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 퀴즈 167

장마철 vs 장맛철

(문제) 장마철 대비 타이어 교체 vs 장맛철 대비 타이어 교체  정답: 장마철(o)  - [명사] 장마가 지는 철.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6월 말부터 8월 초이다. ≒장마기.  - 발음[장마철]  - 장맛철(x)  ex)    · 장마철로 접어들면서 마을 사람들은 연일 강둑에 나가서 무너진 둑을 쌓고 허술한 곳을 메우곤 했었지만....    · 유월 초순, 장마철은 아직 이른 것 같은데, 사흘간 궃은 날씨가 계속되었다. cf.예문"올해 장마철에는 비가 많이 올 거라고 해." (⭕ 올바른 표현)"올해 장맛철에는 습기가 많을 거야." (❌ 잘못된 표현)💡 비슷한 예시:"장마비" (⭕) vs. "장맛비" (❌) 출처: 장마철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6

찜찜하다 vs 찝찝하다

찜찜하다  - [형용사] 마음에 꺼림칙한 느낌이 있다.  ex)    · 일을 하다 말았더니 기분이 왠지 찜찜하다.    · 우리는 그를 혼자 두고 떠나기가 못내 찜찜하였다. 찝찝하다  - [형용사] 개운하지 않고 무엇인가 마음에 걸리는 데가 있다.  ex)    · 그와의 약속을 막상 미루고 나니 마음이 찝찝하긴 하다.    · 나는 해야 할 일을 다 끝내지 못해 찝찝한 마음으로 집에 돌아왔다.    · 나는 왠지 그 일에 손을 대기가 찝찝해서 망설이고 있던 차였다.  출처: 찜찜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찝찝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3

천둥벌거숭이란?

[명사]  - 철없이 두려운 줄 모르고 함부로 덤벙거리거나 날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ex)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더니, 어디서 또 이런 천둥벌거숭이들이 뛰어들지?    · 천둥벌거숭이 같은 자식 놈을 생각하니 눈앞이 캄캄한 느낌입니다. 1. 사람을 비유하는 뜻 (비유적 표현)철없이 덤벙대거나 막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특히, 예의가 없거나 서투른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예시:"그 친구는 너무 덤벙거려서 마치 천둥벌거숭이 같아.""처음 도시로 나온 촌뜨기처럼 천둥벌거숭이처럼 굴지 마."2. 생물학적 의미 (실제 생물과 관련된 표현)애벌레 상태에서 성충이 된 지 얼마 안 된 곤충을 가리키기도 합니다.갑자기 성충이 되어 아직 날개도 단단하지 않고 적응이..

우리말doit 2025.03.02

원래 vs 월래

원래  - [명사]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  =본디.  - [부사] 처음부터 또는 근본부터. =본디.  - 元來/原來(으뜸 원 / 올 래 / 근원 원 / 올 래)  ex)    · 원래의 가격보다 훨씬 싸다.    · 계획은 원래대로 진행되었다.    · 원래부터 흰머리가 많던 설 박사는 지금은 머리털 전체가 하얀 은빛의 백발이 되어 버렸다.    · 그는 원래 서울 사람이다.    · 원래 기술 좋은 장인은 연장 탓하지 않는 법이다.    · 원래 네 물건이던 것을 저 마네킹이 강제로 빼앗아 갔으므로 그것을 되돌려받는다고만 생각해라.  월래  - [명사] 지난달 이래 지금까지 이르는 동안.  - 月來(달 월 / 올 래)  ex)    · 작업을 월래 해 오고 있지만, 예상보다 힘들어서 진척이 ..

우리말doit 2025.03.02

온종일 vs 왼종일

(문제) 온종일 비가 오다가 이제 그쳤다 vs 왼종일 비가 오다가 이제 그쳤다  정답: 온종일(o)  - [명사] 아침부터 저녁까지의 동안. ≒종일, 진일, 진종일.  - [부사] 아침부터 저녁까지 내내. ≒종일, 진종일.  - 온終日(마칠 종 / 날 일)  - 왼종일(x)  ex)    · 그 모진 추위에 온종일을 길바닥에서 보냈다.    · 온종일 굶다.    · 아궁이에 불을 넣고 방구석에 숯불을 피우고 나는 온종일 책상에서 일을 하고 있다.  cf. 혼용되고 있는 이중모음과 단모음 중 단모음을 현실적으로 인정하는 원칙에 따라 ‘왼’은 버리고, ‘온’만 표준어로 삼는다. 따라서 ‘왼종일’은 비표준어이고 ‘온종일’이 표준어이다. 표준어 규정 2장 2절 10항  제10항 다음 단어는 모음이 단순화한 ..

우리말doit 2025.02.28

집게발 vs 집개발

(문제) 게는 집게발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vs 게는 집개발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정답: 집게발(o)  - [명사] 『동물』 게, 가재 따위의 발끝이 집게처럼 생긴 발. ≒협각.  - 발음[집께발]  - 집개발(x) cf. 집게  - [명사] 물건을 집는 데 쓴느, 끝이 두 가닥으로 갈라진 도구.  - 『의학』 날이 서지 않은 가위 모양으로 생긴 외과 수술 기구. 조직이나 기관을 집어서 누르거나 고정하는 데에 쓴다. 분만 집게, 지혈 집게 따위가 있다. ≒겸자.   출처: 집게발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집게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2.22

보다싶이 vs 보다시피

(문제) 보다싶이 이제 시작이야 vs 보다시피 이제 시작이야  정답: 보다시피(o)  cf. 동사 '보다'의 어간 '보-'에 '-는 바와 같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다시피'가 결합하면, '보다시피'가 됩니다. 📍 "보다시피" vs "보다싶이" 차이점"보다시피"✅ 표준어직접 보아서 알 수 있듯이"보다시피 여기는 아주 깨끗한 곳입니다.""보다싶이"🚫 비표준어"보다시피"의 잘못된 형태❌ (틀린 표현) 📍 왜 "보다싶이"는 틀릴까?"-싶이"라는 어미는 존재하지 않음"싶다"와 혼동하여 잘못된 형태가 굳어진 것   미 "-다시피"의 의미와 용법✅ "-다시피"는 주로 동사 어간에 붙어, 어떤 사실을 경험하거나 간접적으로 인지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문장에서 "이미 알고 있듯이", "직접 경험..

우리말doit 2025.02.21

천정부지 vs 천장부지

(문제)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 vs 천장부지로 치솟는 물가  정답: 천정부지(o)  - [명사]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물가 따위가 한없이 오르기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天井不知(하늘 천 / 우물 정 / 아니 불 / 알 지)  - 천장부지(x)  ex)    · 외촌동은 하루아침에 미군이 철수해 버린 기지촌처럼 썰렁해졌었고, 여태까지 천정부지로 뛰어오르던 땅값은 폭락하여 버렸었다.   cf. '천장'의 의미로 '천정'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천장'만 표준어로 사용합니다. 다만 '천정부지(天井不知)'는 널리 쓰이므로 표준어로 인정합니다.   출처: 천정부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2.19

열두째 vs 열둘째

(문제) 내 자리는 앞에서 열두째 줄에 있다 vs 내 자리는 앞에서 열둘째 줄에 있다  정답: 열두째(o)  - [수사] 순서가 열두 번째가 되는 차례.  - [관형사] 순서가 열두 번째가 되는 차례의.  - [명사] 열둘째.   cf. ‘열두째’가 표준어이고 ‘열둘째’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둘째’는 십 단위 이상의 서수사에 쓰일 때에 ‘두째’로 한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6항)에 따른 것이다. ‘열두 개째’의 뜻으로 쓸 때는 ‘열둘째’가 표준어이다. 📍 "열두째" vs "열둘째" 차이점"열두째" (✅ 표준어)서수(順序, 순서를 나타내는 말)첫째, 둘째, 셋째… 열두째처럼 차례를 나타낼 때 사용예) "그는 우리 반에서 열두째로 발표했다.""열둘째" (🚫 비표준어)"열둘"은 수량을 나타내는 말이..

우리말doit 2025.02.17

허리춤 vs 허릿춤

(문제) 허리춤에 손을 올리고 춤을 췄다 vs 허릿춤에 손을 올리고 춤을 췄다  정답: 허리춤(o)  - [명사] 바지나 치마처럼 허리가 있는 옷의 허리 안쪽. 곧 그 옷과 속옷 또는 그 옷과 살의 사이. ≒요하, 춤.  - 허릿춤(x)  ex)    · 허리춤을 추키다.    · 허리춤에 손을 찔러 넣다.    · 담뱃대를 허리춤에 꽂다.  출처: 허리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허리춤"이 표준어인 이유는 사이시옷 표기 규정에 따라 사이시옷을 넣을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1. 사이시옷 규정 개요국립국어원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에 따르면,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서 하나의 단어를 이룰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조건순우리말 +..

우리말doit 2025.02.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