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표준어 비표준어 63

방향 vs 반향

(문제) 방향을 불러일으키다 vs 반향을 불러일으키다  정답: 반향(o)  - [명사] 어떤 사건이나 발표 따위가 세상에 영향을 미치어 일어나는 반응.   - 소리가 어떤 장애물에 부딪쳐서 반사하여 다시 들리는 현상.  - 하나의 악구(樂句)를 곧 약하게 반복하는 일.  - 反響(돌이킬 반 / 소리 울릴 향)  ex)    · 주인마누라의 이 정도의 자그마한 변심에 비하여 반향이 너무나도 큰 데 나는 은근히 놀랐다.    · 모두의 웃음소리가 벙커 벽에 부딪혀 반향이 되어 울렸다. cf. 방향   - [명사] 어떤 방위 (方位)를 향한 쪽.  - 어떤 뜻이나 현상이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는 쪽.  - 方向(모 방 / 향할 향)  ex)    · 동쪽 방향.    · 방향을 잡다.    · 길을 잘못..

우리말doit 2024.12.04

이기죽거리다 vs 이죽거리다

(문제) 계속 이기죽거리며 약을 올리다 vs 계속 이죽거리며 약을 올리다  정답: 이기죽거리다(o), 이죽거리다(o)  - [동사] 자꾸 밉살스럽게 지껄이며 짓궂게 빈정거리다. ≒이기죽대다.  ex)    · 초순이 입을 삐죽거리며 이기죽거렸다. cf. 「준말」 이죽거리다, 익죽거리다   「비슷한말」 이기죽이기죽하다 cf.  ‘이기죽거리다’와 ‘이죽거리다’는 모두 표준어이다. 이는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용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다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16항)에 따른 것이다. 제16항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용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다 표준어로 삼는다.(ㄱ은 본말이며, ㄴ은 준말임.) ㄱㄴ비고노을놀저녁~.막대..

우리말doit 2024.12.04

꽁초 vs 꽁추

(문제) 담배꽁초 vs 담배꽁추  정답: 꽁초(o)  - [명사] 피우다가 남은 작음 담배 도막. =담배꽁초.  - 꽁추(x)  ex)    · 꽁초를 피우다.    · 꽁초를 태우다.    · 꽁초를 재떨이에 버리다. cf. ‘꽁초’가 표준어이고 ‘꽁추’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5항)에 따른 것이다. 제25항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ㄱㄴ비고겸사-겸사겸지-겸지/겸두-겸두 고구마참-감자 고치다낫우다병을 ~.골목-쟁이골목-자기 광주리광우리 괴통호..

우리말doit 2024.12.04

면구스럽다 vs 민주스럽다

(문제) 그는 그녀를 똑바로 쳐다보는 것이 면구스러운 듯 다시 고개를 숙이고 방으로 들어갔다vs 그는 그녀를 똑바로 쳐다보는 것이 민주스러운 듯 다시 고개를 숙이고 방으로 들어갔다  정답: 면구스럽다(o)  - [형용사] 낯을 들고 대하기에 부끄러운 데가 있다.  ≒면괴스럽다, 민망스럽다.  - 민주스럽다(x)  ex)    · 소인이 진작 어르신을 초대했어야 했는데 이리 늦어 고개를 드릭가 면구스러울 뿐입니다. cf. ‘면구스럽다’와 ‘민망스럽다’가 표준어이고 ‘민주스럽다’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생명력을 잃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면, 한자어 계열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2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면구스럽다 사전 - 내용 보..

우리말doit 2024.12.02

까무룩 vs 가무룩

(문제) 까무룩 잠이 들었다 vs 가무룩 잠이 들었다  정답: 까무룩(o)  - [부사] 정신이 갑자기 흐려지는 모양.  - 가무룩(x)  ex)    · 멀쩡하던 노인이 까무룩 쓰러졌다.  출처: 까무룩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까무룩 vs 가무룩1. 표준어까무룩: 표준어가무룩: 비표준어2. 의미까무룩:깊은 잠에 빠지거나 정신이 잠깐 멍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입니다.주로 의식이 흐려지거나 잠깐 잠드는 순간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예시:"피곤해서 눈을 까무룩 감았다.""정신을 까무룩 잃었다가 다시 깼다."가무룩:비표준어로, '까무룩'의 잘못된 발음이나 표기입니다.3. 결론표준어는 "까무룩"입니다."가무룩"은 비표준어이므로, "까무룩"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

우리말doit 2024.12.02

뭉게뭉게 vs 뭉개뭉개

(문제)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 감돌다 vs 구름이 뭉개뭉개 피어 감돌다  정답: 뭉게뭉게(o)  - [부사] 연기나 구름 따위가 크게 둥근 모양을 이루면서 잇따라 나오는 모양.  - 생각이나 느낌이 잇따라 일어나는 모양.  - 뭉개뭉개(x)  ex)    · 연기가 뭉게뭉게 피어오르다.    · 산등성 머리 위에는 뭉게뭉게 눈같이 흰 구름이 눈이 부시게 피어올라 올 뿐이다.    · 미움이 뭉게뭉게 치밀었다.    · 평양이 아군에게 점령되었다는 소식을 듣자 묘한 불안감이 뭉게뭉게 피어올랐다. cf. 몽개몽개  - [부사] 연기나 구름 따위가 작게 둥근 모양을 이루면서 잇따라 나오는 모양.  ex)    · 구름이 몽개몽개 피어난다. 출처: 뭉게뭉게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몽개몽개..

우리말doit 2024.12.02

대거리 vs 댓거리 vs 대꺼리

(문제)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도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대거리가 있었다 vs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고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댓거리가 있었다vs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고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대꺼리가 있었다  정답: 대거리(o)  - [명사] 상대편에게 맞서서 대듦.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 서로 상대의 행동이나 말에 응하여 행동이나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행동이나 말.  - 댓거리(x)  - 대꺼리(x)  ex)    · 뱅골댁이 어떤 배신감 같은 것을 느끼며 한바탕 대거리를 벌일 것처럼 소리를 질러 댔다.    · 여러 번 점심이나 저녁을 얻어먹은 대거리로 마음먹고 택규를 대접하려는 것인가 싶기도 하지마는 ….  출처: 대거리 사전 - 내용 ..

우리말doit 2024.12.02

흰소리 vs 힌소리

(문제) 흰소리를 늘어놓다 vs 힌소리를 늘어놓다  정답: 흰소리(o)  - [명사] 터무니없이 자랑으로 떠벌리거나 거드럭거리며 허풍을 떠는 말.  - 힌소리(x)  ex)    · 눈앞에서는 쥐구멍을 못 찾으면서 뒷전에서는 흰소리를 치는 것이 상놈들의 티를 내는 게 아니냐고.    · 배 선생을 위해 청부 추방을 맡겠다던 수작은 어디까지나 농담이요, 흰소리에 불과한 것이었다. 출처: 흰소리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2.01

닷새 vs 닷세

(문제) 닷새 동안 교육을 받다 vs 닷세 동안 교육을 받다  정답: 닷새(o)  - [명사] 다섯 날.  - 매달 초하루부터 헤아려 다섯째 되는 날. =초닷샛날.  - 닷세(x)  ex)    · 친척 집에서 닷새를 지내다.    · 닷새 뒤에 다시 반납시다.    · 오늘이 닷새니까 이틀 후면 아버님께서 돌아오시겠구나. 출처: 닷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닷새 vs 닷세1. 표준어닷새: 표준어닷세: 비표준어2. 의미닷새: 5일을 의미하는 표준어입니다.예: "이번 주는 닷새 동안 일해야 한다."'닷'**은 '다섯'의 구어적인 표현이며, '새'는 '날'의 옛말입니다. 즉, "다섯 날"을 의미합니다.닷세: 잘못된 발음이거나 잘못된 표기입니다.이는 '닷새'를 잘못 표기하거나 발음한 ..

우리말doit 2024.12.01

마특잖다 vs 마뜩잖다

(문제) 상사는 내가 하는 일이 마특잖은 듯이 노려보았다 vs 상사는 내가 하는 일이 마뜩잖은 듯이 노려보았다  정답: 마뜩잖다(o)  - [형용사] 마음에 들 만하지 아니하다.  - 마특잖다(x)  - 발음[마뜩짠타]  ex)    · 아버지는 그 사람을 사윗감으로 마뜩잖게 생각하였다. cf. ‘마뜩잖다’는 ‘마뜩지(←마뜩하지) 않다’가 줄어든 말인데,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39항)에 따라 ‘마뜩쟎다’로 적지 않고 ‘마뜩잖다’로 적는다. 출처: 마뜩잖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마뜩잖다 vs 마특잖다표준어와 비표준어마뜩잖다: 표준어마특잖다: 비표준어1. 마뜩잖다 (표준어)뜻: 마음에 들지 않거나 탐탁하지..

우리말doit 2024.12.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