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맞춤법 441

쓱삭 vs 쓱싹

(문제) 팔둑만 한 나무를 톱으로 쓱삭 잘라 냈다 vs 팔둑만 한 나무를 톱으로 쓱싹 잘라 냈다 정답: 쓱싹(o) - [부사] 톱질이나 줄질을 할 때 나는 소리. - 옳지 아니한 일을 슬쩍 얼버무려 해치우는 모양. - 셈하여야 할 것을 하지 아니하고 엇셈을 하여 버리는 모양. - 쓱삭(x) ex) · 쓱싹 해치우다. · 그까짓 거 쓱싹 서로 엇셈을 해치우면 돼. 출처: 쓱싹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19

수수께끼 vs 수수깨끼

(문제) 수수께끼의 인물 vs 수수깨끼의 인물 정답: 수수께끼(o) - [명사] 어떤 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아니하고 빗대어 말하여 알아맞히는 놀이. -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복잡하고 이상하게 얽혀 그 내막을 쉽게 알 수 없는 것. - 수수깨끼(x) ex) · 수수께끼를 내다. · 수수께끼를 알아맞히느라 몇십 분 동안 끙끙대었다. · 그 사건은 영원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 삶은 숱한 신비와 수수께끼를 담고 있다. 출처: 수수께끼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19

실증 vs 싫증

(문제) 그는 암기식 공부에 금방 실증을 느꼈다 vs 그는 암기식 공부에 금방 싫증을 느꼈다 정답: 싫증(o) - [명사] 싫은 생각이나 느낌. 또는 그런 반응. - 싫症(증세 증) - 고유어 싫 + 한자어 症 ex) · 싫증이 나다. · 싫증을 내다. · 그는 매일 반복되는 생활에 싫증을 느끼고 있다. cf. 실증 - [명사] 확실한 증거. - 실제로 증명함. 또는 그런 사실. - 어떤 명제의 참, 거짓을 사실에 비추어 검사하는 일. - 實證(열매 실 / 증거 증) ex) · 그 의원이 풀려났다는 것은 혐의가 없다는 것의 실증이다. · 이 책의 저술자는 실증주의 사관에서 역사를 보고 있다. ※ '싫증'과 '실증'은 모두 있는 말이지만, 의미가 다르다. 출처: 싫증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

우리말doit 2023.10.18

동거동락 vs 동고동락

(문제) 우리는 평생 동안 동거동락하기로 맹세했다 vs 우리는 평생 동안 동고동락하기로 맹세했다 정답: 동고동락(o) - [명사]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함. - 同苦同樂(같을 동 / 괴로울 고 / 같을 동 / 즐길 락) - 동거동락(x) ex) · 그 신부는 생활이 어려운 노동자들과 동고동락을 해 왔다. · 삼십 년 동안 동고동락해 온 부인과 사별하다. ※ '동고동락'의 '고'는 '괴로울 고( 苦 )' 한자이다.'동거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출처: 동고동락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18

환골탈태 vs 환골탈퇴

(문제) 환골탈태 vs 환골탈퇴 정답: 환골탈태(o) - [명사] 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 - 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이 됨. - 換骨奪胎(바꿀 환 / 뼈 골 / 빼앗을 탈 / 아이 밸 태) - 환골탈퇴(x) ex) · 공기업들도 환골탈태의 변화를 하지 않을 수 없다. · 사회가 한 단계 더 높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모든 면에서 환골탈태해야 한다. 출처: 환골탈태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17

바라다 vs 바래다

(문제) 내가 바라온 행복 vs 내가 바래온 행복 정답: 바라다(o) - [동사]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 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 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ex) · 요행을 바라다. · 너의 성공을 바란다. · 돈을 바라고 너를 도운 게 아니다. · 우리는 앞만 바라보며 죽을힘을 다해서 인왕산을 바라고 뛰었다. cf. 바래다 - [동사]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 - 볕에 쬐거나 약물을 써서 빛깔을 희게 하다. ex) · 색이 바래다. · 종이가 누렇게 바래다. · 속을을 볕에 바래다. ※ '바라다'와 '바래다'는 모두 있는 말이지만 뜻이 다르다. 출처: 바라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우리말doit 2023.10.17

눈물 자국 vs 눈물 자욱

(문제) 눈물 자국이 남다 vs 눈물 자욱이 남다 정답: 자국(o) - [명사] 다른 물건이 닿거나 묻어서 생긴 자리. 또는 어떤 것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가 달라진 흔적. - 부스럼이나 상처가 생겼다가 아문 자리. -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 - 무엇이 있었거나 지나가거나 작용하여 남은 결과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욱(x) ex) · 글씨 자국. · 수술 자국. · 눈 위에 자국을 내며 걷다. · 6·25 전쟁은 우리 역사에 커다란 자국을 남겼다. cf. 자욱하다 - [형용사] 연기나 안개 따위가 잔뜩 끼어 흐릿하다. ex) · 방 안에 담배 연기가 자욱하다. · 성 안팎 마을은 온통 밥 짓는 연기로 자욱했다. 출처: 자국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

우리말doit 2023.10.16

왠지 vs 웬지

(문제) 왠지 기분이 좋다 vs 웬지 기분이 좋다 정답: 왠지(o) - [부사]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 - 웬지(x) ex) · 그 이야기를 듣자 왠지 불길한 예감이 들었다. · 아내는 왠지 달갑지 않은 표정이다. · 매일 만나는 사람인데 오늘따라 왠지 멋있어 보인다. ※ '왠지'는 '왜인지'에서 줄어든 말이므로 '왠지'로 써야 한다. '웬지'는 잘못된 표기이다. 출처: 왠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웬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