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998

부마항쟁이란?

부마항쟁(釜馬抗爭)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과 마산(현 창원) 지역에서 발생한 반독재 민주화 운동입니다. 당시 박정희 정부의 독재와 유신 체제에 반발하여 학생, 노동자, 시민들이 대규모로 참여한 저항 운동으로, 한국 민주화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습니다.1. 배경유신 체제의 탄압1972년, 박정희 대통령은 유신헌법을 통해 장기 집권 체제를 구축했습니다.언론 탄압, 집회·결사의 자유 제한, 정치적 반대 세력 탄압 등 독재적 통치가 강화되었습니다.경제적 불만1970년대 후반 경제 불황과 물가 상승으로 노동자와 서민들의 삶이 악화되었습니다.특히 부산과 마산은 산업 중심지로, 노동자 계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각했습니다.YH무역 사건1979년 8월, 여성 노동자들이 YH무역 폐업에 항..

YMCA란?

YMCA는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기독교 청년회"라고 불립니다. 1844년 영국 런던에서 설립된 국제적인 비영리 단체로, 청년들의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발전을 돕고, 기독교적 가치에 기반하여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YMCA의 설립과 역사설립 배경19세기 중반, 산업혁명으로 인해 도시로 몰려든 청년들이 열악한 노동 환경과 비인간적인 삶에 시달렸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조지 윌리엄스(George Williams)가 청년들의 신앙과 건강한 삶을 돕기 위해 YMCA를 설립했습니다.확장과 국제화YMCA는 설립 이후 빠르게 확산되어 유럽과 북미, 아시아 등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1855년 파리에서 첫 국제 YMCA 대회가 ..

계엄(戒嚴)이란?

계엄(戒嚴)은 비상사태 시 국가의 질서를 유지하고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군사적 통제를 통해 민간 활동을 제한하거나 중지시키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는 헌법에 따라 국가의 안녕과 공공질서를 위해 특별한 상황에서 시행됩니다.한자 풀이戒(경계할 계): 경고하고 조심하게 하다.嚴(엄할 엄): 엄중하고 강하게 다스리다.→ 계엄(戒嚴)은 "엄중히 경계하여 다스린다"는 뜻으로, 군사적 통제가 포함된 비상 대책을 의미합니다.계엄의 정의와 종류1. 정의계엄은 국가 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통상적인 법적 절차를 넘어 군의 권한을 확대하여 공공질서를 유지하는 제도입니다.2. 종류비상계엄: 전쟁, 내란, 또는 이에 준하는 중대한 사태로 인해 공공질서와 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있을 때 발동됩니다.예: 군대가 치안 유지 및 행정 기..

윤색(潤色)하다란?

[동사]  - 윤이 나도록 매만져 곱게 하다. ≒윤식하다.  - (비유적으로)사실을 과장하거나 미화하다.  - 潤色(윤택할 윤 / 빛 색)  ex)    · 소설의 줄거리를 윤색하다.    · 그는 들은 이야기를 윤색해서 들려주었다.    · 번역극을 다루다 보면 우리 실정에 맞는 내용의 윤색도 필요하다.    · 제정신 바로 박힌 보통 사람으로서는 상상도 못 할 두 가지 사건을 벌인 쌍칼 염상구에 대한 소문이 윤색까지 되어 퍼져 있었던 것이다.     출처: 윤색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윤색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2.12

요철(凹凸)이란?

[명사]  - 오목함과 볼록함. ≒철요.  - 凹凸(오목할 요 / 볼록할 철)  ex)    · 요철이 많은 비포장도로.    · 눈들이 바람에 날려 도랑과 웅덩이 따위의 요철 부분을 묻어 버려서 두 사람은 구덩이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스레 걸음을 옮겼다. 출처: 요철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요철(凹凸)은 표면이 고르지 않고, 오목하거나 볼록한 상태를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주로 물리적 표면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한자 뜻凹(오목할 요): 움푹 들어간 상태.凸(볼록할 철): 불룩 튀어나온 상태.이 두 글자가 합쳐져, 표면이 오목하고 볼록하게 불규칙한 상태를 나타냅니다.요철의 예시도로 표면도로가 파손되어 요철이 생기면 차량이 지나갈 때 충격이 발생합니다.예: "요철이 심한..

우리말doit 2024.12.12

관자놀이 vs 관자노리

(문제) 관자놀이가 아프다 vs 관자노리가 아프다  정답: 관자놀이(o)  - [명사] 귀와 눈 사이의 맥박이 뛰는 곳. 그곳에서 맥박이 뛸 때 관자가 움직인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 발음[관자노리]  - 관자노리(x)  ex)    · 광양 현감 어영담은 망건편자 위로 핏줄이 힘차게 솟아서 관자놀이가 불끈불끈 뛴다.     출처: 관자놀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2.12

구안와사 vs 구완와사 vs 구안괘사

(문제) 구안와사에 걸리다 vs 구완와사에 걸리다 vs 구안괘사에 걸리다 정답: 구안와사(o), 구안괘사(o)  - 얼굴 신경 마비 증상. 입과 눈이 한쪽으로 틀어지는 병이다.  - 口眼喎斜(입 구 / 눈 안 / 입비뚤어질 와 / 비낄 사)  - 口眼喎斜(입 구 / 눈 안 / 입 삐뚤어질 괘 / 비낄 사)  - 구완와사(x)  cf. ‘구안와사’와 ‘구안괘사’는 모두 표준어이다. 이는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6항)에 따른 것이다. ‘구안와사’는 예전에는 비표준어였으나 국어심의회(2014. 8. 29.)의 결정에 따라 표준어로 인정되었다. 출처: 구안와사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

우리말doit 2024.12.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