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시옷 32

뒤뜰 vs 뒷뜰

(문제) 집 뒤뜰에 장독대가 있다 vs 집 뒷뜰에 장독대가 있다 정답: 뒤뜰(o) - [명사] 집채의 뒤에 있는 뜰. ≒뒷마당. - 뒷뜰(x) ex) · 여름에 공부를 하려면 앞뜰과 뒤뜰은 짙은 나뭇잎만이 눈에 띄인다. · 영옥이와 나는 학교 뒤뜰에서 함께 감꽃을 주웠다. ※ ‘뒤뜰’은 ‘뒤’와 ‘뜰’이 결합한 말로, 뒷말의 첫소리가 예사소리에서 된소리로 바뀐 경우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고 ‘뒤뜰’로 적는다. ‘뒷뜰’은 규범에 어긋난 표기이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

우리말doit 2024.03.16

만두국 vs 만둣국

(문제) 뜨거운 만두국을 먹었다 vs 뜨거운 만둣국을 먹었다 정답: 만둣국(o) - [명사] 만두를 넣고 끓인 국. - 饅頭국(만두 만 / 머리 두) - 발음[만두꾹/만둗꾹] - 만두국(x) ex) · 점심은 간단하게 떡만둣국을 만들어 먹자. · 점심에는 김치만두로 만둣국을 끓일 거야.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우리말doit 2024.02.14

인사말 vs 인삿말

(문제) 간단한 인사말 vs 간단한 인삿말 정답: 인사말(o) - [명사] 인사로 하는 말. 또는 인사를 차려 하는 말. - 발음[인사말] - 人事말(사람 인 / 일 사) - 인삿말(x) ex) · 인사말을 하다. · 인사말을 주고받다. ※ ‘인사말’은 [인사말]로 소리 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

우리말doit 2024.02.05

동짓날 vs 동짇날

(문제) 동짓날 긴긴밤 vs 동짇날 긴긴밤 정답: 동짓날(o) - [명사] 동지가 되는 날. - 冬至날(겨울 동 / 이를 지) - 발음[동진날] - 동짇날(x) ex) · 동짓날 저녁에는 식구들이 모두 모여 팥죽을 쑤어 먹는다. · 예로부터 동짓날에는 팥죽을 끓여서 집 둘레에 뿌려 나쁜 귀신을 물리치고 집안에 행운이 깃들기를 빌었다. cf. 동지 - [명사]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동지에는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

우리말doit 2024.01.12

낚시줄 vs 낚싯줄

(문제) 낚시줄 묶는 방법 vs 낚싯줄 묶는 방법 정답: 낚싯줄(o) - [명사] 낚싯대에 낚싯바늘을 매어 달기 위하여 쓰는 가늘고 질긴 끈. 삼실, 명주실, 나일론, 말총, 인조 힘줄 따위로 만든다. ≒조륜, 조사. - 『미술』 물레에서 만들어진 기물을 떼어 내기 위하여 바닥을 자르는 줄. - 발음[낙씨쭐/낙씯쭐] - 낚시줄(x) ex) · 내 옆자리에서 낚싯줄을 드리우고 있던 낚시꾼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 저수지에 낚싯줄을 드리우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우리말doit 2024.01.11

배내짓 vs 배냇짓

(문제) 아기가 배내짓하다 vs 아기가 배냇짓하다 정답: 배냇짓(o) - [명사] 갓난아이가 자면서 웃거나 눈, 코, 입 따위를 쫑긋거리는 짓. - 발음[배내찓/배낻찓] - 배내짓(x) ex) · 아이는 이따금 배냇짓을 하면서 천사같이 자고 있었다. · 아가는 싱긋 웃는 배냇짓을 하면서 잠잔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

우리말doit 2024.01.09

시계바늘 vs 시곗바늘

(문제) 시계바늘이 이미 오후 네 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vs 시곗바늘이 이미 오후 네 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정답: 시곗바늘(o) - [명사] 시간, 분, 초 따위를 가리키는 시계의 바늘. - 時計바늘(때 시 / 꾀할 계) - 발음[시계빠늘 / 시겓빠늘] - 시계바늘(x) ex) · 시곗바늘이 열두 시 정각을 가리키고 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

우리말doit 2024.01.08

소시적 vs 소싯적

(문제) 나는 소시적에 글발깨나 날렸다 vs 나는 소싯적에 글발깨나 날렸다 정답: 소싯적(o) - [명사] 젊었을 때. - 少時적(적을 소 / 때 시) - 발음[소시쩍/소싣쩍] - 소시적(x) ex) · 나도 소싯적에는 한 번 본 것은 잘 잊어 버리지도 않았었어. · 그 애는 소싯적부터 기타를 끼고 살더니만 결국은 가수가 되었구나.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

우리말doit 2024.01.05

단추구멍 vs 단춧구멍

(문제) 단추구멍이 작다 vs 단춧구멍이 작다 정답: 단춧구멍(o) - [명사] 단추를 끼우기 위해 옷 따위에 뚫은 구멍. - 옷 따위에 실을 꿰어 달기 위하여 단추에 뚫은 구멍. - 발음[단추꾸멍][단춛꾸멍] - 단추구멍(x) ex) · 단춧구멍이 작아서 단추가 안 들어간다. · 노인은 조끼 단춧구멍에 줄로 매단 커다란 회중시계를 꺼내어 문자판을 더듬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

우리말doit 2024.01.03

어깨쭉지 vs 어깻죽지

(문제) 어깨쭉지가 아프다 vs 어깻죽지가 아프다 정답: 어깻죽지(o) - [명사] 어깨에 팔이 붙은 부분. ≒어깨놀이. - 어깨쭉지(x) ex) · 거기만 오면 이상하게 마음이 차분하게 가라앉으면서 어깻죽지로 힘이 뻗치는 것이다. · 홈런을 맞은 투수는 어깻죽지가 처져 벤치로 들어왔다. ※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어깻죽지’는 [어깨쭉찌/어깯쭉찌]로 소리 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 cf. 어깨(고유어) + 죽지(고유어) = 어깻죽지(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출처: 어깻죽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2.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