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98

얽매이다 vs 얽메이다

(문제) 지난 일에 얽매이다 vs 지난 일에 얽메이다 정답: 얽매이다(o) - [동사] 얽혀서 둘려 묶이다. ‘얽매다’의 피동사 - 마음대로 행동할 수 없도록 몹시 구속되다. - 발음[엉매이다] - 얽메이다(x) ex) · 그의 팔다리는 밧줄로 얽매여 있었다. · 그는 가족에게 얽매여 자신의 꿈을 포기하고 말았지만 결코 후회를 하지 않았다. · 늙은 장쇠 아비는, 인정에 얽매여 계집과 자식한테 지고 말았다. 출처: 얽매이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1.01

대가 vs 댓가

(문제)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받다 vs 노동의 댓가로 임금을 받다 정답: 대가(o) - [명사] 물건의 값으로 치르는 돈. - 일을 하고 그에 대한 값으로 받는 보수. - 노력이나 희생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결과. 또는 일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하는 노력이나 희생. - 발음[대까] - 代價(대신할 대 / 값 가) - 댓가(x) ex) · 물품의 대가를 지불하다. ·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대가를 치러야 하는 법이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

우리말doit 2023.11.01

고삿고기 vs 고사고기

(문제) 일을 쉽게 수습하기 위해 그들은 고삿고기가 될 사람을 노리고 있었다 vs 일을 쉽게 수습하게 위해 그들을 고사고기가 될 사람을 노리고 있었다 정답: 고삿고기(o) - [명사] 책임을 혼자 뒤집어쓰고 희생되는 사물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告祀고기(알리다 고 / 제사 사) - 발음[고사꼬기 / 고삳꼬기] - 고사고기(x) ex) · 맨 먼저 짐짝에서 끄집어내는 것은 도끼와 톱과 칼이요, 맨 먼저 그의 칼날에 고삿고기 되는 것은 다른 것 아닌 이 나무들이었다.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

우리말doit 2023.11.01

공사다망 vs 공사다마

(문제) 공사다망하신 중에도 이렇게 내하하여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vs 공사다마하신 중에도 이렇게 내하하여 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정답: 공사다망(o) - 공적 및 사적인 일 따위로 매우 바쁨. - 公私多忙(공평할 공 / 사사로울 사 / 많을 다 / 바쁠 망) - 공사다마(x) ex) · 모든 분들이 공사다망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사다망 중에도 틈을 내어 이렇게찾아와 주시기 감사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출처: 공사다망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1.01

와구와구 vs 아귀아귀

(문제) 밥을 와구와구 먹다 vs 밥을 아귀아귀 먹다 정답: 아귀아귀(o) - [부사] 음식을 욕심껏 입안에 넣고 마구 씹어 먹는 모양. - 발음[아귀아귀] - 와구와구(x) ex) · 그는 밥을 아귀아귀 먹어 대며 내심 화를 삭이고 있었다. · 그는 이제 더 이상 점잔을 뺄 수 없을 만큼 허기가 져서 닭 다리를 찢어서 아귀아귀 먹기 시작했다. · 학생들이 일제히 입들을 벌리고, 고구마튀김들을 아귀아귀 먹고 있다.

우리말doit 2023.10.31

조물락거리다 vs 조몰락거리다

(문제) 아이는 장난감을 조물락거리며 놀고 있었다 vs 아이는 장난감을 조몰락거리며 놀고 있었다 정답: 조몰락거리다(o) - [동사] 작은 동작으로 물건 따위를 자꾸 주무르다. - 발음[조몰락꺼리다] - 조물락거리다(x) ex) · 동생이 한동안 찰흙을 조몰락거리더니 귀여운 강아지를 만들어 냈다. 출처: 조몰락거리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조물락거리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31

공부벌레 vs 공붓벌레

(문제) 공부벌레 경식이는 날마다 도서관에서 산다 vs 공붓벌레 경식이는 날마다 도서관에서 산다 정답: 공붓벌레(o) - [명사] 공부만 파고드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발음(공부뻘레 / 공붇뻘레) - 工夫벌레(장인 공 / 남편 부) - 공부벌레(x) ex) · 아까 걘 공붓벌레인 데다가 선생한텐 아첨 대장이라고. cf. 사이시옷 조건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순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순우리말)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위의 2가지 기본 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음과 같이 소리 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

우리말doit 2023.10.31

콧망울 vs 콧방울

(문제) 콧망울을 벌름거리며 웃다 vs 콧방울을 벌름거리며 웃다 정답: 콧방울(o) - [명사] 코끝 양쪽으로 둥글게 방울처럼 나온 부분. - 콧망울(x) ex) · 콧방울이 크고 두둑해야 복이 있다고 한다. cf. 콧볼 - [명사] 코끝 양쪽으로 둥글게 방울처럼 나온 부분. ex) · 나는 콧볼이 펑퍼짐한 편이다. · 과거에는 넓은 콧볼을 선호했다. 출처: 콧방울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콧볼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사진 코 비강 해부학 구조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우리말doit 2023.10.31

누누이 vs 누누히

(문제) 누누이 말하다 vs 누누히 말하다 정답: 누누이(o) - [부사] 여러 번 자꾸. - 발음[누누이] - 누누히(x) ex) · 누누이 당부하다. · 누누이 타이르다. cf. -이 : 느긋이, 버젓이, 따뜻이, 의젓이, 반듯이, 깨끗이 -히 : 족히, 극히, 급히, 엄격히, 정확히, 특히, 속히, 솔직히, 출처: 누누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출처: 한글맞춤법 3장 6절 13항 한국어 어문 규범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10.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