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이시옷 규정 3

머리돌 vs 머릿돌

(문제) 건물 앞에 머리돌을 세웠다 vs 건물 앞에 머릿돌을 세웠다  정답: 머릿돌(o)  - [명사] 『건설』 정초식(定礎式) 때, 연월일 따위를 새겨서 일정한 자리에 앉히는 돌.  - 발음[머리똘/머릳똘]  - 머리돌(x)  ex)    · 머릿돌을 얹다. 출처: 머릿돌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사이시옷 규정에 따른 설명국립국어원의 사이시옷 표기 원칙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사이시옷을 받습니다.합성어일 것‘머릿돌’ = ‘머리’ + ‘돌’ → 합성어 ✅앞 단어가 순우리말일 것‘머리’(순우리말) + ‘돌’(순우리말) → ✅뒷 단어가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거나 된소리, 거센소리가 날 것‘돌’은 ‘ㄷ’으로 시작하는 단어 → ✅실제 발음: [머리똘] (된소..

우리말doit 2025.02.27

눈엣가시 vs 눈에가시

(문제) 눈엣가시 같은 존재 vs 눈에가시 같은 존재  정답: 눈엣가시(o)  - [명사] 몹시 밉거나 싫어 늘 눈에 거슬리는 사람. ≒안중정.  - 남편의 첩을 이르는 말.  - 발음[누네까시 / 누넫까시]  - 눈에가시(x)  ex)    · 눈엣가시로 여기다.    · 사사건건 참견하는 그녀가 눈엣가시였다. 출처: 눈엣가시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사이시옷 규정과 "눈엣가시" 설명1. 사이시옷의 역할사이시옷은 두 단어가 결합할 때, 발음을 부드럽게 연결하거나 뜻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합성어에서 나타나며, 다음 경우에 사용합니다:2.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조건고유어+고유어의 결합앞 단어가 받침으로 끝나는 경우뒤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며, 거센소리(ㅋ,ㅌ)로 변..

우리말doit 2024.12.04

대가 vs 댓가

(문제)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받다 vs 노동의 댓가로 임금을 받다 정답: 대가(o) - [명사] 물건의 값으로 치르는 돈. - 일을 하고 그에 대한 값으로 받는 보수. - 노력이나 희생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결과. 또는 일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하는 노력이나 희생. - 발음[대까] - 代價(대신할 대 / 값 가) - 댓가(x) ex) · 물품의 대가를 지불하다. ·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대가를 치러야 하는 법이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

우리말doit 2023.11.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