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보다싶이 이제 시작이야 vs 보다시피 이제 시작이야
정답: 보다시피(o)
cf. 동사 '보다'의 어간 '보-'에 '-는 바와 같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다시피'가 결합하면, '보다시피'가 됩니다.
📍 "보다시피" vs "보다싶이" 차이점
"보다시피" | ✅ 표준어 | 직접 보아서 알 수 있듯이 | "보다시피 여기는 아주 깨끗한 곳입니다." |
"보다싶이" | 🚫 비표준어 | "보다시피"의 잘못된 형태 | ❌ (틀린 표현) |
📍 왜 "보다싶이"는 틀릴까?
- "-싶이"라는 어미는 존재하지 않음
- "싶다"와 혼동하여 잘못된 형태가 굳어진 것
미 "-다시피"의 의미와 용법
✅ "-다시피"는 주로 동사 어간에 붙어, 어떤 사실을 경험하거나 간접적으로 인지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 문장에서 "이미 알고 있듯이", "직접 경험한 것처럼"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 "-다시피"의 쓰임
- 사실을 알고 있거나 경험하고 있음을 나타냄
- "알다시피" → "이미 알고 있듯이"
- 예: "여러분도 알다시피 이번 행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 "듣다시피" → "이미 들었듯이"
- 예: "방금 듣다시피, 회의 일정이 변경되었습니다."
- "보다시피" → "직접 보아서 알 수 있듯이"
- 예: "보다시피, 이곳은 공사 중입니다."
- "알다시피" → "이미 알고 있듯이"
- 어떤 행동을 거의 하다시피 함을 나타냄
- "죽다시피" → "거의 죽을 정도로"
- 예: "나는 그때 죽다시피 쓰러졌었다."
- "넘어지다시피" → "거의 넘어질 정도로"
- 예: "급하게 뛰어가다가 넘어지다시피 했다."
- "죽다시피" → "거의 죽을 정도로"
📍 "-다시피"의 특징
✔ 주로 알다, 듣다, 보다 같은 감각·인지 동사와 함께 쓰임
✔ 때로는 행위의 정도가 심함을 강조하는 데 사용됨
✔ 어미 "-다시피"를 사용할 때 문장의 맥락이 중요함
📌 결론
"-다시피"는 이미 알고 있거나 경험한 사실을 강조할 때 쓰이는 연결 어미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알다시피", "듣다시피", "보다시피" 등이 있으며, "보다싶이" 같은 표현은 틀린 말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728x90
반응형
'우리말do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혓바늘 vs 혀바늘 (0) | 2025.02.23 |
---|---|
집게발 vs 집개발 (2) | 2025.02.22 |
-구만 vs -구먼 (1) | 2025.02.20 |
천정부지 vs 천장부지 (2) | 2025.02.19 |
여의다 vs 여위다 (2)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