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말 겨루기 103

꽁초 vs 꽁추

(문제) 담배꽁초 vs 담배꽁추  정답: 꽁초(o)  - [명사] 피우다가 남은 작음 담배 도막. =담배꽁초.  - 꽁추(x)  ex)    · 꽁초를 피우다.    · 꽁초를 태우다.    · 꽁초를 재떨이에 버리다. cf. ‘꽁초’가 표준어이고 ‘꽁추’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5항)에 따른 것이다. 제25항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ㄱㄴ비고겸사-겸사겸지-겸지/겸두-겸두 고구마참-감자 고치다낫우다병을 ~.골목-쟁이골목-자기 광주리광우리 괴통호..

우리말doit 2024.12.04

면구스럽다 vs 민주스럽다

(문제) 그는 그녀를 똑바로 쳐다보는 것이 면구스러운 듯 다시 고개를 숙이고 방으로 들어갔다vs 그는 그녀를 똑바로 쳐다보는 것이 민주스러운 듯 다시 고개를 숙이고 방으로 들어갔다  정답: 면구스럽다(o)  - [형용사] 낯을 들고 대하기에 부끄러운 데가 있다.  ≒면괴스럽다, 민망스럽다.  - 민주스럽다(x)  ex)    · 소인이 진작 어르신을 초대했어야 했는데 이리 늦어 고개를 드릭가 면구스러울 뿐입니다. cf. ‘면구스럽다’와 ‘민망스럽다’가 표준어이고 ‘민주스럽다’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생명력을 잃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면, 한자어 계열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2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면구스럽다 사전 - 내용 보..

우리말doit 2024.12.02

데면데면 vs 대면대면

(문제) 그는 누구를 만나도 데면데면 대한다 vs 그는 누구를 만나도 대면대면 대한다  정답: 데면데면(o)  - [부사]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친밀감이 없이 예사로운 모양. ≒데면데면히.  - 성질이 꼼꼼하지 않아 행동이 신중하거나 조심스럽지 않은 모양.  ≒데면데면히.  - 대면대면(x)  ex)    · 그는 책장을 데면데면 넘긴다.    · 데면데면 일을 하면 꼭 탈이 생기게 마련이다.   출처: 데면데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데면데면 vs 대면대면1. 표준어데면데면: 표준어대면대면: 비표준어2. 의미데면데면:친밀하지 않고 서먹서먹한 태도나 조심스럽거나 성의 없이 대하는 모습을 뜻합니다.사람 간의 관계나 태도에서 거리감이 느껴지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예시:"그 ..

우리말doit 2024.12.02

까무룩 vs 가무룩

(문제) 까무룩 잠이 들었다 vs 가무룩 잠이 들었다  정답: 까무룩(o)  - [부사] 정신이 갑자기 흐려지는 모양.  - 가무룩(x)  ex)    · 멀쩡하던 노인이 까무룩 쓰러졌다.  출처: 까무룩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까무룩 vs 가무룩1. 표준어까무룩: 표준어가무룩: 비표준어2. 의미까무룩:깊은 잠에 빠지거나 정신이 잠깐 멍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입니다.주로 의식이 흐려지거나 잠깐 잠드는 순간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예시:"피곤해서 눈을 까무룩 감았다.""정신을 까무룩 잃었다가 다시 깼다."가무룩:비표준어로, '까무룩'의 잘못된 발음이나 표기입니다.3. 결론표준어는 "까무룩"입니다."가무룩"은 비표준어이므로, "까무룩"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

우리말doit 2024.12.02

뭉게뭉게 vs 뭉개뭉개

(문제)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 감돌다 vs 구름이 뭉개뭉개 피어 감돌다  정답: 뭉게뭉게(o)  - [부사] 연기나 구름 따위가 크게 둥근 모양을 이루면서 잇따라 나오는 모양.  - 생각이나 느낌이 잇따라 일어나는 모양.  - 뭉개뭉개(x)  ex)    · 연기가 뭉게뭉게 피어오르다.    · 산등성 머리 위에는 뭉게뭉게 눈같이 흰 구름이 눈이 부시게 피어올라 올 뿐이다.    · 미움이 뭉게뭉게 치밀었다.    · 평양이 아군에게 점령되었다는 소식을 듣자 묘한 불안감이 뭉게뭉게 피어올랐다. cf. 몽개몽개  - [부사] 연기나 구름 따위가 작게 둥근 모양을 이루면서 잇따라 나오는 모양.  ex)    · 구름이 몽개몽개 피어난다. 출처: 뭉게뭉게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몽개몽개..

우리말doit 2024.12.02

대거리 vs 댓거리 vs 대꺼리

(문제)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도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대거리가 있었다 vs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고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댓거리가 있었다vs 흙을 집어 먹는 한이 있더라고 그런 거래를 할 수는 없다는 식의 대꺼리가 있었다  정답: 대거리(o)  - [명사] 상대편에게 맞서서 대듦.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 서로 상대의 행동이나 말에 응하여 행동이나 말을 주고받음. 또는 그 행동이나 말.  - 댓거리(x)  - 대꺼리(x)  ex)    · 뱅골댁이 어떤 배신감 같은 것을 느끼며 한바탕 대거리를 벌일 것처럼 소리를 질러 댔다.    · 여러 번 점심이나 저녁을 얻어먹은 대거리로 마음먹고 택규를 대접하려는 것인가 싶기도 하지마는 ….  출처: 대거리 사전 - 내용 ..

우리말doit 2024.12.02

마특잖다 vs 마뜩잖다

(문제) 상사는 내가 하는 일이 마특잖은 듯이 노려보았다 vs 상사는 내가 하는 일이 마뜩잖은 듯이 노려보았다  정답: 마뜩잖다(o)  - [형용사] 마음에 들 만하지 아니하다.  - 마특잖다(x)  - 발음[마뜩짠타]  ex)    · 아버지는 그 사람을 사윗감으로 마뜩잖게 생각하였다. cf. ‘마뜩잖다’는 ‘마뜩지(←마뜩하지) 않다’가 줄어든 말인데,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39항)에 따라 ‘마뜩쟎다’로 적지 않고 ‘마뜩잖다’로 적는다. 출처: 마뜩잖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마뜩잖다 vs 마특잖다표준어와 비표준어마뜩잖다: 표준어마특잖다: 비표준어1. 마뜩잖다 (표준어)뜻: 마음에 들지 않거나 탐탁하지..

우리말doit 2024.12.01

제치다 vs 제끼다

(문제) 다른 선수들을 제치고 나아갔다 vs 다른 선수들을 제끼고 나아갔다  정답: 제치다(o)  - [동사]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 일을 미루다.  - 제끼다(x)  ex)    · 그 선수는 양옆에서 달려드는 상대 선수들을 제치고 골을 넣었다.    · 어떻게 나를 제쳐 두고 너희들끼리 놀러 갈 수 있니?    · 신생 중소기업이 선두를 유지하던 대기업을 제쳤다.    · 그는 제집 일을 제쳐 두고 남의 집 일에 발 벗고 나선다.  출처: 제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제치다" vs "제끼다"1. 제치다 (표준어)뜻:경쟁 상대를 이기거나 앞지르다.방해가 되는 것을 비켜 놓다.예문:"그는 모든 ..

우리말doit 2024.11.30

고깝다 vs 꼬깝다

(문제) 괜히 고까운 생각이 들더라 vs 괜히 꼬까운 생각이 들더라  정답: 고깝다(o)  - [형용사] 섭섮하고 야속하여 마음이 언짢다  ≒곡하다.  - 꼬깝다(x)  ex)    · 나를 모르는 체하는 것이 고까운 생각이 들었다.    · 행여 나를 고깝게 여기지는 말게.    · 너 아주 막 나온다. 부르라고 있는 이름 좀 불렀기로서니 그게 그렇게 고깝냐?  출처: 고깝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고깝다" vs "꼬깝다"1. 고깝다 (표준어)뜻: 섭섭하거나 마음에 걸려 불편하거나 못마땅한 감정을 나타냄.주로 감정적 서운함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예문:"친구가 내 부탁을 거절해서 고깝게 느껴졌다.""칭찬 대신 핀잔을 들어서 고깝다."2. 꼬깝다 (비표준어)뜻: "고깝다"의 비..

우리말doit 2024.11.30

귀저기 vs 기저기 vs 기저귀

정답: 기저귀(o)  - [명사] 어린아이의 똥오줌을 받아 내기 위하여 다리 사이에 채우는 물건. 천이나 종이로 만든다.  ex)    · 일회용 종이 기저귀.    · 기저귀를 채우다.    · 기저귀를 갈다.   출처: 기저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어휘, 구성단위, 고유어 여부, 원어, 어원, 주표제어, 부표제어, 발음, 활용, 검색용 이형태, 품사, 공통 문형, 의미 문형, 공통 문법, 의미 문법, 뜻풀이, 용례, 범주, 전문 분야, 속담, 관용구, 대역stdict.korean.go.kr "귀저기", "기저기", "기저귀"는 모두 아기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천이나 일회용 용품을 지칭하는 말이지만, 이 중에서 표준어는 "기저귀"입니다.1..

우리말doit 2024.11.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