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말 겨루기 103

영인(影印)이란?

영인(影印)은 문서나 그림, 책 등을 원본 그대로 복사하거나 인쇄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자어로, "影(그림자 영)"과 "印(도장 인, 인쇄할 인)"이 결합된 단어로, 원본의 형상(그림자)을 그대로 찍어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뜻원본의 내용을 손상시키거나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복제하는 행위.주로 문서, 고서(옛날 책), 그림 등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특징정확한 복제:원본의 모든 내용을 변형 없이 동일하게 재현.예: 글자, 그림, 형식, 심지어는 종이의 얼룩이나 색깔까지 복제 가능.활용 분야:학술적 연구: 고문서나 역사적 자료를 보존하고 연구할 때.출판 및 보급: 원본의 훼손을 방지하면서도 널리 배포하고자 할 때.보존: 귀중한 자료를 원본 대신 영인본으로 보관하여 원본 손상을 최소화.기..

우리말doit 2024.12.21

동맹휴학(同盟休學)이란?

동맹휴학(同盟休學)은 학생들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조직적으로 학교 수업에 참여하지 않고 단체로 휴학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대개 정치적, 사회적, 또는 교육적 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집단적인 행동입니다.뜻과 어원동맹(同盟):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힘을 합쳐 행동하는 것.휴학(休學): 학업을 쉬는 행위.→ 학생들이 단결하여 같은 뜻을 가지고 집단적으로 학업을 중단하는 행동.목적동맹휴학은 대개 항의나 요구 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집니다.정치적 요구:독재 정권에 반대하거나, 정치적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예: 이승만 부정선거(3.15)와 4.19 혁명 당시 학생들이 주도한 민주화 운동.교육 문제:학내 문제 해결 요구, 교육 제도 개선 촉구.예: 등록금 인하, 교육 환경 개선.사회적 연대:사회..

우리말doit 2024.12.21

뒤꿈치 vs 뒷꿈치

뒤꿈치 vs 뒷꿈치1. 뒤꿈치올바른 표현: 표준어뜻: 발의 뒤쪽에 튀어나온 부분.예문: "발뒤꿈치가 닳아서 아프다."2. 뒷꿈치비표준어: 잘못된 표현"뒤꿈치"의 비표준적 형태로, 잘못 사용된 표현입니다.설명"뒤"는 단독으로 쓰일 때나 다른 단어와 결합할 때, 기본형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따라서 "뒤" + "꿈치" = 뒤꿈치가 맞습니다."뒷"은 조사나 다른 명사와 결합할 때 종종 쓰이지만, 이 경우는 어법상 맞지 않습니다.예시올바른: "운동화를 신었더니 뒤꿈치가 까졌다."잘못된: "운동화를 신었더니 뒷꿈치가 까졌다." cf. ‘뒤꿈치’는 접미사 ‘-꿈치/-굼치’는 ‘-꿈치’로 통일하여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54항)에 따라 ‘뒷굼치’로 적지 않고 ‘뒤꿈치’로 적는다. 제54항 다음과 같은 ..

우리말doit 2024.12.20

진경제(鎭痙劑)란?

진경제(鎭痙劑)는 근육의 경련을 완화하거나 억제하는 약물을 뜻합니다. 주로 평활근(spasms of smooth muscle)의 과도한 수축으로 발생하는 통증이나 불편감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뜻진(鎭): 진정시키다, 가라앉히다.경(痙): 경련, 근육의 수축이나 떨림.제(劑): 약물, 제제.즉, 진경제는 경련을 진정시키는 약물이라는 뜻입니다.용도소화기계 질환:위경련,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장 통증 등에 사용.예: 복부 팽만감, 설사, 복통 완화.비뇨기계 질환:방광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한 통증 완화.요로 경련 치료.생리통:자궁 근육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한 생리통 완화.기타:담도(담석증 등) 및 담관 경련.호흡기 경련(천식의 일부 치료에서 보조적으로 사용).작용 기전진경제는 근육의 수축 신호를 차단..

우리말doit 2024.12.20

여독(旅毒)이란?

여독(旅毒)은 여행을 다녀온 후 느끼는 피로감이나 체력적, 정신적 부담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여행이 주는 즐거움 뒤에 남는 부작용이나 피곤함을 가리킵니다.뜻과 어원여(旅): 여행, 떠돌다, 이동하다.독(毒): 독, 해로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 "여행의 독"이라는 뜻으로, 여행 과정에서의 과도한 이동, 일정, 환경 변화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부작용을 나타냄.특징육체적 증상:과도한 걷기, 이동 등으로 몸이 피로해짐.시차 적응 문제로 인한 수면 부족.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하는 체력 저하.정신적 증상:여행 후의 공허감이나 우울감.여행 중 긴장감, 준비 과정에서의 스트레스.주요 원인:빡빡한 일정.장거리 이동.낯선 환경에서의 스트레스.해결 방법여행 중:무리하지 않고 여유로운 일정을 짤 것.충..

우리말doit 2024.12.19

목례 vs 묵례

"목례"와 "묵례"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뜻과 사용 방식이 전혀 다른 단어입니다.1. 목례 (目禮)뜻: 눈으로 하는 간단한 인사.한자: 目(눈 목) + 禮(예절 례)의미: 고개를 가볍게 끄덕이거나 눈길만으로 간단히 인사하는 것. 말이나 몸짓 없이 시선을 통해 예의를 표하는 행동입니다.사용 상황:격식을 차리기보다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간단히 인사할 때.예: "멀리서 선배와 눈이 마주쳐 목례를 나눴다."2. 묵례 (黙禮)뜻: 말없이 조용히 하는 인사.한자: 黙(잠잠할 묵) + 禮(예절 례)의미: 소리 내어 말하거나 몸짓 없이 고개를 숙이며 예를 표하는 것. 주로 경건하거나 조용한 분위기에서 사용됩니다.사용 상황:경건한 자리나 추모의 뜻을 표할 때.예: "추모식에서 고인의 명복을 빌며 묵례를 올렸다."비교 요약..

우리말doit 2024.12.19

진눈깨비란?

진눈깨비란?진눈깨비는 눈과 비가 섞여 내리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물기가 많은 상태로 내리며, 완전히 녹지 않은 눈송이와 비가 섞여 내리기 때문에 겨울철이나 초봄에 주로 관찰됩니다.특징:대기 온도가 0℃에 가까운 상태에서 발생.눈이 완전히 얼음 결정으로 변하지 못한 상태에서 떨어지며, 지표에 닿으면 쉽게 녹습니다.미끄럽거나 질척거린 도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늘에서 내리는 눈의 종류눈의 형태와 내리는 방식은 대기 상태, 온도, 습도에 따라 달라집니다.1. 싸락눈특징: 둥근 얼음 알갱이처럼 단단한 눈.발생 조건: 상층 기온이 낮아 물방울이 빠르게 얼어붙을 때.소리: 지표에 떨어질 때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냄.2. 함박눈특징: 크고 두꺼운 눈송이.발생 조건: 대기 중 습도가 높고 기온이 영하로 ..

우리말doit 2024.12.19

이듬해란?

이듬해는 "다음 해"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뜻과 사용뜻: 어떤 해의 바로 다음 해.예를 들어, 2023년 기준으로 이듬해는 2024년입니다.어원: "이듬-"은 "다음"의 고유어 형태이며, "해"는 한 해를 의미합니다.용례"그는 이듬해 봄에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이듬해부터 새로운 규정이 시행될 예정이다."유사어다음 해: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지만, 보다 일상적이고 직접적인 표현.이해(翌年): 한자 표현으로 "이듬해"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주로 문어체에서 사용됨."이듬해"는 문학적, 감성적인 뉘앙스를 담고 있어, 일상보다 문학 작품에서 더 자주 보이는 단어입니다.

우리말doit 2024.12.17

허투루 vs 허투로

(문제) 허투루 말하다 vs 허투로 말하다   정답: 허투루(o)  - [부사] 아무렇게나 되는대로.  - 허투로(x)  ex)    · 허투루 쓰다.    · 손님을 허투루 대접하다. 출처: 허투루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허투루"와 "허투로"는 발음이나 표기에서 혼동될 수 있으나, 올바른 표준어는 "허투루"입니다.1. 허투루의미: 함부로, 아무렇게나, 중요하지 않게 대충 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용례:"시간을 허투루 쓰지 마라.""그의 말은 허투루 흘려들을 것이 아니다."표준어: "허투루"가 맞는 표기입니다.2. 허투로잘못된 표현: "허투루"의 오용된 형태.구어체에서 혼동되어 쓰이는 경우가 있으나, 표준 맞춤법에 어긋납니다.요약표준어: 허투루비표준어: 허투로글을 쓸 때나 말할 ..

우리말doit 2024.12.16

소슬(蕭瑟)하다란?

[형용사]  - 으스스하고 쓸쓸하다.  - 蕭瑟(맑은 대쑥 소 / 큰 거문고 슬)  ex)    · 어느덧 가을도 소슬하게 짙어 가고 있다.    · 몸을 스치는 바닷바람이 제법 소슬하게 느껴졌다.    · 마당가의 코스모스꽃을 어지럽게 흔들면서 소슬한 가을바람이 지나갔다. 「비슷한말」 소연하다(蕭然하다), 소조하다(蕭條하다) 출처: 소슬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소슬하다(蕭瑟하다)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는 한국어 형용사입니다:1. 의미쓸쓸하고 서늘하다: 주로 가을의 분위기를 묘사할 때 사용되며, 쓸쓸함과 함께 서늘한 느낌을 전달합니다.한자 의미:蕭(소): 쓸쓸하다, 삭막하다.瑟(슬): 율동적이며 약간의 떨림이 있는 상태를 나타냄. 이 두 글자가 합쳐져 바람이 불어 ..

우리말doit 2024.12.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