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 퀴즈 167

철천지한(徹天之恨)이란?

철천지한(徹天之恨)은 "하늘에 사무칠 만큼 크고 깊은 원한이나 한"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극도로 강렬하고 풀기 어려운 원한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1. 뜻과 구성철(徹): 사무치다, 꿰뚫다.천(天): 하늘.지(之): ~의.한(恨): 원한이나 한.이런 구조로 이루어진 철천지한은 "하늘에까지 사무치는 한"이라는 뜻으로, 가장 깊고 영원히 잊지 못할 원한을 비유합니다.2. 사용 예문그는 형제를 잃은 것을 철천지한으로 여기며 복수를 다짐했다.그 사건은 사람들에게 철천지한으로 남았다.원수의 배신은 철천지한이 되어 가슴에 맺혔다.3. 유사 표현불구대천지원(不俱戴天之怨): 함께 하늘 아래 있을 수 없을 정도의 원한.원수(怨讐): 갚아야 할 깊은 원한을 가진 대상.4. 역사적 맥락과거에는 가문의 명예나..

우리말doit 2024.12.26

유복자(遺腹子)란?

유복자(遺腹子)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태어난 자식을 뜻합니다.이 단어는 한자로 "유(遺)"(남기다, 떠나다)와 "복(腹)"(배), "자(子)"(자식)가 합쳐져, "아버지가 남기고 떠난 뒤에 어머니 뱃속에 있던 자식"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뜻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난 아이."유복자"는 특히 과거 유교 사회에서 주목받았던 개념으로, 아버지의 존재가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가졌기 때문에 더 자주 사용되었습니다.2. 예문그는 전쟁 중에 아버지를 여의고 유복자로 태어났다.이 소설의 주인공은 유복자로 태어나 할머니 손에서 자랐다.3. 역사적 맥락전통 사회에서 유복자는 흔히 특별한 보호와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는 아버지가 없는 상황에서도 아이가 가문의 명맥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

우리말doit 2024.12.26

미주알고주알이란?

미주알고주알은 자세한 사소한 것까지 모두 캐묻거나 말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말입니다.1. 뜻사소한 것까지 낱낱이 따지거나 캐묻는 모습.지나치게 세세한 이야기까지 모두 늘어놓는 행동.2. 어원"미주알"은 창자 속의 작은 부분을 뜻하며, 작고 사소한 것을 의미합니다."고주알"은 원래 "곱창"의 일부를 뜻했으나, 점차 세세한 것이라는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이 둘이 결합되어 사소한 것까지 일일이 따지거나 말하는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3. 사용 예문그는 미주알고주알 따지며 일처리를 복잡하게 만든다.어머니는 나의 하루 일과를 미주알고주알 물어보셨다.친구가 여행을 다녀와 미주알고주알 모두 이야기해 주었다.4. 유사 표현시시콜콜자잘자잘낱낱이미주알고주알은 친근한 대화 속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유어로, 상황에 따라 긍정..

우리말doit 2024.12.26

다디달다 vs 달디달다

"다디달다"와 "달디달다"는 모두 "아주 달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지만, 표준어는 "다디달다"입니다.1. 다디달다표준어로, "매우 달다" 또는 "아주 달콤하다"는 뜻.일반적으로 과일이나 음료처럼 단맛이 강한 음식을 표현할 때 사용.예문:이 꿀은 다디달다.봄에 나는 딸기가 다디달아서 맛있다.2. 달디달다비표준어로, "다디달다"의 잘못된 형태.발음상의 혼동으로 종종 사용되지만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음.3. 어원 및 형태"다디달다"는 강조의 접두사 '다디-'가 붙어 단맛을 강조한 표현입니다. '다디-'는 고유어로서, 같은 방식의 표현이 몇 가지 더 있습니다:다디달다 (아주 달다)다디다시다 (아주 맛이 좋다)올바른 사용표준어인 "다디달다"를 사용하며, "달디달다"는 잘못된 표현임을 주의해야 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6

곤욕 vs 곤혹

"곤욕"과 "곤혹"은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뜻과 쓰임새가 전혀 다릅니다.1. 곤욕(困辱)뜻: 심한 모욕이나 수치스러운 일을 당함.한자 의미: 困 (곤란할 곤) + 辱 (욕되게 할 욕)사용 예시:그는 억울하게 곤욕을 치렀다.예상치 못한 질문에 곤욕을 겪었다.2. 곤혹(困惑)뜻: 당황하거나 난처한 상황에 처해 어찌할 바를 모름.한자 의미: 困 (곤란할 곤) + 惑 (미혹할 혹)사용 예시:갑작스러운 상황에 곤혹스러워했다.그의 질문에 곤혹을 느꼈다.차이점 요약올바른 선택법"모욕"과 관련된 표현 → 곤욕"당황"과 관련된 표현 → 곤혹둘의 뜻과 맥락을 구분하여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6

영인(影印)이란?

영인(影印)은 문서나 그림, 책 등을 원본 그대로 복사하거나 인쇄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자어로, "影(그림자 영)"과 "印(도장 인, 인쇄할 인)"이 결합된 단어로, 원본의 형상(그림자)을 그대로 찍어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뜻원본의 내용을 손상시키거나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복제하는 행위.주로 문서, 고서(옛날 책), 그림 등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특징정확한 복제:원본의 모든 내용을 변형 없이 동일하게 재현.예: 글자, 그림, 형식, 심지어는 종이의 얼룩이나 색깔까지 복제 가능.활용 분야:학술적 연구: 고문서나 역사적 자료를 보존하고 연구할 때.출판 및 보급: 원본의 훼손을 방지하면서도 널리 배포하고자 할 때.보존: 귀중한 자료를 원본 대신 영인본으로 보관하여 원본 손상을 최소화.기..

우리말doit 2024.12.21

뒤꿈치 vs 뒷꿈치

뒤꿈치 vs 뒷꿈치1. 뒤꿈치올바른 표현: 표준어뜻: 발의 뒤쪽에 튀어나온 부분.예문: "발뒤꿈치가 닳아서 아프다."2. 뒷꿈치비표준어: 잘못된 표현"뒤꿈치"의 비표준적 형태로, 잘못 사용된 표현입니다.설명"뒤"는 단독으로 쓰일 때나 다른 단어와 결합할 때, 기본형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따라서 "뒤" + "꿈치" = 뒤꿈치가 맞습니다."뒷"은 조사나 다른 명사와 결합할 때 종종 쓰이지만, 이 경우는 어법상 맞지 않습니다.예시올바른: "운동화를 신었더니 뒤꿈치가 까졌다."잘못된: "운동화를 신었더니 뒷꿈치가 까졌다." cf. ‘뒤꿈치’는 접미사 ‘-꿈치/-굼치’는 ‘-꿈치’로 통일하여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54항)에 따라 ‘뒷굼치’로 적지 않고 ‘뒤꿈치’로 적는다. 제54항 다음과 같은 ..

우리말doit 2024.12.20

진경제(鎭痙劑)란?

진경제(鎭痙劑)는 근육의 경련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약물을 뜻합니다. 주로 평활근(spasms of smooth muscle)의 과도한 수축으로 발생하는 통증이나 불편감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뜻진(鎭): 진정시키다, 가라앉히다.경(痙): 경련, 근육의 수축이나 떨림.제(劑): 약물, 제제.즉, 진경제는 경련을 진정시키는 약물이라는 뜻입니다.용도소화기계 질환:위경련,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장 통증 등에 사용.예: 복부 팽만감, 설사, 복통 완화.비뇨기계 질환:방광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한 통증 완화.요로 경련 치료.생리통:자궁 근육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한 생리통 완화.기타:담도(담석증 등) 및 담관 경련.호흡기 경련(천식의 일부 치료에서 보조적으로 사용).작용 기전진경제는 근육의 수축 신호를 차단..

우리말doit 2024.12.20

여독(旅毒)이란?

여독(旅毒)은 여행을 다녀온 후 느끼는 피로감이나 체력적, 정신적 부담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여행이 주는 즐거움 뒤에 남는 부작용이나 피곤함을 가리킵니다.뜻과 어원여(旅): 여행, 떠돌다, 이동하다.독(毒): 독, 해로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 "여행의 독"이라는 뜻으로, 여행 과정에서의 과도한 이동, 일정, 환경 변화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부작용을 나타냄.특징육체적 증상:과도한 걷기, 이동 등으로 몸이 피로해짐.시차 적응 문제로 인한 수면 부족.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체력 저하.정신적 증상:여행 후의 공허감이나 우울감.여행 중 긴장감, 준비 과정에서의 스트레스.주요 원인:빡빡한 일정.장거리 이동.낯선 환경에서의 스트레스.해결 방법여행 중:무리하지 않고 여유로운 일정을 짤 것.충..

우리말doit 2024.12.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