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926

새벽녘 vs 새벽녁

(문제) 새벽녘에 서리가 내렸다 vs 새벽녁에 서리가 내렸다 정답: 새벽녘(o) - [명사] 날이 밝아 올 무렵. ≒신명, 잔야, 효천. - 새벽녁(x) ex) · 새벽녘에야 간신히 잠이 들었다. · 새벽녘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 ‘녘’과 ‘녁’ 중에서 거센소리를 가진 ‘녘’만 표준어로 삼는다. 따라서 ‘새벽녘’과 ‘새벽녁’ 중에서 ‘새벽녘’만 표준어로 삼는다. 그리고 ‘새벽’과 ‘새볔’ 중에서 ‘새벽’만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 규정 2장 1절 3항) 제3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고 끄나풀 끄나불 나팔-꽃 나발-꽃 녘 녁 동~, 들~, 새벽~, 동틀 ~. 부엌 부억 살-쾡이 삵-괭이 칸 간 1. ~막이, 빈~, 방 한..

우리말doit 2024.01.08

열퉁적다 vs 열퉁쩍다

(문제) 그는 열퉁적은 말을 잘한다 vs 그는 열퉁쩍은 말을 잘한다 정답: 열퉁적다(o) - [형용사] 말이나 행동이 조심성이 없고 거칠며 미련스럽다. - 발음[열퉁적따] - 열퉁쩍다(x) ex) · 그런 식으로 열퉁적게 말참견만 하려면 내 방에서 나가거라. cf. ‘-적다/-쩍다’가 혼동될 수 있는 단어는, 첫째, [적다]로 발음되는 경우는 ‘적다’로 적고, 둘째, ‘적다[少]’의 뜻이 유지되고 있는 합성어의 경우는 ‘적다’로 적으며, 셋째, ‘적다[少]’의 뜻이 없이, [쩍다]로 발음되는 경우는 ‘쩍다’로 적는다. ‘열퉁쩍다/객적다’는 [열퉁적따]로 소리 나므로 ‘열퉁적다’로 적는다. ‘열퉁적다’의 의미로 ‘열통적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열퉁적다’만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규정 2장 4절 17항)..

우리말doit 2024.01.08

시계바늘 vs 시곗바늘

(문제) 시계바늘이 이미 오후 네 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vs 시곗바늘이 이미 오후 네 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정답: 시곗바늘(o) - [명사] 시간, 분, 초 따위를 가리키는 시계의 바늘. - 時計바늘(때 시 / 꾀할 계) - 발음[시계빠늘 / 시겓빠늘] - 시계바늘(x) ex) · 시곗바늘이 열두 시 정각을 가리키고 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

우리말doit 2024.01.08

메밀 vs 모밀

(문제) 시원한 메밀국수 vs 시원한 모밀국수 정답: 메밀(o) - [명사] 『식물』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40~70cm이고 대가 비어 있으며 곧고 흔히 붉은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세모꼴의 심장 모양으로 어긋나 있다. 7~10월에 흰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모여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검은빛의 세모진 모양이며, 줄기는 가축의 먹이로 쓰인다. 아시아 북중부가 원산지로 동부 아시아,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는데, 밭에 많이 심고 가물 때에는 논에 심기도 한다. ≒교맥, 목맥, 오맥. - 모밀(x) ex) · 밭에다 들깨, 메밀, 콩, 팥 등의 전곡을 심었다. · 여름에는 메밀가루를 내어 국수를 해 먹으면 좋다. · 한겨울에 창문 너머로 들려오던 메밀묵과 찹쌀떡 장수의 소리가 그..

우리말doit 2024.01.07

그윽이 vs 그윽히

(문제) 고귀한 향기가 그윽이 풍기었다 vs 고귀한 향기가 그윽히 풍기었다 정답: 그윽이(o) - [부사] 깊숙하여 아늑하고 고요하게. - 뜻이나 생각 따위가 깊거나 간절하게. - 은근한 느낌으로. - 발음[그으기] - 그윽히(x) ex) · 가끔 개 짖는 소리만 들릴 뿐, 시골의 겨울밤은 그윽이 깊어만 갔다. · 문득 해영이는 고개를 들어 동호를 그윽이 바라보았다. · 필운대의 명물인 만개된 살구꽃은 그윽이 그 빛을 자랑하고 있었다. 출처: 그윽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4.01.07

넓적다리 vs 넙적다리

(문제) 넓적다리가 굵다 vs 넙적다리가 굵다 정답: 넓적다리(o) - 다리에서 무릎 관절 위의 부분. - 넙적다리(x) ex) · 의자에 부딪혀 넓적다리에 멍이 들었다. · 성수는 바지를 넓적다리까지 걷어붙이고 논에 들어갔다. ※ 겹받침에서 뒤의 것이 발음되는 경우에는 그 어간의 형태를 밝히어 적고, 앞의 것만 발음되는 경우에는 어간의 형태를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습니다. '넓적하다, 넓적다리’를 ‘넙적하다, 넙적다리’로 적지 않는 이유는, 겹받침 ‘ㄼ’(넓-)에서 뒤의 ‘ㅂ’이 발음되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관련 규정: '한글 맞춤법' 제21항.) 출처: 넓적다리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넓적다리 넙적다리(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넓적다리'..

우리말doit 2024.01.06

허예지다 vs 허얘지다

(문제) 얼굴이 허예지다 vs 얼굴이 허얘지다 정답: 허예지다(o) - [형용사] 허옇게 되다. - 허얘지다(x) ex) · 나이가 들어 머리가 허예지다. · 갑작스럽게 다가선 불량배들의 협박에 그년는 얼굴이 허예져서 그만 주저앉고 말았다. ※ ‘허예지다’에서 ‘허예’는 ‘허옇다’에 ‘-어’가 결합하면서 ‘ㅎ’이 줄어든 것이므로 ‘허얘지다’나 ‘허옇지다’로 적지 않고 ‘허예지다’로 적는다. 이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16항)과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18항)에 따른 것이다. cf. 꺼메지다 - ..

우리말doit 2024.01.06

건데 vs 건대

(문제) 건데 그게 뭐였어요? vs 건대 그게 뭐였어요? 정답: 건데(o) - [부사] '그런데'의 준말. ex) · 그건 사실이긴 해. 건데 누가 그런 말을 하였지? cf. 그런데 - [부사] 화제를 앞의 내용과 관련시키면서 다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때 쓰는 접속 부사. - 앞의 내용과 상반되는 내용을 이끌 때 쓰는 접속 부사. ex) · 아 그렇군요. 그런데 왜 그 때는 말씀을 안 하셨습니까? · 동생은 벌써 숙제를 하고 나갔어요. 그런데 저는 아직도 숙제가 많이 남아서 놀 수가 없어요. cf. -건대 - [어미] 뒤 절의 내용이 화자가 보거나 듣거나 바라거나 생각하는 따위의 내용임을 미리 밝히는 연결 어미. ex) · 내가 보건대 철수는 장차 크게 될 아이이다. · 제발 바라건대 정신 좀 차려라...

우리말doit 2024.01.06

소시적 vs 소싯적

(문제) 나는 소시적에 글발깨나 날렸다 vs 나는 소싯적에 글발깨나 날렸다 정답: 소싯적(o) - [명사] 젊었을 때. - 少時적(적을 소 / 때 시) - 발음[소시쩍/소싣쩍] - 소시적(x) ex) · 나도 소싯적에는 한 번 본 것은 잘 잊어 버리지도 않았었어. · 그 애는 소싯적부터 기타를 끼고 살더니만 결국은 가수가 되었구나.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

우리말doit 2024.01.05

아스라이 vs 아스라히

(문제) 아스라이 보이는 산기슭 vs 아스라히 보이는 산기슭 정답: 아스라이(o) - [부사] 보기에 아슬아슬할 만큼 높거나 까마득할 정도로 멀게. - 기억이 분명하게 나지 않고 가물가물하게. - 먼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가 분명하지 아니하고 희미하게. - 발음[아스라이] - 아스라히(x) ex) · 파란 하늘에 하얀 줄을 끌며 비행기 한 대가 아스라이 선회하고 있었다. · 가물가물해 가는 의식 속 아스라이 남편의 눈먼 비참한 얼굴이 어른거렸다. · 웬 대낮 행상인의 커다란 목소리가 높은 담벼락 너머에서 아스라이 들려오고 있었다. 출처: 아스라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4.01.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