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 퀴즈 167

나아서 vs 낳아서

(문제) 감기가 나아서 살 것 같다 vs 감기가 낳아서 살 것 같다  정답: 나아서  - 감기가 나아서'가 맞습니다. 병이나 상처 등에 대해 말할 때는 '낫다'를 씁니다. 1. 나아서어원: 동사 "낫다"의 활용형의미:병이나 상처가 회복되다.이전 상태보다 더 좋아지다.활용:"낫다"에 연결어미 "-아서"가 붙어 "나아서"가 됩니다.예문:"감기가 다 나아서 기분이 좋아요." (병이나 상처가 회복됨)"이번 디자인이 전보다 나아서 만족합니다." (더 좋아짐)2. 낳아서어원: 동사 "낳다"의 활용형의미:아이나 동물을 출산하다.결과나 성과를 만들어 내다.활용:"낳다"에 연결어미 "-아서"가 붙어 "낳아서"가 됩니다.예문:"그녀는 세 아이를 낳아서 잘 키웠습니다." (출산)"열심히 노력한 결과 좋은 성과를 낳아서 뿌듯..

우리말doit 2025.01.06

개다 vs 개이다

(문제) 날씨가 활짝 개다 vs 날씨가 활짝 개이다  정답: 개다(o)  - [동사] 흐리거나 궃은 날씨가 맑아지다.  - 언짢거나 우울한 마음이 개운하고 홀가분해지다.  ex)    · 날이 개다.    · 비가 개다.    · 날씨가 활짝 개다.    · 기분이 개다.    · 네가 그렇게 위로를 해 주니 내 마음이 좀 개는구나. cf. ‘개이다’는 ‘개다’에 피동 접미사 ‘-이-’를 불필요하게 덧붙인 것이므로 규범에 어긋난 표기이다. 따라서 ‘날씨가 활짝 개였다’는 ‘날씨가 활짝 개었다’로, ‘활짝 개인 하늘’은 ‘활짝 갠 하늘’로 적어야 한다. 출처: 개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1.05

비렁뱅이질 vs 비럭질

(문제) 길에서 비렁뱅이질을 하는 사람을 보았다 vs 길에서 비럭길 하는 사람을 보았다  정답: 비럭질(o)  - [명사] 남에게 구걸하는 짓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발음[비럭찔]  - 비렁뱅이질(x)  ex)    · 그들을 생활이 곤란해지자 비럭질을 나서기로 하였다.    · 육신이 멀쩡한 젊은 놈이 할 짓이 없어서 비럭질이야? 출처: 비럭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비렁뱅이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1.04

확율 vs 확률

정답: 확률 2음절 이하에 쓰일 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률, 렬'은 '열, 율'로 적어야 하지만, 'ㄱ'로 끝나기에 '확률'이라 적습니다. 왜 "확률"이 맞는가?한자어 구성:"확실하다"를 뜻하는 確(굳을 확)"비율"을 뜻하는 率(비율 률/율)두 단어를 결합하여 확률(確率)이 됩니다.두음법칙 적용 규칙:한자어에서 "률/렬"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만 "율/열"로 바뀝니다.왜 "확율"은 틀린 표현인가?"율"은 두음법칙에 의해 바뀌는 경우만 사용되므로, "확률"을 "확율"로 바꾸는 것은 규칙에 어긋납니다."확률"이라는 단어에서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확률"이 올바른 표기입니다.올바른 사용 예문"합격할 확률은 50%입니다.""이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해 봅시다."😊 표준어 "확..

우리말doit 2025.01.03

무난하다 vs 문안하다

1. 무난하다 (無難하다)의미: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고 순조롭거나 평범하다.성격이나 태도가 원만해서 누구와도 잘 어울릴 수 있다.어원: 한자 "無(없을 무)" + "難(어려움 난)" = 어려움이 없다.사용 예문:"무난한 디자인이라 누구나 좋아할 거야.""그는 대인관계에서 무난한 편이다.""오늘 면접은 무난하게 끝났다."2. 문안하다 (問安하다)의미:웃어른이나 친지에게 안부를 여쭙거나 안녕을 묻다.예의를 갖춰 인사를 드리다.어원: 한자 "問(물을 문)" + "安(편안할 안)" = 안부를 묻다.사용 예문:"설날에 부모님께 문안 인사를 드렸다.""오랜만에 찾아뵙고 문안해야겠다."차이점 요약정리"무난하다": 문제나 어려움이 없는 상태를 표현."문안하다": 웃어른이나 친지에게 안부를 여쭙는 행위.두 단어를 문맥에..

우리말doit 2025.01.02

걷잡다 vs 겉잡다

1. 걷잡다의미: 억누르거나 통제하다, 또는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잡는 것을 뜻합니다.주로 사용되는 형태: "걷잡을 수 없다"라는 관용적 표현으로 많이 쓰입니다.어원: "걷-"은 "거두다, 잡다"라는 의미를 가진 고유어입니다.사용 예문:"감정을 걷잡을 수 없었다.""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졌다."2. 겉잡다의미: 대충 어림잡아 추측하거나 헤아리는 것을 뜻합니다.사용 맥락: 정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충 짐작하거나 추정할 때 사용됩니다.어원: "겉"은 표면적인 것, "잡다"는 계산하거나 헤아리다의 뜻.사용 예문:"겉잡아도 두 시간이 걸릴 일이다.""겉잡아서 생각했는데 결과는 달랐다."차이점 요약 정리"걷잡다": 상황을 억제하거나 통제하는 의미."겉잡다": 대충 어림잡아 ..

우리말doit 2025.01.01

연애 vs 연예

(문제) 청춘남녀의 재미있는 연애담 vs 청춘남녀의 재미있는 연예담  1. 연애 (戀愛)의미: 남녀 간의 사랑을 뜻하며, 주로 이성 간의 감정적 교류나 연인 관계를 의미합니다.어원: 한자 "戀(그리워할 연)" + "愛(사랑 애)".사용 예문:"둘은 오랫동안 연애를 해 왔다.""연애를 시작한 지 벌써 1년이 지났다."확장 의미: 이성 간의 사랑뿐 아니라, 어떤 대상을 열정적으로 사랑하거나 몰두하는 경우에도 쓰일 수 있음.예: "그의 연애는 책이었다." (책에 대한 사랑)2. 연예 (演藝)의미: 대중을 즐겁게 하기 위해 행하는 예술 활동, 즉 공연, 연기, 노래, 춤 등의 대중 예술을 뜻합니다.어원: 한자 "演(펼 연)" + "藝(예술 예)".사용 예문:"그는 연예계에서 활동 중인 배우다.""연예 기사를 읽..

우리말doit 2024.12.31

부항 vs 부황

(문제) 한의원에서 부항을 떴다 vs 한의원에서 부황을 떴다  정답: 부항(o)  - [명사] 부항단지에 불을 넣어 공기를 희박하게 만든 다음 부스럼 자리에 붙여 부스럼의 고름이나 독혈을 빨아내는 일.  - 부항을 붙이는 데 쓰는 작은 단지. =부항단지.  - 附缸(붙을 부 / 항아리 항)  ex)    · 부항 치료.    · 부항 자국이 선명하다.    · 허리가 아파서 부항을 뜨고 물리 치료를 받았다.   cf. 부황(浮黃)  - [명사] 오래 굶주려서 살가죽이 들떠서 붓고 누렇게 되는 병. ≒부황병.   - 浮黃(뜰 부 / 누를 황)  ex)    · 부황이 나다.    · 부황이 들다.    · 보릿고개라 하도 못 먹어 누렇게 부황이 나고 굶주림에 지쳐 흙을 파 먹는 사람들도 있었다.   출처:..

우리말doit 2024.12.30

북어국 vs 북엇국

(문제) 북어국으로 해장이 안될 정도다 vs 북엇국으로 해장이 안될 정도다  정답: 북엇국(o)  - [명사] 북어를 잘게 뜯어 파를 넣고 달걀을 풀어 끓인 장국. ≒북어탕.  - 발음[부거꾹/부걷꾹]  - 北魚국(북녘 북 / 물고기 어) cf. 순 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기 때문에 '북엇국'으로 표기합니다.

우리말doit 2024.12.29

돌림방 vs 돌림매

(문제) 돌림방을 맞다 vs 돌림매를 맞다  정답: 돌림매(o)  - [명사] 한 사람을 여러 사람이 돌아가며 때리는 매.  - 여러 사람을 한 사람 한 사람씩 차례로 돌아가며 때리는 매.  ex)    · 패거리들에게 돌림매를 맞다.    · 볼기가 맞고 싶거든 이 자리에라도 엎드려라. 돌림매로 실컷 때려 줄 것이니. cf. 돌림방  - [명사] '윤간'을 속되게 이르는 말.  - → 돌림매. 출처: 돌림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돌림방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2.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