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시옷 37

시계바늘 vs 시곗바늘

(문제) 시계바늘이 이미 오후 네 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vs 시곗바늘이 이미 오후 네 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정답: 시곗바늘(o) - [명사] 시간, 분, 초 따위를 가리키는 시계의 바늘. - 時計바늘(때 시 / 꾀할 계) - 발음[시계빠늘 / 시겓빠늘] - 시계바늘(x) ex) · 시곗바늘이 열두 시 정각을 가리키고 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

우리말doit 2024.01.08

소시적 vs 소싯적

(문제) 나는 소시적에 글발깨나 날렸다 vs 나는 소싯적에 글발깨나 날렸다 정답: 소싯적(o) - [명사] 젊었을 때. - 少時적(적을 소 / 때 시) - 발음[소시쩍/소싣쩍] - 소시적(x) ex) · 나도 소싯적에는 한 번 본 것은 잘 잊어 버리지도 않았었어. · 그 애는 소싯적부터 기타를 끼고 살더니만 결국은 가수가 되었구나.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

우리말doit 2024.01.05

단추구멍 vs 단춧구멍

(문제) 단추구멍이 작다 vs 단춧구멍이 작다 정답: 단춧구멍(o) - [명사] 단추를 끼우기 위해 옷 따위에 뚫은 구멍. - 옷 따위에 실을 꿰어 달기 위하여 단추에 뚫은 구멍. - 발음[단추꾸멍][단춛꾸멍] - 단추구멍(x) ex) · 단춧구멍이 작아서 단추가 안 들어간다. · 노인은 조끼 단춧구멍에 줄로 매단 커다란 회중시계를 꺼내어 문자판을 더듬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

우리말doit 2024.01.03

어깨쭉지 vs 어깻죽지

(문제) 어깨쭉지가 아프다 vs 어깻죽지가 아프다 정답: 어깻죽지(o) - [명사] 어깨에 팔이 붙은 부분. ≒어깨놀이. - 어깨쭉지(x) ex) · 거기만 오면 이상하게 마음이 차분하게 가라앉으면서 어깻죽지로 힘이 뻗치는 것이다. · 홈런을 맞은 투수는 어깻죽지가 처져 벤치로 들어왔다. ※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어깻죽지’는 [어깨쭉찌/어깯쭉찌]로 소리 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 cf. 어깨(고유어) + 죽지(고유어) = 어깻죽지(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출처: 어깻죽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2.29

뒤편 vs 뒷편

(문제) 건물 뒤편 vs 건물 뒷편 정답: 뒤편(o) - [명사] 뒤로 있는 쪽. =뒤편짝. - 나중의 인편이나 차편. =후편. - 뒤便(편할 편) - 발음[뒤편] - 뒷편(x) ex) · 어머니는 편지의 뒤편에 바뀐 주소를 써넣으셨다. · 주차장은 건물 뒤편에 있습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cf. 된소리..

우리말doit 2023.12.26

흥미거리 vs 흥밋거리

(문제) 나의 흥미거리는 우리말 공부 vs 나의 흥밋거리는 우리말 공부 정답: 흥밋거리(o) - [명사] 흥미를 일으킬 만한 일. - 興味거리(일어날 흥 / 맛 미) - 발음[흥미꺼리, 흥믿꺼리] - 흥미거리(x) ex) · 흥밋거리로 읽는 소설책. · 영화를 보는 것은 그의 유일한 흥밋거리이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우리말doit 2023.12.20

종자돈 vs 종잣돈

(문제) 종자돈을 만들다 vs 종잣돈을 만들다 정답: 종잣돈(o) - [명사] 부실기업을 살리기 위하여 금융 기관에서 새로이 융자하여 주는 자금. - 어떤 돈의 일부를 떼어 일정 기간 동안 모아 묵혀 둔 것으로, 더 나은 투자나 구매를 위해 밑천이 되는 돈. - 발음[종자똔/종잗똔] - 種子돈(씨 종 / 아들 자) - 종자돈(x) ex) · 종잣돈을 굴리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

우리말doit 2023.12.10

뒤태 vs 뒷태

(문제) 뒤태가 곱다 vs 뒷태가 곱다 정답: 뒤태(o) - [명사] 뒤쪽에서 본 몸매나 모양. - 발음[뒤태] - 뒤態(모양 태) - 뒷태(x) ex) · 뒤태가 아리따운 처녀. · 그 앞을 지나쳐 큰아버지 가까이로 올라가고 있는 전립 쓴 사내의 뒤태를 바라보고 서 있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cf. 된..

우리말doit 2023.11.19

단오날 vs 단옷날

(문제) 단오날에 그네를 타다 vs 단옷날에 그네를 타다 정답: 단옷날(o) - [명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 발음[다논날] - 端午날(바를 단 / 낮 오) - 단오날(x) ex) · 우리는 단옷날을 맞아 강릉 단오제에 가기로 했다. · 내일은 쑥절편을 빚는 즐거운 단옷날입니다. cf ≒단양, 단오일, 단옷날, 수리, 수릿날, 약날, 중오. ※ 한자어와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 端午 + 날)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난 것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 이에 따라, ‘단옷날’이 옳은 표현이다. 이와 비슷한 단어로 ‘곗날, 제삿날, 훗날’ 등이 있다..

우리말doit 2023.11.17

해님 vs 햇님

(문제) 해님이 방긋 웃다 vs 햇님이 방긋 웃다 정답: 해님(o) - [명사] '해'를 인격화하여 높이거나 다정하게 이르는 말. - 발음[해님] - 햇님(x) ex) · 봉창이 금세 어둑해진 걸 보니 해님이 숨고 눈발이 치는가 봐요. ※ 해+님: 파생어(어근+접사)로 사이시옷 법칙에 적용 대상이 아니다. → 사이시옷은 합성어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출처: 해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햇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1.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