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표준어 비표준어 63

제치다 vs 제끼다

(문제) 다른 선수들을 제치고 나아갔다 vs 다른 선수들을 제끼고 나아갔다  정답: 제치다(o)  - [동사]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 일을 미루다.  - 제끼다(x)  ex)    · 그 선수는 양옆에서 달려드는 상대 선수들을 제치고 골을 넣었다.    · 어떻게 나를 제쳐 두고 너희들끼리 놀러 갈 수 있니?    · 신생 중소기업이 선두를 유지하던 대기업을 제쳤다.    · 그는 제집 일을 제쳐 두고 남의 집 일에 발 벗고 나선다.  출처: 제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제치다" vs "제끼다"1. 제치다 (표준어)뜻:경쟁 상대를 이기거나 앞지르다.방해가 되는 것을 비켜 놓다.예문:"그는 모든 ..

우리말doit 2024.11.30

고깝다 vs 꼬깝다

(문제) 괜히 고까운 생각이 들더라 vs 괜히 꼬까운 생각이 들더라  정답: 고깝다(o)  - [형용사] 섭섮하고 야속하여 마음이 언짢다  ≒곡하다.  - 꼬깝다(x)  ex)    · 나를 모르는 체하는 것이 고까운 생각이 들었다.    · 행여 나를 고깝게 여기지는 말게.    · 너 아주 막 나온다. 부르라고 있는 이름 좀 불렀기로서니 그게 그렇게 고깝냐?  출처: 고깝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고깝다" vs "꼬깝다"1. 고깝다 (표준어)뜻: 섭섭하거나 마음에 걸려 불편하거나 못마땅한 감정을 나타냄.주로 감정적 서운함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예문:"친구가 내 부탁을 거절해서 고깝게 느껴졌다.""칭찬 대신 핀잔을 들어서 고깝다."2. 꼬깝다 (비표준어)뜻: "고깝다"의 비..

우리말doit 2024.11.30

금새 vs 금세

(문제) 소문이 금새 퍼졌다 vs 소문이 금세 퍼졌다  정답: 금세(o)  - [부사] 지금 바로. '금시에'가 줄어든 말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된다.  ex)    · 약을 먹은 효과가 금세 나타났다.    · 얄팍한 양철 난로는 금세 빨갛게 달아오르면서 방 안이 훈훈해졌다. ※ ‘금세’의 의미로 ‘금새’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금세’를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 규정 2장 4절 17항 cf. 금새  - [명사] 물건의 값.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  ex)    · 이건 장에다 팔려고 가져온 곶감이지만 금새만 잘 쳐 주면 객주에게 넘길 생각이다.  출처: 금세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금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

우리말doit 2024.02.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