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시옷 37

장마철 vs 장맛철

(문제) 장마철 대비 타이어 교체 vs 장맛철 대비 타이어 교체  정답: 장마철(o)  - [명사] 장마가 지는 철.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6월 말부터 8월 초이다. ≒장마기.  - 발음[장마철]  - 장맛철(x)  ex)    · 장마철로 접어들면서 마을 사람들은 연일 강둑에 나가서 무너진 둑을 쌓고 허술한 곳을 메우곤 했었지만....    · 유월 초순, 장마철은 아직 이른 것 같은데, 사흘간 궃은 날씨가 계속되었다. cf.예문"올해 장마철에는 비가 많이 올 거라고 해." (⭕ 올바른 표현)"올해 장맛철에는 습기가 많을 거야." (❌ 잘못된 표현)💡 비슷한 예시:"장마비" (⭕) vs. "장맛비" (❌) 출처: 장마철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6

머리돌 vs 머릿돌

(문제) 건물 앞에 머리돌을 세웠다 vs 건물 앞에 머릿돌을 세웠다  정답: 머릿돌(o)  - [명사] 『건설』 정초식(定礎式) 때, 연월일 따위를 새겨서 일정한 자리에 앉히는 돌.  - 발음[머리똘/머릳똘]  - 머리돌(x)  ex)    · 머릿돌을 얹다. 출처: 머릿돌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사이시옷 규정에 따른 설명국립국어원의 사이시옷 표기 원칙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사이시옷을 받습니다.합성어일 것‘머릿돌’ = ‘머리’ + ‘돌’ → 합성어 ✅앞 단어가 순우리말일 것‘머리’(순우리말) + ‘돌’(순우리말) → ✅뒷 단어가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거나 된소리, 거센소리가 날 것‘돌’은 ‘ㄷ’으로 시작하는 단어 → ✅실제 발음: [머리똘] (된소..

우리말doit 2025.02.27

허리춤 vs 허릿춤

(문제) 허리춤에 손을 올리고 춤을 췄다 vs 허릿춤에 손을 올리고 춤을 췄다  정답: 허리춤(o)  - [명사] 바지나 치마처럼 허리가 있는 옷의 허리 안쪽. 곧 그 옷과 속옷 또는 그 옷과 살의 사이. ≒요하, 춤.  - 허릿춤(x)  ex)    · 허리춤을 추키다.    · 허리춤에 손을 찔러 넣다.    · 담뱃대를 허리춤에 꽂다.  출처: 허리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허리춤"이 표준어인 이유는 사이시옷 표기 규정에 따라 사이시옷을 넣을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1. 사이시옷 규정 개요국립국어원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에 따르면,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서 하나의 단어를 이룰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조건순우리말 +..

우리말doit 2025.02.15

북어국 vs 북엇국

(문제) 북어국으로 해장이 안될 정도다 vs 북엇국으로 해장이 안될 정도다  정답: 북엇국(o)  - [명사] 북어를 잘게 뜯어 파를 넣고 달걀을 풀어 끓인 장국. ≒북어탕.  - 발음[부거꾹/부걷꾹]  - 北魚국(북녘 북 / 물고기 어) cf. 순 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기 때문에 '북엇국'으로 표기합니다.

우리말doit 2024.12.29

마구간 vs 마굿간

(문제) 마구간 바닥에 짚을 깔았다 vs 마굿간 바닥에 짚을 깔았다  정답: 마구간(o)  - [명사] 말을 기르는 곳.  - 발음[마구깐]  - 마굿간(x)  ex)    · 마구간에는 말 두마리가 있다.    · 길상은 별안간 마구간에서 말을 꺼내어 이 사내랑 함께 타고 달아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cf.한자어끼리 결합한 합성어는 소리가 덧나더라도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다. 따라서 ‘마구간’으로 적는다. 한편 고유어 계열의 ‘말우리’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마구간’만 표준어로 삼는다.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한자어끼리 결합한 합성어는 소리가 덧나더라도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다. 따라서 ‘마구간’으로 적는다. 한편 고유어 계열의 ‘말우리’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마구간’만 표준어로 삼는..

우리말doit 2024.12.08

막냇동생 vs 막내동생

(문제) 막냇동생 vs 막내동생  정답: 막냇동생(o)  - [명사] 맨 끝의 동생.  - 발음[망내똥생 / 망낻똥생]  - 막내동생  ex)    · 큰형과 막냇동생이 자기를 따돌리고 뭔가 쑥덕거리고 있는 사실이 아무래도 수상했던 것이다.    · 그에게서는 언제나 철부지와 같은 막냇동생의 응석이 보인다.  출처: 막냇동생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 막냇동생 (표준어)의미: 형제자매 중 가장 나이가 어린 동생.사이시옷 규정:"막내"와 "동생"은 각각 고유어입니다.두 단어가 합쳐져 새롭게 만들어진 합성어이고, 뒤에 오는 단어(동생)가 된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표기합니다.사용 예시:"막냇동생은 늘 귀여움을 받는다.""막냇동생과 함께 여행을 갔다."2. 막내동생 (비표준어)"..

우리말doit 2024.12.07

눈엣가시 vs 눈에가시

(문제) 눈엣가시 같은 존재 vs 눈에가시 같은 존재  정답: 눈엣가시(o)  - [명사] 몹시 밉거나 싫어 늘 눈에 거슬리는 사람. ≒안중정.  - 남편의 첩을 이르는 말.  - 발음[누네까시 / 누넫까시]  - 눈에가시(x)  ex)    · 눈엣가시로 여기다.    · 사사건건 참견하는 그녀가 눈엣가시였다. 출처: 눈엣가시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사이시옷 규정과 "눈엣가시" 설명1. 사이시옷의 역할사이시옷은 두 단어가 결합할 때, 발음을 부드럽게 연결하거나 뜻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합성어에서 나타나며, 다음 경우에 사용합니다:2.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조건고유어+고유어의 결합앞 단어가 받침으로 끝나는 경우뒤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며, 거센소리(ㅋ,ㅌ)로 변..

우리말doit 2024.12.04

제사날 vs 제삿날

(문제) 오늘은 보고 싶은 할아버지의 제사날이다 vs 오늘은 보고 싶은 할아버지의 제삿날이다  정답: 제삿날(o)  - [명사] 제사를 지내는 날. ≒제일, 젯날.  - 죽을 정도로 혼쭐이 날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발음[제산날]  - 祭祀날(제사 제 / 제사 사)  - 제사날(x)  ex)    · 오늘은 할머니 제삿날이라 일가친척이 다 모였다.    · "우리와 다시 만나게 되는 날이 네놈 제삿날이니라." cf, ‘제삿날’은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라 ‘제사날’로 적지 않고 ‘제삿날’로 적는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

우리말doit 2024.07.22

머릿말 vs 머리말

(문제) 작가가 쓴 머릿말에 나와 vs 작가가 쓴 머리말에 나와  정답: 머리말(o)  - [명사]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 ≒두서, 머리글, 서기, 서문, 서언, 서제.  - 말이나 글 따위에서 본격적인 논의를 하기 위한 실마리가 되는 부분. =서론.  - 발음[머리말]  - 머릿말(x)  ex)    · 나는 책을 읽을 때 머리말을 먼저 읽는다.    · 이 글을 머리말, 본문, 맺음말로 나누어 보자. cf.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라, ‘머리말’은 [머리말]로 발음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인사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인산말]로 발음되지 않고 [인사말]로 발음된다. ‘예사소리’도 마찬가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는다.  cf. 사..

우리말doit 2024.07.19

화제거리 vs 화젯거리

(문제) 사람들의 화제거리가 되었다 vs 사람들의 화젯거리가 되었다  정답: 화젯거리(o)  - [명사] 이야깃거리가 될 만한 소재.  - 話題거리(말할 화 / 제목 제)  - 발음[화제꺼리/화젣꺼리]  - 화제거리(x)  ex)    · 장안의 화젯거리.    · 세간의 관심을 모을 화젯거리.    · 남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빠지지 않는 화젯거리가 바로 군대 이야기다. cf. 사이시옷 조건(한글맞춤법 제30항)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⑵ 뒷..

우리말doit 2024.06.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