, 바닥이 좀 우긋하고 자루가 달려 있다. ≒화삽.  ex)    · 그녀는 아궁이에서 부삽으로 불씨를 퍼내어 화로에 담았다. cf. ‘부삽’은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28항)에 따라 ‘불삽’으로 적지 않고 ‘부삽’으로 적는다. 한글 맞춤법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다달이(달-달-이)따님(딸-님)마되(말-되)마소(말-소)무자위(물-자위)바느질(바늘-질)부삽(불-삽)부손(불-손)싸전(쌀-전)..

우리말doit 2024.12.17

대거리 vs 댓거리 vs 대꺼리

(문제)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도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대거리가 있었다 vs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고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댓거리가 있었다vs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고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대꺼리가 있었다  정답: 대거리(o)  - [명사] 상대편에게 맞서서 대듦.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 서로 상대의 행동이나 말에 응하여 행동이나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행동이나 말.  - 댓거리(x)  - 대꺼리(x)  ex)    · 뱅골댁이 어떤 배신감 같은 것을 느끼며 한바탕 대거리를 벌일 것처럼 소리를 질러 댔다.    · 여러 번 점심이나 저녁을 얻어먹은 대거리로 마음먹고 택규를 대접하려는 것인가 싶기도 하지마는 ….  출처: 대거리 사전 - 내용 ..

우리말doit 2024.12.02

닷새 vs 닷세

(문제) 닷새 동안 교육을 받다 vs 닷세 동안 교육을 받다  정답: 닷새(o)  - [명사] 다섯 날.  - 매달 초하루부터 헤아려 다섯째 되는 날. =초닷샛날.  - 닷세(x)  ex)    · 친척 집에서 닷새를 지내다.    · 닷새 뒤에 다시 반납시다.    · 오늘이 닷새니까 이틀 후면 아버님께서 돌아오시겠구나. 출처: 닷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닷새 vs 닷세1. 표준어닷새: 표준어닷세: 비표준어2. 의미닷새: 5일을 의미하는 표준어입니다.예: "이번 주는 닷새 동안 일해야 한다."'닷'**은 '다섯'의 구어적인 표현이며, '새'는 '날'의 옛말입니다. 즉, "다섯 날"을 의미합니다.닷세: 잘못된 발음이거나 잘못된 표기입니다.이는 '닷새'를 잘못 표기하거나 발음한 ..

우리말doit 2024.12.01

시끌벅적 vs 시끌벅쩍

(문제) 시끌벅적한 잔치가 열렸다 vs 시끌벅쩍한 잔치가 열렸다  정답: 시끌벅적(o)  - [부사] 많은 사람들이 어수선하게 움직이며 시끄럽게 떠드는 모양.  - 발음[시끌벅쩍]  - 시끌벅쩍(x)  ex)    · 선생님이 나가자 아이들은 시끌벅적 떠들어 대기 시작하였다."시끌벅적"과 "시끌벅쩍" 중에서 올바른 표기는 "시끌벅적"입니다.시끌벅적정의: 많은 사람들이 떠들거나 여러 가지 소리가 섞여 매우 시끄럽고 떠들썩한 상태를 뜻합니다.표준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올바른 표현입니다.예시: "시끌벅적한 시장은 활기가 넘친다."시끌벅쩍잘못된 표현: "시끌벅쩍"은 비표준어로, 흔히 잘못 사용되는 형태입니다.표준어 규정"벅적"은 "벅적대다"에서 온 말로, 떠들썩한 상태를 나타냅니다."벅쩍"이라는..

우리말doit 2024.11.24

흐뭇하다 vs 흐믓하다

(문제) 괜스레 내가 다 흐뭇하다 vs 괜스레 내가 다 흐믓하다  정답: 흐뭇하다(o)  - [형용사] 마음에 흡족하여 매우 만족스럽다.  - 흐믓하다(x)  ex)    · 흐뭇한 기분.    · 흐뭇한 표정을 짓다.    · 아버지는 잘 자란 자식들을 흐뭇하게 여기셨다.  출처: 흐뭇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흐뭇하다"와 "흐믓하다" 중 올바른 표현은 "흐뭇하다"입니다.흐뭇하다뜻: 만족스럽거나 마음에 들어 기쁜 상태를 표현하는 말입니다.어원: 순우리말로, 긍정적인 감정을 나타냅니다.사용 예시:"아이들이 잘 자라는 모습을 보니 참 흐뭇하다.""어르신들은 손자들의 선물을 받고 흐뭇한 미소를 지으셨다."흐믓하다?"흐믓하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표준국어대사전 등 국립국어원에서 인..

우리말doit 2024.11.17

핑계 vs 핑게

(문제) 괜한 핑계 대지 마 vs 괜한 핑게 대지 마  정답: 핑계(o)  - [명사] 내키지 아니하는 사태를 피하거나 사실을 감추려고 방패막이가 되는 다른 일을 내세움.  - 잘못한 일에 대하여 이리저리 돌려 말하는 구차한 변명.  - 핑게(x)  ex)    · 핑계를 삼다.    · 그는 바쁘다는 핑계로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다.    · 자꾸 핑계만 대지 말고 묻는 말에나 대답해. cf.‘핑계’는 ‘계’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8항)에 따라 ‘핑게’로 적지 않고 ‘핑계’로 적는다.  "핑계"와 "핑게" 중 올바른 표현은 "핑계"입니다.핑계뜻: 잘못이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구실이나 이유를 대는 것을 말합니다.어원: 순우리말로, 특정 한자어..

우리말doit 2024.11.17

진학률 vs 진학율

(문제) 대학 진학률이 정말 높구나 vs 대학 진학율이 정말 높구나  정답: 진학률(o)  - [명사] 졸업생 가운데서 상급 학교로 들어가는 비율.  - 進學率(나아갈 진 / 배울 학 / 율 률, 율 율)  - 진학율(x) cf.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률, 렬'로 적고 'ㄴ' 받침이나 모음 뒤에서는 '율, 열'로 적습니다. 받침이 없거나 'ㄴ'받침 율 비율, 실패율, 규율/ 선율, 전율, 백분율그 외의 받침 률 명중률, 합격률, 성공률, 슛률국어에서 두음 법칙은 어두에만 적용되고 제2음절 이하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문의하신 '률'과 '렬'은 이러한 두음 법칙의 예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2음절 이하에 쓰일 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률, 렬'은 '열, 율'로 적어야 ..

우리말doit 2024.09.30

머릿말 vs 머리말

(문제) 작가가 쓴 머릿말에 나와 vs 작가가 쓴 머리말에 나와  정답: 머리말(o)  - [명사]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두서, 머리글, 서기, 서문, 서언, 서제.  - 말이나 글 따위에서 본격적인 논의를 하기 위한 실마리가 되는 부분. =서론.  - 발음[머리말]  - 머릿말(x)  ex)    · 나는 책을 읽을 때 머리말을 먼저 읽는다.    · 이 글을 머리말, 본문, 맺음말로 나누어 보자. cf.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라, ‘머리말’은 [머리말]로 발음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인사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인산말]로 발음되지 않고 [인사말]로 발음된다. ‘예사소리’도 마찬가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cf. 사..

우리말doit 2024.07.19

얼룩빼기 vs 얼룩배기

(문제) 저기 얼룩빼기 송아지가 있어 vs 저기 얼룩배기 송아지가 있어  정답: 얼룩빼기(o)  - [명사] 겉이 얼룩얼룩한 동물이나 물건.  - 발음[얼룩빼기]  - 얼룩배기(x)  ex)    · 치마를 만들 옷감이라면 저 얼룩빼기가 좋겠구나.    · 어머니께서는 얼룩빼기 송아지 한 마리를 사 오셨다.    · 동생은 강아지 중에서 얼룩빼기를 제일 좋아한다. ※ ‘-배기/-빼기’가 혼동될 수 있는 단어는, 첫째 [배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로 적고, 둘째 한 형태소 내부에 있어서, ‘ㄱ, ㅂ’ 받침 뒤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경우는 ‘-배기’로 적으며, 셋째 다른 형태소 뒤에서 [빼기]로 발음되는 것은 모두 ‘-빼기’로 적는다. ‘얼룩배기/빼기’는 셋째 유형이므로 ‘얼룩빼기’로 적는다. 한글..

우리말doit 2024.05.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