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퀴즈 37

설레임 vs 설렘

"설렘" vs. "설레임" 비교설렘 (⭕ 표준어)설레임 (❌ 비표준어)어원"설레다"의 명사형잘못된 형태어미 변화"설레다" → "설렘""설레임" 형태는 문법적으로 어색표준어 여부✅ 표준어❌ 비표준어 (잘못된 표현)📌 왜 "설렘"이 맞을까?동사 "설레다"의 명사형은 "-ㅁ"이 붙어서 "설렘"이 됨.예) 떨리다 → 떨림, 흐리다 → 흐림"설레임"처럼 "-임"을 붙이면 비문법적인 형태가 됨.예) "떨리임❌", "흐리임❌" 같은 형태는 쓰지 않음!따라서 "설렘"이 맞는 표현이고, "설레임"은 잘못된 표현임!✅ "설렘" 예문"첫사랑을 다시 만난다는 생각에 가슴이 설렘으로 가득 찼다.""여행을 떠나기 전날 밤의 설렘은 언제나 특별하다.""설렘을 안고 새로운 직장에서 첫 출근을 했다."🚫 (잘못된 예문)"첫사랑을 ..

우리말doit 2025.03.16

통털어 vs 통틀어

(문제) 남녀 통털어 최고이다 vs 남녀 통틀어 최고이다  정답: 통틀어(o)  - [부사] 있는 대로 모두 합하여.  - 통털어(x)  ex)    · 38선 경비 중대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이제 통틀어 박노익과 자기 두 사람뿐이다.    · 햇빛이 유난히 넉넉하고 도타운 집이었다. 통틀어 두세 평 정도의 햇빛 속의 광경이 뭔가 눈부셨다. cf. 통틀다  - [동사] 있는 대로 모두 한데 묶다.  ex)    · 있는 돈을 통틀면 천만 원쯤 된다.    · 부여와 공주를 통틀고 나서도 아직 3천에선 3백여 명이 모자랐다. -> 활용 : 통틀어, 통트니, 통트오 출처: 통틀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통틀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7

흑역사 vs 흙역사

(문제) 그날은 지우고 싶은 흑역사다 vs 그날은 지우고 싶은 흙역사다  정답: 흑역사(o) "흑역사"의 뜻"흑(黑)"(검다, 어둡다) + "역사"(과거의 일)"부끄럽거나 감추고 싶은 과거"를 의미하는 단어일본어 "黒歴史(くろれきし, 쿠로레키시)"에서 유래된 표현✅ 예문"중학교 때 썼던 시를 다시 보니 완전 흑역사야.""저때 왜 저런 옷을 입었을까? 완전 흑역사지.""흙역사"는 잘못된 표현! 🚫"흙(soil, dirt) + 역사"는 어색한 조합"흙"과 "역사"를 조합하면 "흙과 관련된 역사"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음따라서 "흙역사"라는 표현은 표준어가 아니며, "흑역사"가 올바른 표현! 😊

우리말doit 2025.03.05

염두에 vs 염두해

(문제) 복귀를 염두에 두다 vs 복귀를 염두해 두다  정답: 염두에(o) cf. '염두'는 '생각할 때 있어서 가장 우선 순위'라는 뜻을 가진 단어이므로, '염두에 두다'라고 해야 바른 표현입니다. 📍 "염두에 두다" vs "염두해 두다" 차이점표현표준어 여부의미예문"염두에 두다"✅ 표준어마음속에 기억하고 생각해 둠"그 점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세우세요.""염두해 두다"🚫 비표준어"염두에 두다"의 잘못된 표현❌ (틀린 표현)📍 왜 "염두에 두다"가 맞을까?"염두(念頭)"는 한자어로 "생각의 머리"라는 뜻"염두" 자체가 명사이므로, "~에 두다"처럼 조사 "에"가 붙어야 자연스러움."염두하다"라는 동사는 존재하지 않음따라서 "염두해 두다"는 잘못된 표현!📌 결론✔ "염두에 두다"가 맞는 표현!✔ ..

우리말doit 2025.02.24

여의다 vs 여위다

(문제) 아버지를 여의고 슬픔에 빠졌다 vs 아버지를 여위고 슬픔에 빠졌다  정답: 여의다(o)  - [동사]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  - 딸을 시집보내다.  - 멀리 떠나보내다.  ex)    · 그는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자랐다.    · 막내딸을 여의다.    · 일체의 번뇌를 여의다. cf. 여위다  - [동사] 몸의 살이 빠져 파리하게 되다.  - 살림살이가 매우 가난하고 구차하게 되다.  - 빛이나 소리 따위가 점점 작아지거나 어렴풋해지다.  - 땅이나 강 따위가 부피가 줄어들고 메말라지다.  ex)    · 오래 앓아서인지 얼굴을 홀쭉하게 여위고 두 눈만 퀭하였다.    · 푸른빛이 가지가지마다 철철 흐르는 듯하던 녹음도 이제는 쌀쌀한 바람을 맞아 빛이 여위고 몸이 ..

우리말doit 2025.02.18

삵괭이 vs 살쾡이

(문제) 삵괭이가 나타났다 vs 살쾡이가 나타났다  정답: 살쾡이(o)  - 『동물』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들고양이, 삵, 야묘. (Felis bengalensis)  - 삵괭이(x)  cf. ‘살쾡이’가 표준어이고 ‘삵괭이’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일부 단어의 경우,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3항)에 따른 것이다. ‘살쾡이’는 ‘삵’과 ‘괭이(고양이)’가 결합..

우리말doit 2025.02.16

윽박지르다 vs 욱박지르다

(문제) 잘못한 아이를 윽박질렀다 vs 잘못한 아이를 욱박질렀다  정답: 윽박지르다(o)  - [동사] 심하게 짓눌러 기를 꺾다.  - 발음[윽빡찌르다]  - 욱박지르다(x)  ex)    · 애들하고 좀 싸웠다고 그 앨 너무 윽박지르지 마요.    · 부모님이 아이에게 숙제하라고 윽박지른다.    · 상사가 직원에게 실수했다고 윽박지른다.    출처: 윽박지르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2.13

노동양 vs 노동량

(문제) 우리나라 평균 노동양 vs 우리나라 평균 노동양  정답: 노동량(o)  cf. '노동량'이 맞습니다. '량'은 한자어 다음에, '양'은 한자어를 제외한 고유어와 외래어 다음에 결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량"과 "양"의 구분 원칙"량(量)" → 한자어 다음에 붙음노동량, 배설량, 이동량, 소비량, 생산량"양(量)" → 고유어, 외래어 다음에 붙음커피 양, 칼로리 양, 데이터 양💡 기억하기 쉬운 팁:한자어 + 량고유어·외래어 + 양

우리말doit 2025.02.12

후유증 vs 휴유증

(문제) 그는 교통사고 후유증에 시달린다 vs 그는 교통사고 휴유증에 시달린다  정답: 후유증(o)  - [명사] 『의학』 어떤 병을 앓고 난 뒤에도 남아 있는 병적인 증상. 뇌중풍에서의 손발 마비, 뇌염에서의 정신적·신체적 장애 따위이다.  - 어떤 일을 치르고 난 뒤에 생긴 부작용.  - 後遺症(뒤 후 / 남길 유 / 증세 증)  - 휴유증(x)  ex)    · 그는 과로의 후유증으로 감기 몸살을 앓고 있다.  출처: 후유증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후유증" vs. "휴유증" 비교1️⃣ ✅ "후유증" (표준어)의미: 어떤 일이나 병이 끝난 뒤에도 남아 있는 부정적인 영향.한자어: 後遺症 (뒤 후, 남을 유, 증세 증) → "뒤에 남는 증세"예시:"코로나 후유증이 오래 ..

우리말doit 2025.02.11

걱정거리 vs 걱정꺼리

(문제) 새로운 걱정거리가 생겼다 vs 새로운 걱정꺼리가 생겼다  정답: 걱정거리(o)  - [명사] 걱정이 되는 조건이나 일.  - 발음[걱쩡꺼리]  - 걱정꺼리(x)  ex)    · 일자리를 잡지 못한 그에게는 앞으로 먹고살 게 큰 걱정거리였다.    · 아이가 크자 새로운 걱정거리가 생겼다. 그곳은 교육 환경이 별로 좋지 않았던 것이다. cf. 근심거리(비슷한말) 출처: 걱정거리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걱정거리" vs. "걱정꺼리" 비교1️⃣ ✅ "걱정거리" (표준어)의미: 걱정할 만한 일이나 이유."-거리"는 어떤 행동이나 감정의 대상이 되는 것을 뜻하는 접미사.예시:"요즘 가장 큰 걱정거리가 뭐야?" ✅"그 일은 걱정거리가 될 필요 없어." ✅2️⃣ ❌ "걱정꺼리..

우리말doit 2025.02.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