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998

들입다 vs 드립다

(문제) 들입다 뛰다 vs 드립다 뛰다  정답: 들입다(o)  - [부사] 세차게 마구. ≒들이.  - 발음[드립따]  - 드립다(x)  ex)    · 이번 일은 들입다 고생만 했지 보람이 없다.    · 그는 목이 탔는지 물을 입에 들입다 부었다. cf. 딥다  - [부사] '들입다'의 준말.  ex)    · 고향에 쉬러 내려갔다가 딥다 고생만 했다. 출처: 들입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2

투박하다란?

투박하다  - [형용사] 생김새가 볼품없이 둔하고 튼튼하기만 하다.  - 말이나 행동 따위가 거칠고 세련되지 못하다.  - 발음[투바카다]  ex)    · 투박하게 짠 양말.    · 투박하고 거무튀튀한 손등.    · 여인은 조금 전에 쓰던 투박한 사투리를 접어 두고 상냥하고 부드럽게 말을 건네고 있었다. 출처: 투박하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2

상고란?

📌 상고란?상고(上告)는 항소심(2심) 판결에 불복하여 대법원(최고법원)에 다시 판단을 요청하는 절차입니다.즉, 2심(고등법원) 판결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대법원에서 다시 판단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고의 주요 특징최종심(3심제)의 마지막 단계우리나라 법원 구조는 1심(지방법원) → 2심(고등법원) → 3심(대법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상고는 마지막 재판 단계이므로, 여기서 결정된 판결은 최종 확정됩니다.법적 근거형사소송법 및 민사소송법에서 상고 절차를 규정하고 있습니다.형사소송법 제383조 등에 따라, 상고는 법률 심사만 가능합니다.상고의 이유법리오해: 법 적용을 잘못한 경우헌법 또는 법률 위반: 판결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배된 경우절차 위반: 재판 과정에서 중대한 절차상의 ..

항소란?

📌 항소란?항소(抗訴)는 제1심 법원의 판결에 불복하여 상급 법원에 다시 재판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즉, 1심(지방법원) 판결에 대해 피고인 또는 원고가 2심(고등법원)에서 다시 심리해 달라고 요구하는 법적 절차입니다.📜 항소의 주요 특징1심 판결에 대한 불복 절차원고나 피고가 1심 판결이 부당하다고 생각할 경우, 상급 법원(고등법원)에 다시 판단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법적 근거우리나라에서는 형사소송법 및 민사소송법에서 항소 절차를 규정하고 있습니다.형사소송법 제358조(항소제기기간)에 따라 1심 판결 후 7일 이내에 항소해야 합니다.항소의 이유사실오인: 법원이 잘못된 사실을 인정하여 판결했을 경우법리오해: 법 적용을 잘못했을 경우양형 부당: 형량(징역, 벌금 등)이 너무 가볍거나 무거울 경우항..

낭보란?

낭보  - [명사] 기쁜 기별이나 소식.  - 朗報(밝을 낭 / 갚을 보)  ex)    ·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리나라 농구 팀이 우승했다는 낭보가 전해졌다.    · 기상청은 가뭄에 시달리는 농민들에게 며칠 내로 비가 올 것이라는 낭보를 띄웠다.    · 계획대로 일을 완수 했다는 낭보를 접하고 모두 환호성을 올렸다. cf. 비보  - [명사] 슬픈 기별이나 소식.  - 悲報(슬플 비 / 갚을 보)  ex)    · 대불이는 한대두 영감이 죽었다는 비보를 듣자 마음이 울적해졌다.  출처: 낭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비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2

천둥벌거숭이란?

[명사]  - 철없이 두려운 줄 모르고 함부로 덤벙거리거나 날뛰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ex)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더니, 어디서 또 이런 천둥벌거숭이들이 뛰어들지?    · 천둥벌거숭이 같은 자식 놈을 생각하니 눈앞이 캄캄한 느낌입니다. 1. 사람을 비유하는 뜻 (비유적 표현)철없이 덤벙대거나 막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특히, 예의가 없거나 서투른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합니다.예시:"그 친구는 너무 덤벙거려서 마치 천둥벌거숭이 같아.""처음 도시로 나온 촌뜨기처럼 천둥벌거숭이처럼 굴지 마."2. 생물학적 의미 (실제 생물과 관련된 표현)애벌레 상태에서 성충이 된 지 얼마 안 된 곤충을 가리키기도 합니다.갑자기 성충이 되어 아직 날개도 단단하지 않고 적응이..

우리말doit 2025.03.02

원래 vs 월래

원래  - [명사]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  =본디.  - [부사] 처음부터 또는 근본부터. =본디.  - 元來/原來(으뜸 원 / 올 래 / 근원 원 / 올 래)  ex)    · 원래의 가격보다 훨씬 싸다.    · 계획은 원래대로 진행되었다.    · 원래부터 흰머리가 많던 설 박사는 지금은 머리털 전체가 하얀 은빛의 백발이 되어 버렸다.    · 그는 원래 서울 사람이다.    · 원래 기술 좋은 장인은 연장 탓하지 않는 법이다.    · 원래 네 물건이던 것을 저 마네킹이 강제로 빼앗아 갔으므로 그것을 되돌려받는다고만 생각해라.  월래  - [명사] 지난달 이래 지금까지 이르는 동안.  - 月來(달 월 / 올 래)  ex)    · 작업을 월래 해 오고 있지만, 예상보다 힘들어서 진척이 ..

우리말doit 2025.03.02

시금석이란?

[명사]  - 『광업』 귀금속의 순도를 판정하는 데 쓰는 검은색의 현무암이나 규질의 암석. 금이나 은 조각을 이 돌의 표면에 문질러 나타난 흔적의 빛깔과 표본의 금 빛깔을 비교하여 순도를 시험한다. =층샛돌.  - 가치, 능력, 역량 따위를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회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試金石(시험할 시 / 쇠 금 / 돌 석)  ex)    · 이번 총선은 민주주의의 발전 정도를 한 단계 높이거나 떨어뜨릴 수 있는 중요한 시금석이다.

우리말doit 2025.03.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