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법률

유언상속 vs 법정상속 vs 유류분 제도

고고두잇 2024. 11. 24. 21:16
728x90
반응형

 

 

상속의 개념과 사례를 금액을 대입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상속은 보통 재산이나 권리를 물려주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는 민법이나 세법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주제입니다. 다음은 상속의 몇 가지 예시입니다.


1. 유언 상속

고인이 생전에 유언장을 작성하여 특정한 사람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경우입니다.
예시:

  • 고인이 10억 원의 자산(부동산 7억 원, 예금 3억 원)을 남겼습니다.
  • 유언장을 통해, 50%는 장남에게, 30%는 딸에게, 나머지 20%는 사회 단체에 기부하도록 지정했습니다.

분배:

  • 장남: 5억 원
  • 딸: 3억 원
  • 사회단체: 2억 원

2. 법정 상속

고인이 유언 없이 사망했을 때, 법정 상속 순위와 비율에 따라 재산이 나누어집니다.
예시:

  • 고인이 배우자와 두 자녀를 남기고 사망했으며, 12억 원의 자산(부동산 8억 원, 현금 4억 원)을 보유했습니다.

법정 상속 비율:

  • 배우자: 1.5 (법정 상속 지분에서 50% 우선 배정)
  • 자녀: 각각 1씩 나눔

분배:

 

  • 배우자: 5,142,857,143원
  • 첫째 자녀: 3,428,571,429원
  • 둘째 자녀: 3,428,571,429원

 

 


3. 유류분 제도 (필수 상속분 청구)

법정 상속인의 최소 몫(유류분)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예시:

  • 고인(A)이 10억 원의 자산을 전부 제3자(친구)에게 유언으로 물려주었습니다.
  • 법정 상속인은 배우자(B)와 두 자녀(C,D)입니다.

유류분 비율:

  • 배우자(B): 법정 상속분의 50%
  • 자녀(C): 법정 상속분의 50%
  • 자녀(D): 법정 상속분의 50%

계산:

  1. 법정 상속분:
    • 배우자(B): 약 4억2천857만원
    • 자녀(C): 약 2억8천571만원
    • 자녀(D): 약 2억8천571만원
  2. 유류분:
    • 배우자(B): 약 4억2천857만원 × 50% = 214,285,000원
    • 자녀(C): 약 2억8천571만원 × 50% = 142,855,000원
    • 자녀(D): 약 2억8천571만원 × 50% = 142,855,000원

 


이런 방식으로 상속 사례를 현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상황과 법률 적용에 따라 세부 사항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