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시옷 37

갯수 vs 개수

(문제) 제품 갯수가 많지 않습니다 vs 제품 개수가 많지 않습니다  정답: 개수(o)  - [명사]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  - 발음[개쑤]  - 個數(낱 개 / 셀 수)  - 갯수(x)  ex)    · 개수를 세다.    · 개수가 많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cf. ..

우리말doit 2024.05.13

햇쑥 vs 해쑥

(문제) 햇쑥으로 만든 절편이다 vs 해쑥으로 만든 절편이다  정답: 해쑥(o)  - [명사] 당해에 새로 자란 여린 쑥.  - 발음[해쑥]  - 햇쑥(x)  ex)    · 해쑥 향 맡으며 걷다. ※ 봄에 제철을 맞는 ‘쑥’에 접두사를 붙이면 ‘햇쑥’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해쑥’이 바른 표현이다.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나 거센소리(ㅊ, ㅋ, ㅌ, ㅍ)로 날 경우엔 ‘햇-’이 아닌 ‘해-’를 쓰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쑥, 해콩, 해팥 등처럼 적는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

우리말doit 2024.05.10

백지장 vs 백짓장

(문제)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vs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  정답: 백지장(o)  - [명사] 하얀 종이의 낱장.  - 핏기가 없이 창백한 얼굴빛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종잇장.  - 발음[백찌짱]  - 白紙張(흰 백 / 종이 지 / 베풀 장)  - 백짓장(x)  ex)    · 시험지를 받으니, 내 머릿속이 백지장처럼 하얗게 변했다.    · 그 신인 연기자는 배우로서의 자신을 잭지장 상태와 같다고 말했다. ※  '백지장'으로 적습니다. 한자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예외)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곳간(庫間)셋방(貰房)숫자(數字)찻간(車間)툇간(退間)횟수(回數)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

우리말doit 2024.04.24

뒤탈 vs 뒷탈

(문제) 수술 후에 뒤탈이 없도록 조심해라 vs 수술 후에 뒷탈이 없도록 조심해라 정답: 뒤탈(o) - [명사] 어떤 일의 뒤에 생기는 탈. ≒후탈. - 뒤頉(탈날 탈) - 뒷탈(x) ex) · 뒤탈이 나다. · 뒤탈이 생기다. ※ 순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일 경우라도, 거센소리나 된소리 앞에서는 'ㅅ'을 받쳐 적지 않습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

우리말doit 2024.04.19

뒤뜰 vs 뒷뜰

(문제) 집 뒤뜰에 장독대가 있다 vs 집 뒷뜰에 장독대가 있다 정답: 뒤뜰(o) - [명사] 집채의 뒤에 있는 뜰. ≒뒷마당. - 뒷뜰(x) ex) · 여름에 공부를 하려면 앞뜰과 뒤뜰은 짙은 나뭇잎만이 눈에 띄인다. · 영옥이와 나는 학교 뒤뜰에서 함께 감꽃을 주웠다. ※ ‘뒤뜰’은 ‘뒤’와 ‘뜰’이 결합한 말로, 뒷말의 첫소리가 예사소리에서 된소리로 바뀐 경우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고 ‘뒤뜰’로 적는다. ‘뒷뜰’은 규범에 어긋난 표기이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

우리말doit 2024.03.16

만두국 vs 만둣국

(문제) 뜨거운 만두국을 먹었다 vs 뜨거운 만둣국을 먹었다 정답: 만둣국(o) - [명사] 만두를 넣고 끓인 국. - 饅頭국(만두 만 / 머리 두) - 발음[만두꾹/만둗꾹] - 만두국(x) ex) · 점심은 간단하게 떡만둣국을 만들어 먹자. · 점심에는 김치만두로 만둣국을 끓일 거야.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우리말doit 2024.02.14

인사말 vs 인삿말

(문제) 간단한 인사말 vs 간단한 인삿말 정답: 인사말(o) - [명사] 인사로 하는 말. 또는 인사를 차려 하는 말. - 발음[인사말] - 人事말(사람 인 / 일 사) - 인삿말(x) ex) · 인사말을 하다. · 인사말을 주고받다. ※ ‘인사말’은 [인사말]로 소리 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

우리말doit 2024.02.05

동짓날 vs 동짇날

(문제) 동짓날 긴긴밤 vs 동짇날 긴긴밤 정답: 동짓날(o) - [명사] 동지가 되는 날. - 冬至날(겨울 동 / 이를 지) - 발음[동진날] - 동짇날(x) ex) · 동짓날 저녁에는 식구들이 모두 모여 팥죽을 쑤어 먹는다. · 예로부터 동짓날에는 팥죽을 끓여서 집 둘레에 뿌려 나쁜 귀신을 물리치고 집안에 행운이 깃들기를 빌었다. cf. 동지 - [명사]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동지에는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

우리말doit 2024.01.12

낚시줄 vs 낚싯줄

(문제) 낚시줄 묶는 방법 vs 낚싯줄 묶는 방법 정답: 낚싯줄(o) - [명사] 낚싯대에 낚싯바늘을 매어 달기 위하여 쓰는 가늘고 질긴 끈. 삼실, 명주실, 나일론, 말총, 인조 힘줄 따위로 만든다. ≒조륜, 조사. - 『미술』 물레에서 만들어진 기물을 떼어 내기 위하여 바닥을 자르는 줄. - 발음[낙씨쭐/낙씯쭐] - 낚시줄(x) ex) · 내 옆자리에서 낚싯줄을 드리우고 있던 낚시꾼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 저수지에 낚싯줄을 드리우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우리말doit 2024.01.11

배내짓 vs 배냇짓

(문제) 아기가 배내짓하다 vs 아기가 배냇짓하다 정답: 배냇짓(o) - [명사] 갓난아이가 자면서 웃거나 눈, 코, 입 따위를 쫑긋거리는 짓. - 발음[배내찓/배낻찓] - 배내짓(x) ex) · 아이는 이따금 배냇짓을 하면서 천사같이 자고 있었다. · 아가는 싱긋 웃는 배냇짓을 하면서 잠잔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

우리말doit 2024.01.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