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뒤꿈치 vs 뒷꿈치
1. 뒤꿈치
- 올바른 표현: 표준어
- 뜻: 발의 뒤쪽에 튀어나온 부분.
- 예문: "발뒤꿈치가 닳아서 아프다."
2. 뒷꿈치
- 비표준어: 잘못된 표현
- "뒤꿈치"의 비표준적 형태로, 잘못 사용된 표현입니다.
설명
- "뒤"는 단독으로 쓰일 때나 다른 단어와 결합할 때, 기본형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따라서 "뒤" + "꿈치" = 뒤꿈치가 맞습니다.
- "뒷"은 조사나 다른 명사와 결합할 때 종종 쓰이지만, 이 경우는 어법상 맞지 않습니다.
예시
- 올바른: "운동화를 신었더니 뒤꿈치가 까졌다."
- 잘못된: "운동화를 신었더니 뒷꿈치가 까졌다."
cf. ‘뒤꿈치’는 접미사 ‘-꿈치/-굼치’는 ‘-꿈치’로 통일하여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54항)에 따라 ‘뒷굼치’로 적지 않고 ‘뒤꿈치’로 적는다.
제54항 다음과 같은 접미사는 된소리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ㄴㄱㄴ
ㄱ | ㄴ | ㄱ | ㄴ |
심부름꾼 | 심부름군 | 귀때기 | 귓대기 |
익살꾼 | 익살군 | 볼때기 | 볼대기 |
일꾼 | 일군 | 판자때기 | 판잣대기 |
장꾼 | 장군 | 뒤꿈치 | 뒷굼치 |
장난꾼 | 장난군 | 팔꿈치 | 팔굼치 |
지게꾼 | 지겟군 | 이마빼기 | 이맛배기 |
때깔 | 땟갈 | 코빼기 | 콧배기 |
빛깔 | 빛갈 | 객쩍다 | 객적다 |
성깔 | 성갈 | 겸연쩍다 | 겸연적다 |
728x90
반응형
'우리말do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거름이란? (33) | 2024.12.21 |
---|---|
동맹휴학(同盟休學)이란? (31) | 2024.12.21 |
진경제(鎭痙劑)란? (36) | 2024.12.20 |
여독(旅毒)이란? (7) | 2024.12.19 |
목례 vs 묵례 (7)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