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998

연애 vs 연예

(문제) 청춘남녀의 재미있는 연애담 vs 청춘남녀의 재미있는 연예담  1. 연애 (戀愛)의미: 남녀 간의 사랑을 뜻하며, 주로 이성 간의 감정적 교류나 연인 관계를 의미합니다.어원: 한자 "戀(그리워할 연)" + "愛(사랑 애)".사용 예문:"둘은 오랫동안 연애를 해 왔다.""연애를 시작한 지 벌써 1년이 지났다."확장 의미: 이성 간의 사랑뿐 아니라, 어떤 대상을 열정적으로 사랑하거나 몰두하는 경우에도 쓰일 수 있음.예: "그의 연애는 책이었다." (책에 대한 사랑)2. 연예 (演藝)의미: 대중을 즐겁게 하기 위해 행하는 예술 활동, 즉 공연, 연기, 노래, 춤 등의 대중 예술을 뜻합니다.어원: 한자 "演(펼 연)" + "藝(예술 예)".사용 예문:"그는 연예계에서 활동 중인 배우다.""연예 기사를 읽..

우리말doit 2024.12.31

부항 vs 부황

(문제) 한의원에서 부항을 떴다 vs 한의원에서 부황을 떴다  정답: 부항(o)  - [명사] 부항단지에 불을 넣어 공기를 희박하게 만든 다음 부스럼 자리에 붙여 부스럼의 고름이나 독혈을 빨아내는 일.  - 부항을 붙이는 데 쓰는 작은 단지. =부항단지.  - 附缸(붙을 부 / 항아리 항)  ex)    · 부항 치료.    · 부항 자국이 선명하다.    · 허리가 아파서 부항을 뜨고 물리 치료를 받았다.   cf. 부황(浮黃)  - [명사] 오래 굶주려서 살가죽이 들떠서 붓고 누렇게 되는 병. ≒부황병.   - 浮黃(뜰 부 / 누를 황)  ex)    · 부황이 나다.    · 부황이 들다.    · 보릿고개라 하도 못 먹어 누렇게 부황이 나고 굶주림에 지쳐 흙을 파 먹는 사람들도 있었다.   출처:..

우리말doit 2024.12.30

북어국 vs 북엇국

(문제) 북어국으로 해장이 안될 정도다 vs 북엇국으로 해장이 안될 정도다  정답: 북엇국(o)  - [명사] 북어를 잘게 뜯어 파를 넣고 달걀을 풀어 끓인 장국. ≒북어탕.  - 발음[부거꾹/부걷꾹]  - 北魚국(북녘 북 / 물고기 어) cf. 순 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기 때문에 '북엇국'으로 표기합니다.

우리말doit 2024.12.29

돌림방 vs 돌림매

(문제) 돌림방을 맞다 vs 돌림매를 맞다  정답: 돌림매(o)  - [명사] 한 사람을 여러 사람이 돌아가며 때리는 매.  - 여러 사람을 한 사람 한 사람씩 차례로 돌아가며 때리는 매.  ex)    · 패거리들에게 돌림매를 맞다.    · 볼기가 맞고 싶거든 이 자리에라도 엎드려라. 돌림매로 실컷 때려 줄 것이니. cf. 돌림방  - [명사] '윤간'을 속되게 이르는 말.  - → 돌림매. 출처: 돌림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돌림방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2.29

[책] 아버지의 해방일지

ㅁ 책이름 : 아버지의 해방일지ㅁ 저자 : 정지아 책 소개: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저)《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정지아 작가의 장편소설로, 아버지의 죽음을 맞이한 딸이 남긴 기록과 회고를 통해 개인의 역사와 사회적 맥락을 교차시켜 서술한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가족사와 한국 현대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인간적 갈등과 화해, 그리고 기억에 대한 이야기를 그려냅니다.주요 내용 요약주요 인물:아버지: 조선의 공산주의 운동에 몸담았던 인물로, 자신의 신념과 가족 간의 갈등을 겪으며 살아온 삶을 반추하게 되는 중심적 인물.딸: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그의 삶을 이해하고 과거를 재평가하며 자신의 삶과 아버지의 역사를 연결하는 화자.줄거리 요약:아버지가 생을 마감하면서, 딸은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아버지의 삶과..

독서doit 2024.12.28

어깃장 vs 어깃짱

어깃장과 어깃짱 중에서 표준어는 어깃장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어깃장표준어: 어깃장의미:남의 말이나 행동에 고분고분 따르지 않고 반대로 어기거나 방해하는 태도나 행동을 의미합니다.주로 반항하거나 고의로 반대되는 행동을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예문:"그는 회의 중 계속 어깃장을 놓으며 논의를 방해했다.""어깃장을 놓지 말고 협조 좀 해라."2. 어깃짱비표준어: 어깃짱은 잘못된 표현입니다.발음상의 착오로 인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표준어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요약올바른 표현은 어깃장이며, 문맥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

우리말doit 2024.12.27

인두껍 vs 인두겁

인두껍과 인두겁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표준어는 인두겁입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인두겁표준어: 인두겁의미:사람의 겉모습이나 얼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특히 사람의 탈을 쓴 겉모습을 뜻하며, 부정적인 의미로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사람답지 못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비난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어원:'인두(人頭)'는 사람의 머리, '겁'은 껍데기를 뜻하므로, '사람의 껍데기'라는 의미입니다.예문:"인두겁을 쓰고도 그런 짓을 하다니, 정말 사람이라고 볼 수 없다.""인두겁만 썼을 뿐, 그 행동은 짐승보다 못하다."2. 인두껍비표준어: 인두껍은 잘못된 표현입니다.'껍'은 '껍데기'를 뜻하기는 하지만, 표준어로는 인두겁만이 인정됩니다.요약 따라서 올바른 표현은 인두겁입니다. 😊

우리말doit 2024.12.27

질곡(桎梏)이란?

질곡  - [명사] 옛 형구인 차꼬와 수갑을 아울러 이르는 말.  - 몹시 속박하여 자유를 가질 수 없는 고통의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桎梏(차꼬 질 / 수갑 곡)  ex)    · 질곡의 세월.    · 질곡에서 벗어나다.    · 질곡에 빠지다. cf. 차꼬  - [명사] 죄수를 가두어 둘 때 쓰던 형구(刑具). 두 개의 기다란 나무토막을 맞대어 그 사이에 구멍을 파서 죄인의 두 발목을 넣고 자물쇠를 채우게 되어 있다. ≒족가, 족계.  출처: 질곡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4.12.27

족대 vs 쪽대

족대와 쪽대는 둘 다 비슷한 발음이지만, 실제로는 족대는 표준어로 존재하는 반면, 쪽대는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아래에서 정확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족대의미:물고기나 작은 수생 동물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주로 그물망이 달린 막대로, 얕은 물가에서 물고기, 새우, 게 등을 잡는 데 사용됩니다.전통적인 어업 도구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예문:"그는 족대를 들고 냇가로 갔다.""족대질로 작은 물고기를 잡았다."2. 쪽대의미:표준어로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만약 특정 지역이나 구어체에서 사용된다면 그 의미를 문맥에 따라 유추해야 합니다.흔히 발음상의 착오로 혼동되거나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결론족대: 표준어로, 물고기를 잡는 도구를 의미.쪽대: 표준어가 아니며, 특정 맥락이나 방언일..

우리말doit 2024.12.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