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 퀴즈 167

신출나기 vs 신출내기

(문제) 그녀는 아직 신출나기라서 잘 모른다 vs 그녀는 아직 신출내기라서 잘 모른다  정답: 신출내기(o)  - [명사] 어떤 일에 처음 나서서 일이 서투른 사람.  - 新出내기(새로울 신 / 날 출)  - 신출나기(x)  ex)    · 신출내기 시절엔 실수를 했어도 실수인 줄 몰랐죠.    · 신출내기가 뭘 제대로 알겠나?    · 신출내기라고 얕보지 마세요. cf. ‘신출내기’가 표준어이고 ‘신출나기’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아니하되, 일부 단어의 경우 그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9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신출내기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신출내기’의 뜻의..

우리말doit 2024.11.18

대요 vs 데요

(문제) 저 친구가 운동을 매우 잘한대요 vs 저 친구가 운동을 매우 잘한데요  정답: 대요(o) ‘대요’와 ‘데요’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표현이지만, 문법적으로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두 표현은 듣거나 경험한 사실을 전달할 때 사용되며, 각각의 의미와 쓰임새는 아래와 같습니다.1. ‘대요’의미: 간접적으로 들은 말을 전달할 때 사용.어원: ‘다고 해요’의 줄임말.용법: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하는 역할을 합니다.주로 사실이나 주장, 생각 등을 전달할 때 쓰입니다.예시:"그 식당 음식이 맛있대요."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 (다른 사람이) "그 식당 음식이 맛있다"고 말했다."오늘 날씨가 덥대요."다른 사람이 날씨가 덥다고 한 사실을 전달."그 사람은 내일 출근하지 않을 거래요."‘거래..

우리말doit 2024.11.18

무뉘 vs 무늬 vs 무니

(문제) 나는 꽃무뉘 원피스를 즐겨 입는다 vs 나는 꽃무늬 원피스를 즐겨 입는다  정답: 무늬(o)  - [명사] 물건의 거죽에 어룽져 나타난 어떤 모양. ≒문, 문양.  - 옷감이나 조각품 따위를 장식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양. ≒문양, 문채.  - 무뉘(x)  - 무니(x)  ex)    · 무늬 고운 호랑나비.    · 이 책상은 나무의 무늬를 그대로 살려서 만들었다.    · 유리창에 빗방울이 무늬를 이루고 있다.    · 무늬를 새기다.    · 무늬가 예쁘다.    · 무늬를 넣다. cf. ‘무늬’는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9항)에 따라 ‘무니’로 적지 않고 ‘무늬’로 적는다.  출처: 무..

우리말doit 2024.11.18

흐뭇하다 vs 흐믓하다

(문제) 괜스레 내가 다 흐뭇하다 vs 괜스레 내가 다 흐믓하다  정답: 흐뭇하다(o)  - [형용사] 마음에 흡족하여 매우 만족스럽다.  - 흐믓하다(x)  ex)    · 흐뭇한 기분.    · 흐뭇한 표정을 짓다.    · 아버지는 잘 자란 자식들을 흐뭇하게 여기셨다.  출처: 흐뭇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흐뭇하다"와 "흐믓하다" 중 올바른 표현은 "흐뭇하다"입니다.흐뭇하다뜻: 만족스럽거나 마음에 들어 기쁜 상태를 표현하는 말입니다.어원: 순우리말로, 긍정적인 감정을 나타냅니다.사용 예시:"아이들이 잘 자라는 모습을 보니 참 흐뭇하다.""어르신들은 손자들의 선물을 받고 흐뭇한 미소를 지으셨다."흐믓하다?"흐믓하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표준국어대사전 등 국립국어원에서 인..

우리말doit 2024.11.17

핑계 vs 핑게

(문제) 괜한 핑계 대지 마 vs 괜한 핑게 대지 마  정답: 핑계(o)  - [명사] 내키지 아니하는 사태를 피하거나 사실을 감추려고 방패막이가 되는 다른 일을 내세움.  - 잘못한 일에 대하여 이리저리 돌려 말하는 구차한 변명.  - 핑게(x)  ex)    · 핑계를 삼다.    · 그는 바쁘다는 핑계로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다.    · 자꾸 핑계만 대지 말고 묻는 말에나 대답해. cf.‘핑계’는 ‘계’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8항)에 따라 ‘핑게’로 적지 않고 ‘핑계’로 적는다.  "핑계"와 "핑게" 중 올바른 표현은 "핑계"입니다.핑계뜻: 잘못이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구실이나 이유를 대는 것을 말합니다.어원: 순우리말로, 특정 한자어..

우리말doit 2024.11.17

행설수설 vs 횡설수설

(문제) 불안한 마음에 행설수설했다 vs 불안한 마음에 횡설수설 했다  정답: 횡설수설(o)  - [명사] 조리가 없이 말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임. ≒횡수설거, 횡수설화.  - 橫說竪說(가로 횡 / 말씀 설 / 설 수 / 말씀 설)  - 행설수설(x)  ex)    · 체포된 청년 세 명은 제각기 다른 횡설수설로 수사에 혼란을 주었다.    · 이 생원은 약주가 거나한 김에 횡설수설 되는대로 지껄이고 있을 뿐인지도 몰랐다.    · 말을 하게 된다면 감정에 복받쳐서 횡설수설이 될 것 같았다. 출처: 횡설수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행설수설"과 "횡설수설"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횡설수설"이 올바른 표현이며, "행설수설"은 잘못된 표현입니다.횡설수설(橫說竪說)뜻: 조리 ..

우리말doit 2024.11.17

천혜 vs 천해

(문제) 천혜의 자연 vs 천해의 자연  정답: 천혜(o)  - [명사] 하늘이  베푼 은혜, 또는 자연의 은혜.  - 天惠(하늘 천 / 은혜 혜)  ex)    · 천혜의 보고.    · 천혜의 관광 자원.    · 천혜를 입다.  "천해(天害)"와 "천혜(天惠)"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가 완전히 다른 한자어입니다.1. 천해(天害)뜻: 하늘(천, 天)로부터 내리는 재앙(해, 害) 또는 자연 재해를 의미합니다.사용 예:태풍, 지진, 가뭄, 홍수와 같은 자연적 재앙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천해로 인해 농작물이 모두 망쳤다"와 같이 부정적 맥락에서 주로 쓰입니다.관련 의미: 재난, 자연재해.2. 천혜(天惠)뜻: 하늘(천, 天)로부터 받은 은혜(혜, 惠)를 뜻하며, 주로 자연이 주는 풍부한 혜택이나 아름다..

우리말doit 2024.11.17

지지률 vs 지지율

(문제) 지지률이 급속히 올라갔다 vs 지지율이 급속히 올라갔다  정답: 지지율(o)  - [명사] 선거 따위에서, 유권자들이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비율.  - 支持率(지탱할 지 / 가질 지 / 율 율 / 율 률)  - 지지률(x)  ex)    · 그는 역대 국회 의원 가운데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cf.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률, 렬'로 적고, 받침이 없거나 'ㄴ'받침이나 모음 뒤에서는 '율, 열'로 적습니다.

우리말doit 2024.11.16

어꺠 vs 어깨

(문제) 아버지의 어꺠를 주무르다 vs 아버지의 어깨를 주무르다  정답: 어깨(o)  - [명사] 사람의 몸에서, 목의 아래 끝에서 팔의 위 끝에 이르는 부분. ≒견두.  - 옷소매가 붙은 솔기와 깃 사이의 부분.  - 짐승의 앞다리나 새의 날개가 붙은 윗부분.  - 힘이나 폭력 따위를 일삼는 불량배를 속되게 이르는 말.  - 어꺠(x)  ex)    · 어깨가 쑤시다.    · 어깨가 딱 벌어지다.    · 어깨를 펴다.    · 요사이는 어깨가 넓은 옷이 유행이다.    · 새의 어깨는 등쪽으로 올라와 있다.    ·

우리말doit 2024.11.14

챙피하다 vs 창피하다

(문제) 나는 네가 챙피하다 vs 나는 네가 창피하다  정답: 창피하다(o)  - [형용사] 체면이 깎이는 일이나 아니꼬운 일을 당하여 부끄럽다.  - 猖披하다(미쳐 날뛸 창 / 해칠 피)  - 챙피하다(x)  ex)    · 너는 동생하고 싸우는 것이 창피하지도 않니?    · 나는 그 사람에게 눈물을 보인 것이 무척 창피했다.    · 나는 부모님께 형편없는 성적표를 보여 드리기가 창피하여 얼굴을 들 수 없었다.   출처: 창피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1.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