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 441

거적떼기 vs 거적때기

(문제) 거적떼기를 덮다 vs 거적때기를 덮다 정답: 거적때기(o) - [명사] 거적 조각. - 거적떼기(x) ex) · 거적때기라도 하나 깔고 앉으니 맨땅에 앉았을 때보다는 한결 추위가 덜 느껴졌다. · 뒤쪽 한 부분에 거적때기가 덮여 있었고 떨어지지 않게 새끼로 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cf. 거적 - [명사] 짚을 두툼하게 엮거나, 새끼로 날을 하여 짚으로 쳐서 자리처럼 만든 물건. 허드레로 자리처럼 쓰기도 하며, 한데에 쌓은 물건을 덮기도 한다. - 섬을 만들려고 엮은 거적이나 섬을 뜯은 거적. ex) · 마당에 거적을 깔다. · 그 걸인은 다리 아래서 거적을 쓰고 살고 있다. 출처: 거적때기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거적 사전 - 내용 보기 |..

우리말doit 2023.10.11

뾰두라지 vs 뾰두락지

(문제) 이마에 난 뾰두라지 vs 이마에 난 뾰두락지 정답: 뾰두라지(o) - [명사] 뾰족하게 부어오른 작은 부스럼. - 동의어[뾰루지] - 뾰두락지(x) ex) · 코에 뾰두라지가 나서 밖에 나가기 싫다. cf. 뾰루지 - [명사] 뾰족하게 부어오른 작은 부스럼. ex) · 이마에 난 뾰루지 때문에 무척 신경이 쓰인다. · 전장에서는 인간의 죽음이 뾰루지만큼도 심각하지가 못하다. 출처: 뾰두라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뾰루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11

다람지 vs 다람쥐

(문제) 다람지 vs 다람쥐 정답: 다람쥐(o) - [명사] 쥐목의 다람쥐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다람쥣과의 포유류. 몸의 길이는 12~15cm이다. 몸은 붉은 갈색이고 아래쪽은 흰색, 배는 담색이며 등에 다섯 개의 검은 줄이 있다. 꼬리가 굵고 입에는 볼주머니가 있으며 나무를 잘 탄다. 겨울에는 나무 구멍이나 땅속에 굴을 파고 동면하는데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다람지(x) ex) · 다람쥐 쳇바퀴 돌듯 출처: 다람쥐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11

에구머니 vs 에그머니

(문제) 에구머니, 깜짝이야 vs 에그머니, 깜짝이야 정답: 에구머니(o) - [감탄사] '어이구머니' 의 준말 - 에그머니(x) ex) · 에구머니, 깜짝이야! · 에구머니, 일이 왜 이렇게 되었담? · 에구머니, 깜빡 잊었네! cf. 어이구머니 - [감탄사] '어이구' 보다 느낌이 더 간절할 때 내는 소리 cf. 어이구 - [감탄사] 몹시 아프거나 힘들거나 놀라거나 원통하거나 기막힐 때 내는 소리. - 몹시 반갑거나 좋을 때 내는 소리. - 몹시 절망하거나 좌절하거나 탄식할 때 내는 소리. ex) · 어이구, 다리야. · 어이구, 속이 다 확 풀리네. · 어이구, 이제 나는 죽었다. 출처: 에구머니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어이구머니 사전 - 내용 보..

우리말doit 2023.10.10

욱신거리다 vs 욱씬거리다

(문제) 머리가 욱신거리다 vs 머리가 욱씬거리다 정답: 욱신거리다(o) - [동사] 여럿이 한데 많이 뒤섞여 몹시 수선스럽게 들끓다. - 머리나 상처 따위가 자꾸 쑤시는 듯이 아파 오다. - 발음[욱씬거리다] - 욱씬거리다(x) ex) · 이가 욱신거리다. · 허리가 욱신거리다. · 연곡사 골짜기를 줴흔들었던 할머니의 굿거리 꽹과리 소리며, 설월 스님의 청청한 독경 소리가 머릿속에 욱신거리는 것이었다. 출처: 욱신거리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09

놀래미 vs 노래미

(문제) 놀래미 한 마리가 낚싯줄에 걸려들었다 vs 노래미 한 마리가 낚싯줄에 걸려들었다 정답: 노래미(o) - [명사] 쥐노래미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30~60cm이며, 누런빛이 도는 갈색에 어두운 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있다. 몸은 가늘고 길며 머리가 뾰족하고, 바위가 많은 바다 밑바닥에 산다. 한국의 연해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놀래미(x) ※ '놀래미'는 지역 방언(전남,제주)이다.

우리말doit 2023.10.09

진탕 vs 진창

(문제) 술을 진탕 마셨다 vs 술을 진창 마셨다 정답: 진탕(o) - [부사] 싫증이 날 만큼 아주 많이. - 발음[진탕] - 진宕(방탕할 탕) - 진창(x) ex) · 돈을 진탕 써 버리다. · 천안 지방으로 김옥균의 부인 유 씨의 행방을 찾아 나섰다가 동학군에게 붙들려 진탕 고생을 한 그였다. 출처: 진탕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진창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09

뒤풀이 vs 뒷풀이

(문제) 뒤풀이 하러 가다 vs 뒷풀이 하러 가다 정답: 뒤풀이(o) - [명사] 어떤 일이나 모임을 끝낸 뒤에 서로 모여 여흥을 즐김. 또는 그런 일. - 뒷풀이(x) ex) · 오늘이 종강인데 수업 후에 우리 다 뒤풀이합시다. · 사물놀이가 끝나고 농민들은 뒤풀이하면서 그동안의 설움을 달랬다. ※ 뒤 + 풀이 : 사이시옷 조건에 해당하지 않아 '뒤풀이' 로 적는다. cf.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을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ex. 귓밥) (2) 뒷말의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ex. 아랫마을)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ex. 나뭇잎) 2. 순우..

우리말doit 2023.10.0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