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시옷 29

제사날 vs 제삿날

(문제) 오늘은 보고 싶은 할아버지의 제사날이다 vs 오늘은 보고 싶은 할아버지의 제삿날이다  정답: 제삿날(o)  - [명사] 제사를 지내는 날. ≒제일, 젯날.  - 죽을 정도로 혼쭐이 날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발음[제산날]  - 祭祀날(제사 제 / 제사 사)  - 제사날(x)  ex)    · 오늘은 할머니 제삿날이라 일가친척이 다 모였다.    · "우리와 다시 만나게 되는 날이 네놈 제삿날이니라." cf, ‘제삿날’은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라 ‘제사날’로 적지 않고 ‘제삿날’로 적는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

우리말doit 2024.07.22

머릿말 vs 머리말

(문제) 작가가 쓴 머릿말에 나와 vs 작가가 쓴 머리말에 나와  정답: 머리말(o)  - [명사]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두서, 머리글, 서기, 서문, 서언, 서제.  - 말이나 글 따위에서 본격적인 논의를 하기 위한 실마리가 되는 부분. =서론.  - 발음[머리말]  - 머릿말(x)  ex)    · 나는 책을 읽을 때 머리말을 먼저 읽는다.    · 이 글을 머리말, 본문, 맺음말로 나누어 보자. cf.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라, ‘머리말’은 [머리말]로 발음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인사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인산말]로 발음되지 않고 [인사말]로 발음된다. ‘예사소리’도 마찬가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cf. 사..

우리말doit 2024.07.19

화제거리 vs 화젯거리

(문제) 사람들의 화제거리가 되었다 vs 사람들의 화젯거리가 되었다  정답: 화젯거리(o)  - [명사] 이야깃거리가 될 만한 소재.  - 話題거리(말할 화 / 제목 제)  - 발음[화제꺼리/화젣꺼리]  - 화제거리(x)  ex)    · 장안의 화젯거리.    · 세간의 관심을 모을 화젯거리.    · 남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빠지지 않는 화젯거리가 바로 군대 이야기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⑵ 뒷..

우리말doit 2024.06.10

갯수 vs 개수

(문제) 제품 갯수가 많지 않습니다 vs 제품 개수가 많지 않습니다  정답: 개수(o)  - [명사]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  - 발음[개쑤]  - 個數(낱 개 / 셀 수)  - 갯수(x)  ex)    · 개수를 세다.    · 개수가 많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cf. ..

우리말doit 2024.05.13

햇쑥 vs 해쑥

(문제) 햇쑥으로 만든 절편이다 vs 해쑥으로 만든 절편이다  정답: 해쑥(o)  - [명사] 당해에 새로 자란 여린 쑥.  - 발음[해쑥]  - 햇쑥(x)  ex)    · 해쑥 향 맡으며 걷다. ※ 봄에 제철을 맞는 ‘쑥’에 접두사를 붙이면 ‘햇쑥’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해쑥’이 바른 표현이다.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나 거센소리(ㅊ, ㅋ, ㅌ, ㅍ)로 날 경우엔 ‘햇-’이 아닌 ‘해-’를 쓰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쑥, 해콩, 해팥 등처럼 적는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

우리말doit 2024.05.10

백지장 vs 백짓장

(문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vs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  정답: 백지장(o)  - [명사] 하얀 종이의 낱장.  - 핏기가 없이 창백한 얼굴빛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종잇장.  - 발음[백찌짱]  - 白紙張(흰 백 / 종이 지 / 베풀 장)  - 백짓장(x)  ex)    · 시험지를 받으니, 내 머릿속이 백지장처럼 하얗게 변했다.    · 그 신인 연기자는 배우로서의 자신을 잭지장 상태와 같다고 말했다. ※  '백지장'으로 적습니다. 한자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예외)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곳간(庫間)셋방(貰房)숫자(數字)찻간(車間)툇간(退間)횟수(回數)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

우리말doit 2024.04.24

뒤탈 vs 뒷탈

(문제) 수술 후에 뒤탈이 없도록 조심해라 vs 수술 후에 뒷탈이 없도록 조심해라 정답: 뒤탈(o) - [명사] 어떤 일의 뒤에 생기는 탈. ≒후탈. - 뒤頉(탈날 탈) - 뒷탈(x) ex) · 뒤탈이 나다. · 뒤탈이 생기다. ※ 순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일 경우라도, 거센소리나 된소리 앞에서는 'ㅅ'을 받쳐 적지 않습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

우리말doit 2024.04.19

뒤뜰 vs 뒷뜰

(문제) 집 뒤뜰에 장독대가 있다 vs 집 뒷뜰에 장독대가 있다 정답: 뒤뜰(o) - [명사] 집채의 뒤에 있는 뜰. ≒뒷마당. - 뒷뜰(x) ex) · 여름에 공부를 하려면 앞뜰과 뒤뜰은 짙은 나뭇잎만이 눈에 띄인다. · 영옥이와 나는 학교 뒤뜰에서 함께 감꽃을 주웠다. ※ ‘뒤뜰’은 ‘뒤’와 ‘뜰’이 결합한 말로, 뒷말의 첫소리가 예사소리에서 된소리로 바뀐 경우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고 ‘뒤뜰’로 적는다. ‘뒷뜰’은 규범에 어긋난 표기이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

우리말doit 2024.03.16

만두국 vs 만둣국

(문제) 뜨거운 만두국을 먹었다 vs 뜨거운 만둣국을 먹었다 정답: 만둣국(o) - [명사] 만두를 넣고 끓인 국. - 饅頭국(만두 만 / 머리 두) - 발음[만두꾹/만둗꾹] - 만두국(x) ex) · 점심은 간단하게 떡만둣국을 만들어 먹자. · 점심에는 김치만두로 만둣국을 끓일 거야.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우리말doit 2024.02.14

인사말 vs 인삿말

(문제) 간단한 인사말 vs 간단한 인삿말 정답: 인사말(o) - [명사] 인사로 하는 말. 또는 인사를 차려 하는 말. - 발음[인사말] - 人事말(사람 인 / 일 사) - 인삿말(x) ex) · 인사말을 하다. · 인사말을 주고받다. ※ ‘인사말’은 [인사말]로 소리 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

우리말doit 2024.02.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