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외래어 표기 2

플래카드 vs 플랭카드

"플래카드"가 표준어이고, "플랭카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아래에서 두 표현의 차이와 올바른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플래카드" (표준어)정의플래카드 (placard)는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주로 글씨나 메시지가 적힌 큰 천이나 판을 걸어놓아 홍보, 광고, 항의, 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구를 뜻합니다.사용 예문"행사장 입구에 축하 플래카드가 걸려 있었다.""그는 시위에서 커다란 플래카드를 들고 구호를 외쳤다."2. "플랭카드" (비표준어)"플래카드"의 발음을 잘못 옮겨 적은 비표준 표현입니다.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placard는 "플래카드"로 표기해야 올바릅니다.3. 왜 "플래카드"가 맞는 표현인가?외래어 표기법외래어 표기법은 원어 발음을 최대한 반영하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

우리말doit 2024.12.08

어묵 vs 오뎅

(문제) 어묵으로 국을 끓이다 vs 오뎅으로 국을 끓이다  정답: 어묵(o)  - [명사] 생선의 살을 으깨어 소금 따위의 부재료를 넣고 익혀서 응고시킨 음식. 원래 일본 음식으로서 으깬 생선 살을 대꼬챙이에 덧발라 구운 데서 비롯하였으며, 나무판에 올려 찌거나 기름에 튀겨서 만들기도 한다. ≒생선묵.  - 魚묵(물고기 어)  - 오뎅(x)  ex)    · 어묵을 조리다.  출처: 어묵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오뎅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묵 vs 오뎅1. 표준어와 비표준어어묵: 표준어오뎅: 비표준어 (일본어에서 유래)2. 어원어묵(魚墨):'어(魚)'는 물고기, '묵(墨)'은 묵처럼 만든 음식이라는 뜻.원래 생선살을 갈아 밀가루, 전분 등을 섞어 만든 ..

우리말doit 2024.12.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