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표준어규정 4

딴전 vs

(문제) 딴전을 부리다 vs 딴청을 부리다  정답: 딴전(o), 딴청(o)  - [명사] 어떤 일을 하는 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이나 행동.  ≒딴청.  ex)    · 딴전을 보다.    · 딴전을 벌이고 있는지 모르겠다.      cf. 딴청  - [명사] 어떤 일을 하는 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 없는 일이나 행동. =딴전.   ex)    · 딴청을 부리다.    · 딴청을 피우다.    · 딴청을 하다. cf. '딴청’과 ‘딴전’은 모두 표준어이다. 이는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6항)에 따른 것이다. 제26항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우리말doit 2024.12.07

시끌벅적 vs 시끌벅쩍

(문제) 시끌벅적한 잔치가 열렸다 vs 시끌벅쩍한 잔치가 열렸다  정답: 시끌벅적(o)  - [부사] 많은 사람들이 어수선하게 움직이며 시끄럽게 떠드는 모양.  - 발음[시끌벅쩍]  - 시끌벅쩍(x)  ex)    · 선생님이 나가자 아이들은 시끌벅적 떠들어 대기 시작하였다."시끌벅적"과 "시끌벅쩍" 중에서 올바른 표기는 "시끌벅적"입니다.시끌벅적정의: 많은 사람들이 떠들거나 여러 가지 소리가 섞여 매우 시끄럽고 떠들썩한 상태를 뜻합니다.표준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올바른 표현입니다.예시: "시끌벅적한 시장은 활기가 넘친다."시끌벅쩍잘못된 표현: "시끌벅쩍"은 비표준어로, 흔히 잘못 사용되는 형태입니다.표준어 규정"벅적"은 "벅적대다"에서 온 말로, 떠들썩한 상태를 나타냅니다."벅쩍"이라는..

우리말doit 2024.11.24

코보 vs 코주부

(문제) 옆집에 사는 코보 영감을 알지? vs 옆집에 사는 코주부 영감을 알지?  정답: 코주부(o)  - [명사] 코가 큰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코보(x)  ex)    · 코주부 영감.    · 중늙은이의 맞은편에 앉아 있는 그 나이 또래의 코주부가 막걸리 잔을 들며 말을 받았다.  cf. ‘코주부’는 표준어이고 ‘코보’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 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4항)에 따른 것이다. 표준어 규정 제24항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 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

우리말doit 2024.06.27

맹락 vs 맥락

(문제) 이야기에 맹락이 없다 vs 이야기에 맥락이 없다  정답: 맥락(o)  - [명사] 혈관이 서로 연락되어 있는 계통.  -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맥.  - 발음[맹낙]  - 脈絡(맥 맥 / 헌솜 낙 / 헌솜 락)  - 맹락(x)  ex)    · 맥락이 닿다.    · 그 문제는 문화적인 맥락에서 생각해야 한다.    · 경찰은 최근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같은 맥락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성을 뜻하는 단어는 '맥락'입니다.  cf. ‘맥락’의 의미로 ‘줄맥’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맥락’만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 규정 3장 4절 25항제25항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

우리말doit 2024.06.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