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 퀴즈 167

어깃장 vs 어깃짱

어깃장과 어깃짱 중에서 표준어는 어깃장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어깃장표준어: 어깃장의미:남의 말이나 행동에 고분고분 따르지 않고 반대로 어기거나 방해하는 태도나 행동을 의미합니다.주로 반항하거나 고의로 반대되는 행동을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예문:"그는 회의 중 계속 어깃장을 놓으며 논의를 방해했다.""어깃장을 놓지 말고 협조 좀 해라."2. 어깃짱비표준어: 어깃짱은 잘못된 표현입니다.발음상의 착오로 인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표준어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요약올바른 표현은 어깃장이며, 문맥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7

인두껍 vs 인두겁

인두껍과 인두겁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표준어는 인두겁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인두겁표준어: 인두겁의미:사람의 겉모습이나 얼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특히 사람의 탈을 쓴 겉모습을 뜻하며, 부정적인 의미로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사람답지 못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비난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어원:'인두(人頭)'는 사람의 머리, '겁'은 껍데기를 뜻하므로, '사람의 껍데기'라는 의미입니다.예문:"인두겁을 쓰고도 그런 짓을 하다니, 정말 사람이라고 볼 수 없다.""인두겁만 썼을 뿐, 그 행동은 짐승보다 못하다."2. 인두껍비표준어: 인두껍은 잘못된 표현입니다.'껍'은 '껍데기'를 뜻하기는 하지만, 표준어로는 인두겁만이 인정됩니다.요약 따라서 올바른 표현은 인두겁입니다. 😊

우리말doit 2024.12.27

질곡(桎梏)이란?

질곡  - [명사] 옛 형구인 차꼬와 수갑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몹시 속박하여 자유를 가질 수 없는 고통의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桎梏(차꼬 질 / 수갑 곡)  ex)    · 질곡의 세월.    · 질곡에서 벗어나다.    · 질곡에 빠지다. cf. 차꼬  - [명사] 죄수를 가두어 둘 때 쓰던 형구(刑具). 두 개의 기다란 나무토막을 맞대어 그 사이에 구멍을 파서 죄인의 두 발목을 넣고 자물쇠를 채우게 되어 있다. ≒족가, 족계.  출처: 질곡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2.27

족대 vs 쪽대

족대와 쪽대는 둘 다 비슷한 발음이지만, 실제로는 족대는 표준어로 존재하는 반면, 쪽대는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아래에서 정확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족대의미:물고기나 작은 수생 동물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주로 그물망이 달린 막대로, 얕은 물가에서 물고기, 새우, 게 등을 잡는 데 사용됩니다.전통적인 어업 도구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예문:"그는 족대를 들고 냇가로 갔다.""족대질로 작은 물고기를 잡았다."2. 쪽대의미:표준어로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만약 특정 지역이나 구어체에서 사용된다면 그 의미를 문맥에 따라 유추해야 합니다.흔히 발음상의 착오로 혼동되거나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결론족대: 표준어로, 물고기를 잡는 도구를 의미.쪽대: 표준어가 아니며, 특정 맥락이나 방언일..

우리말doit 2024.12.27

천렵 vs 천엽

천렵과 천엽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완전히 다릅니다.1. 천렵 (川獵)(내 천 / 사냥할 렵)의미:여름철에 냇가에서 물고기를 잡으면서 더위를 식히는 행위를 말합니다.전통적으로 농촌이나 시골에서 사람들이 더운 날 냇가에서 즐기는 풍습과 연관이 있습니다.예문:"여름이 되면 아이들과 함께 천렵을 나가곤 했다.""천렵은 옛날 농촌의 여름 풍경 중 하나였다."2. 천엽 (千葉)(일천 천 / 나뭇잎 엽)의미:동물의 위(胃) 중 하나를 가리키는 말로, 주로 소의 위를 뜻합니다.소는 네 개의 위를 가지고 있는데, 천엽은 그중 세 번째 위를 말합니다.천엽은 얇은 막처럼 생겨서 주로 곱창 요리나 육회 등의 재료로 사용됩니다.예문:"곱창구이에는 천엽과 함께 곁들여 먹는 것이 별미이다.""천엽을 얇게 썰어 양념..

우리말doit 2024.12.27

지청구란?

지청구  - [명사] 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는 말.  =꾸지람.  - 까닭 없이 남을 탓하고 원망함.  ex)    · 대불이는 고개를 들지 못한 채 숨을 죽였다. 말을 꺼냈다가는 또 무슨 지청구를 들을지 몰랐기 때문이다.    · 그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면 애꿎은 주변 사람들에게 지청구를 늘어놓았다.    · 중구난방으로 지청구가 많던 아낙네들이 그 수하에서 객소리 없이 가사에 열중하고 되었고.... cf. ‘지청구’와 ‘꾸중’과 ‘꾸지람’은 모두 표준어이다. 이는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6항)에 따른 것이다. 제26항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

우리말doit 2024.12.26

개발에 편자

"개발에 편자"는 격에 맞지 않는 상황이나 어울리지 않는 사물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속담입니다.1. 뜻"개발": 개의 발."편자": 말굽에 붙이는 쇳조각.개의 발에 편자를 붙이는 것이 불필요하고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상황에 맞지 않거나 어색한 경우를 빗대어 말합니다.2. 사용 예문그 사람이 명품 옷을 입으니 개발에 편자 같았다.최신 기술을 낡은 기계에 접목하려는 것은 개발에 편자나 다름없다.어울리지 않는 직책을 맡은 그를 보니 개발에 편자란 말이 떠올랐다.3. 비슷한 표현"돼지 목에 진주목걸이": 가치나 격이 맞지 않는 경우를 비유."소 귀에 경 읽기": 대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배보다 배꼽이 크다": 주된 것보다 부수적인 것이 더 크거나 과도한 경우.4. 현대적 해석"개발에 편자"는 현재에도 종..

우리말doit 2024.12.26

고주망태란?

고주망태는 술에 몹시 취한 상태를 의미하는 관용적 표현입니다. 술에 취해 정신을 제대로 차리지 못하거나 비틀거리는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1. 뜻고주: "술"을 뜻하는 옛말.망태: 물건을 담는 망으로 만든 자루. 여기서는 술에 취해 흐트러진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고주망태는 술에 취해 망태기처럼 흐트러진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2. 사용 예문그는 술을 너무 많이 마셔 고주망태가 되어 돌아왔다.친구가 고주망태가 되도록 마셔서 내가 데려다주었다.고주망태가 되기 전에 적당히 마시는 것이 좋다.3. 유사 표현만취: 술에 완전히 취한 상태를 가리키는 말.곤드레만드레: 술에 몹시 취해 비틀거리는 모습.취중: 술에 취한 상태.4. 관용적 의미단순히 술에 취한 상태뿐 아니라, 자제력을 잃고 흩어진 모습..

우리말doit 2024.12.26

가을걷이 vs 가을거지

"가을걷이"와 "가을거지"는 혼동하기 쉬운 표현이지만, 표준어는 "가을걷이"입니다.1. 가을걷이뜻: 가을철에 익은 곡식을 수확하는 일.농사의 마무리 단계로, 추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표준어로 인정된 형태입니다.예문:농부들은 아침부터 가을걷이에 나섰다.올해는 가을걷이도 풍년이 예상된다.2. 가을거지비표준어로, "가을걷이" 발음에서 비롯된 형태.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표준어로 사용하면 안 됩니다.3. 어원과 구성"가을걷이"는 "가을"과 "걷다"에서 파생된 표현으로, "가을에 곡식을 걷는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걷다"는 이 경우 "수확하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정리  "가을걷이"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하며, "가을거지"는 잘못된 표현임을 기억하세요! 😊

우리말doit 2024.12.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