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4/12/26 10

지청구란?

지청구  - [명사] 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는 말.  =꾸지람.  - 까닭 없이 남을 탓하고 원망함.  ex)    · 대불이는 고개를 들지 못한 채 숨을 죽였다. 말을 꺼냈다가는 또 무슨 지청구를 들을지 몰랐기 때문이다.    · 그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면 애꿎은 주변 사람들에게 지청구를 늘어놓았다.    · 중구난방으로 지청구가 많던 아낙네들이 그 수하에서 객소리 없이 가사에 열중하고 되었고.... cf. ‘지청구’와 ‘꾸중’과 ‘꾸지람’은 모두 표준어이다. 이는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6항)에 따른 것이다. 제26항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

우리말doit 2024.12.26

개발에 편자

"개발에 편자"는 격에 맞지 않는 상황이나 어울리지 않는 사물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속담입니다.1. 뜻"개발": 개의 발."편자": 말굽에 붙이는 쇳조각.개의 발에 편자를 붙이는 것이 불필요하고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상황에 맞지 않거나 어색한 경우를 빗대어 말합니다.2. 사용 예문그 사람이 명품 옷을 입으니 개발에 편자 같았다.최신 기술을 낡은 기계에 접목하려는 것은 개발에 편자나 다름없다.어울리지 않는 직책을 맡은 그를 보니 개발에 편자란 말이 떠올랐다.3. 비슷한 표현"돼지 목에 진주목걸이": 가치나 격이 맞지 않는 경우를 비유."소 귀에 경 읽기": 대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배보다 배꼽이 크다": 주된 것보다 부수적인 것이 더 크거나 과도한 경우.4. 현대적 해석"개발에 편자"는 현재에도 종..

우리말doit 2024.12.26

고주망태란?

고주망태는 술에 몹시 취한 상태를 의미하는 관용적 표현입니다. 술에 취해 정신을 제대로 차리지 못하거나 비틀거리는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1. 뜻고주: "술"을 뜻하는 옛말.망태: 물건을 담는 망으로 만든 자루. 여기서는 술에 취해 흐트러진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고주망태는 술에 취해 망태기처럼 흐트러진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2. 사용 예문그는 술을 너무 많이 마셔 고주망태가 되어 돌아왔다.친구가 고주망태가 되도록 마셔서 내가 데려다주었다.고주망태가 되기 전에 적당히 마시는 것이 좋다.3. 유사 표현만취: 술에 완전히 취한 상태를 가리키는 말.곤드레만드레: 술에 몹시 취해 비틀거리는 모습.취중: 술에 취한 상태.4. 관용적 의미단순히 술에 취한 상태뿐 아니라, 자제력을 잃고 흩어진 모습..

우리말doit 2024.12.26

가을걷이 vs 가을거지

"가을걷이"와 "가을거지"는 혼동하기 쉬운 표현이지만, 표준어는 "가을걷이"입니다.1. 가을걷이뜻: 가을철에 익은 곡식을 수확하는 일.농사의 마무리 단계로, 추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표준어로 인정된 형태입니다.예문:농부들은 아침부터 가을걷이에 나섰다.올해는 가을걷이도 풍년이 예상된다.2. 가을거지비표준어로, "가을걷이" 발음에서 비롯된 형태.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표준어로 사용하면 안 됩니다.3. 어원과 구성"가을걷이"는 "가을"과 "걷다"에서 파생된 표현으로, "가을에 곡식을 걷는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걷다"는 이 경우 "수확하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정리  "가을걷이"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하며, "가을거지"는 잘못된 표현임을 기억하세요! 😊

우리말doit 2024.12.26

철천지한(徹天之恨)이란?

철천지한(徹天之恨)은 "하늘에 사무칠 만큼 크고 깊은 원한이나 한"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극도로 강렬하고 풀기 어려운 원한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1. 뜻과 구성철(徹): 사무치다, 꿰뚫다.천(天): 하늘.지(之): ~의.한(恨): 원한이나 한.이런 구조로 이루어진 철천지한은 "하늘에까지 사무치는 한"이라는 뜻으로, 가장 깊고 영원히 잊지 못할 원한을 비유합니다.2. 사용 예문그는 형제를 잃은 것을 철천지한으로 여기며 복수를 다짐했다.그 사건은 사람들에게 철천지한으로 남았다.원수의 배신은 철천지한이 되어 가슴에 맺혔다.3. 유사 표현불구대천지원(不俱戴天之怨): 함께 하늘 아래 있을 수 없을 정도의 원한.원수(怨讐): 갚아야 할 깊은 원한을 가진 대상.4. 역사적 맥락과거에는 가문의 명예나..

우리말doit 2024.12.26

유복자(遺腹子)란?

유복자(遺腹子)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태어난 자식을 뜻합니다.이 단어는 한자로 "유(遺)"(남기다, 떠나다)와 "복(腹)"(배), "자(子)"(자식)가 합쳐져, "아버지가 남기고 떠난 뒤에 어머니 뱃속에 있던 자식"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1. 뜻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난 아이."유복자"는 특히 과거 유교 사회에서 주목받았던 개념으로, 아버지의 존재가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가졌기 때문에 더 자주 사용되었습니다.2. 예문그는 전쟁 중에 아버지를 여의고 유복자로 태어났다.이 소설의 주인공은 유복자로 태어나 할머니 손에서 자랐다.3. 역사적 맥락전통 사회에서 유복자는 흔히 특별한 보호와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는 아버지가 없는 상황에서도 아이가 가문의 명맥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

우리말doit 2024.12.26

미주알고주알이란?

미주알고주알은 자세한 사소한 것까지 모두 캐묻거나 말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말입니다.1. 뜻사소한 것까지 낱낱이 따지거나 캐묻는 모습.지나치게 세세한 이야기까지 모두 늘어놓는 행동.2. 어원"미주알"은 창자 속의 작은 부분을 뜻하며, 작고 사소한 것을 의미합니다."고주알"은 원래 "곱창"의 일부를 뜻했으나, 점차 세세한 것이라는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이 둘이 결합되어 사소한 것까지 일일이 따지거나 말하는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3. 사용 예문그는 미주알고주알 따지며 일처리를 복잡하게 만든다.어머니는 나의 하루 일과를 미주알고주알 물어보셨다.친구가 여행을 다녀와 미주알고주알 모두 이야기해 주었다.4. 유사 표현시시콜콜자잘자잘낱낱이미주알고주알은 친근한 대화 속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유어로, 상황에 따라 긍정..

우리말doit 2024.12.26

다디달다 vs 달디달다

"다디달다"와 "달디달다"는 모두 "아주 달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지만, 표준어는 "다디달다"입니다.1. 다디달다표준어로, "매우 달다" 또는 "아주 달콤하다"는 뜻.일반적으로 과일이나 음료처럼 단맛이 강한 음식을 표현할 때 사용.예문:이 꿀은 다디달다.봄에 나는 딸기가 다디달아서 맛있다.2. 달디달다비표준어로, "다디달다"의 잘못된 형태.발음상의 혼동으로 종종 사용되지만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음.3. 어원 및 형태"다디달다"는 강조의 접두사 '다디-'가 붙어 단맛을 강조한 표현입니다. '다디-'는 고유어로서, 같은 방식의 표현이 몇 가지 더 있습니다:다디달다 (아주 달다)다디다시다 (아주 맛이 좋다)올바른 사용표준어인 "다디달다"를 사용하며, "달디달다"는 잘못된 표현임을 주의해야 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6

유물론(唯物論)이란?

유물론(唯物論, Materialism)은 철학에서 모든 현상과 존재의 근본이 물질이라고 보는 사상입니다. 유물론은 세계와 인간의 모든 활동을 물질적 기반 위에서 이해하려는 관점으로, 정신이나 의식보다는 물질적 존재와 현실을 중시합니다.1. 유물론의 핵심 내용물질 우선의 원리물질이 정신보다 먼저 존재하며, 정신은 물질의 결과물로 나타난다고 봅니다.즉, 의식이나 관념은 물질적 현실의 반영일 뿐이라는 주장.현실 세계에 대한 과학적 접근세계를 초자연적이거나 신비적인 것으로 설명하지 않고, 과학적·경험적으로 이해하려 합니다.변증법적 유물론유물론이 마르크스주의 철학에서 발전하면서, 변증법적 유물론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었습니다. 이는 역사와 사회를 물질적 생산 관계에 의해 이해하는 방식입니다.2. 유물론의 역사적 흐..

곤욕 vs 곤혹

"곤욕"과 "곤혹"은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뜻과 쓰임새가 전혀 다릅니다.1. 곤욕(困辱)뜻: 심한 모욕이나 수치스러운 일을 당함.한자 의미: 困 (곤란할 곤) + 辱 (욕되게 할 욕)사용 예시:그는 억울하게 곤욕을 치렀다.예상치 못한 질문에 곤욕을 겪었다.2. 곤혹(困惑)뜻: 당황하거나 난처한 상황에 처해 어찌할 바를 모름.한자 의미: 困 (곤란할 곤) + 惑 (미혹할 혹)사용 예시:갑작스러운 상황에 곤혹스러워했다.그의 질문에 곤혹을 느꼈다.차이점 요약올바른 선택법"모욕"과 관련된 표현 → 곤욕"당황"과 관련된 표현 → 곤혹둘의 뜻과 맥락을 구분하여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