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생선 2

임연수어 vs 이면수

1. 임연수어 (표준어)표준어: 국립국어원이 정한 올바른 명칭.학명: Pleurogrammus azonus특징:도루묵과에 속하는 생선으로, 주로 찜, 구이, 조림 요리로 사용됨.북태평양 지역, 특히 한국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는 어종.비늘이 작고 몸이 길며 맛이 고소하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예문:"임연수어 구이를 먹으니 정말 맛있더라.""시장에서 신선한 임연수어를 샀다."2. 이면수 (비표준어)비표준어: "임연수어"의 잘못된 발음이나 표기에서 비롯된 표현.혼용 사례:일상적으로 "이면수"라는 표현이 흔히 사용되었으나, 표준어는 아님.일부 지역에서 구어적으로 많이 쓰였던 형태입니다.왜 "임연수어"가 표준어인가?어원적 이유:"임연수어(林延水魚)"라는 한자어에서 비롯되었으며, 한자의 뜻은 "숲(임) 근처(연)에 ..

우리말doit 2025.01.10

식혜 vs 식해

식혜 - [명사] 우리나라 전통 음료의 하나. 엿기름을 우린 웃물에 쌀밥을 말아 독에 넣어 더운 방에 삭히면 밥알이 뜨는데, 거기에 설탕을 넣고 끓여 차게 식혀 먹는다. - 食醯(먹을 식 / 식혜 혜, 식초 혜) ex) · 실백을 띄운 식혜를 한 사발 들이켜다. · 어머니는 제사상에 올릴 식혜를 담그고 계신다. 식해 - [명사] 생선에 약간의 소금과 밥을 섞어 숙성시킨 식품 - 食醢(먹을 식 / 육장 해, 젓갈 해) ex) · 겨울철 원기 회복엔 가자미식해가 제일이지. · 도루묵조림과 말린명태무침, 가자미식해와 냉이무침까지 상다리가 휠 정도다. ※ '식혜'와 '식해'는 모두 있는 말이며, 의미가 다르다. 식혜: 음료수 식해: 생선 출처: 식혜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

우리말doit 2023.10.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