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941

삼가다 vs 삼가하다

(문제) 삼가다 vs 삼가하다  정답: 삼가다(o)  - [동사]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 꺼리는 마음으로 양(量)이나 횟수가 지나치지 아니하도록 하다.  - 삼가하다(x)  ex)    · 말을 삼가다.    · 어른 앞에서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 술을 삼가다.    · 문밖출입을 삼가다.    · 그는 건강을 위하여 담배를 삼가기로 했다. cf. "삼가다"는 기본형으로 이미 동사이기 때문에, "삼가하다"처럼 다시 "하다"를 붙이는 것은 문법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출처: 삼가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삼가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1.02

몇 시에요? vs 몇 시예요?

(문제) 지금 몇 시에요? vs 지금 몇시예요?  정답: 몇 시예요?(o)  - 받침 없는 명사 뒤에는 '-이에요'의 준말인 ‘-예요’가 쓰이므로 ‘몇 시예요?’가 맞는 말입니다.  cf. 에요"와 "예요"는 모두 비슷한 발음을 가지고 있지만, 문법적으로 구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1. 이에요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 사용합니다.예:"이것은 책이에요." ("책"은 받침이 있음)"저 사람은 학생이에요." ("학생"은 받침이 있음)  2. 예요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 사용합니다.예:"저건 시계예요." ("시계"는 받침이 없음)"이 사람은 친구예요." ("친구"는 받침이 없음)

우리말doit 2024.11.02

보무라지 vs 보푸라기

(문제) 옷에 보무라지가 일어났다 vs 옷에 보푸라기가 일어났다  정답: 보푸라기(o)  - [명사] 보풀의 낱개.  ex)    · 털옷의 보푸라기.    · 보푸라기가 일다.    · 낡은 옷의 보푸라기를 하나하나 떼어 냈다. cf. 보무라지  - [명사] 종이, 헝겊, 실 따위의 자잘한 부스러기. ≒보물.  ex)    · 방바닥에 헝겊 보무라지가 널려 있다. 보푸라기와 보무라지는 모두 옷감이나 섬유 제품에서 생기는 섬유 뭉침이지만, 약간 다른 점이 있습니다.보푸라기보푸라기는 옷이나 섬유 표면에서 짧은 섬유들이 뭉쳐져 생긴 작은 털이나 솜 같은 덩어리를 말합니다.보통 마찰에 의해 옷의 표면에 생기며, 손이나 세탁 시에 쉽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얇고 부드러운 원단(예: 니트, 스웨터)에서 자주 발생합..

우리말doit 2024.11.02

빠루란?

빠루는 공사 현장에서 흔히 쓰이는 도구로, 쇠지렛대 또는 노루발못뽑이라고도 불립니다. "빠루"라는 용어는 일본어 바루 (バール, bar)에서 유래했으며, 금속으로 된 긴 막대 끝부분이 납작하게 되어 있는 모양의 도구입니다.  빠루의 용도빠루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아래와 같은 작업에서 유용합니다:못 제거: 빠루 끝부분이 납작하고 약간 갈라진 형태로, 나무에 박힌 못을 뽑을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문이나 판자 뜯기: 문짝이나 판자, 또는 구조물을 뜯어내거나 분해할 때 빠루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쉽게 뜯을 수 있습니다.지렛대 역할: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때나 밀어낼 때 지렛대로 사용해 힘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빠루의 구성과 특징끝부분이 평평하고 넓으며 갈라진 모양으로 되어 있어 못이나 얇은 판자..

건설 및 공사 현장 용어

1. 주요 공정 용어타설: 콘크리트를 일정한 틀에 부어 넣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건축 구조물의 기초를 세우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양생: 타설된 콘크리트를 단단하게 굳히는 과정으로, 콘크리트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물을 뿌리거나 습도를 유지하며 관리하는 작업입니다.철근 배근: 철근을 콘크리트 내부에 배치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구조물의 형태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거푸집: 콘크리트를 부어 굳힐 때 틀을 잡아주는 임시 구조물입니다.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합니다.골조공사: 건축물의 뼈대(구조물)를 세우는 공사로, 주로 철근콘크리트나 철골을 사용하여 건물의 골격을 만듭니다.2. 작업 및 장비 용어동바리: 건축물의 천장 또는 거푸집을 지지해주는 임시 지지대입니..

노가다란?

"노가다"라는 용어는 일본어 土方 (どかた, 도카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일본어에서 "도카타"는 "흙(토)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주로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육체노동자를 가리킵니다. 이 단어가 한국에 들어와 발음이 변형되고 "노가다"라는 형태로 사용되게 된 것입니다.한국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힘든 육체노동이나 반복적인 작업을 뜻하는 속어로 자리 잡아 건설 노동뿐 아니라, 힘들고 고된 일이나 반복적인 작업을 가리킬 때에도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의 의미 확장한국에서는 원래 의미인 건설 현장의 노동을 넘어 고된 육체노동 전반이나 반복적인 작업을 뜻하는 속어로 의미가 확장되었습니다.노가다는 단순히 건설 노동뿐 아니라, 일이 힘들고 반복적이어서 지치는 작업을 가리킬 때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

보험자, 피보험자란?

피보험자와 보험자는 보험 계약에서 중요한 두 주체로, 각자의 역할이 다릅니다. 이 둘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보험 계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피보험자 (Insured)피보험자는 보험에 가입된 대상이 되는 사람이나 물건을 의미하며, 보험의 혜택을 받는 주체입니다. 보험 사고(예: 질병, 사고)가 발생할 때 보장을 받는 대상이 피보험자입니다. 피보험자가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손해를 입으면 보험금이 지급됩니다.예시:생명보험에서는 피보험자의 생명 또는 신체가 보험 대상입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를 피보험자로 생명보험에 가입하면 자녀가 사고를 당하거나 사망했을 때 보험금이 지급됩니다.자동차보험에서 피보험자는 차량을 소유한 사람이나 실제로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역할:피보험..

보험 용어

주요 보험 용어보험계약자 (Policyholder)보험에 가입하여 보험료를 납부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보험계약자는 보험사와 직접 계약을 맺고 보험료를 지불하는 주체이며, 반드시 피보험자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를 위해 보험에 가입할 경우 부모가 보험계약자가 되고 자녀가 피보험자가 됩니다.피보험자 (Insured)보험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보험 사고가 피보험자에게 발생할 경우 보험금이 지급되며, 생명보험의 경우 피보험자의 생명이 보장 대상이 됩니다.수익자 (Beneficiary)보험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수령할 권리가 있는 사람입니다. 수익자는 피보험자와 동일할 수도 있고, 피보험자와 다른 제3자일 수도 있습니다.보험료 (Insurance Premium)보험계약..

보험료, 보험비, 보험금이란?

보험료, 보험비, 보험금은 보험과 관련된 주요 개념이며,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험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이 세 가지를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각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보험료 (Insurance Premium)보험료는 보험 가입자가 보험 회사에 정기적으로 지불하는 금액입니다. 보험료를 납부함으로써 보험 가입자는 보험 혜택을 받을 권리를 얻습니다. 보험료는 계약 조건에 따라 매달, 매년, 또는 일시불로 지불할 수 있으며, 보험료 수준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보험료 산정 요인:보험 종류: 생명보험, 자동차보험, 건강보험 등 보험 종류에 따라 보험료가 다릅니다.위험도: 가입자의 연령, 건강 상태, 직업 등 위험 요소에 따라 보험료가 높아지거나 낮아집니..

올림픽평균이란?

올림픽 평균은 최댓값과 최솟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값들로 평균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계산법은 주로 극단적인 값이 포함되어 전체 평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여러 데이터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제거하여 평균을 내면 보다 중앙에 가까운 값이 반영된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올림픽 평균의 계산 방법데이터에서 가장 큰 값(최댓값)과 가장 작은 값(최솟값)을 각각 하나씩 제외합니다.나머지 값들로 합을 구하고, 그 값들을 나눈 평균을 계산합니다.   올림픽 평균의 용도올림픽 평균은 스포츠 경기, 예술 채점, 데이터 분석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올림픽 평균이 유용한 경우올림픽 평균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특히 유용합니다:스포츠 점수 계산: 예를 들어 피겨스케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