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표준어 규정 25항 2

첫새벽 vs 신새벽

(문제) 첫새벽부터 어디 가니? vs 신새벽부터 어디 가니?  정답: 첫새벽(o)  - [명사] 날이 새기 시작하는 새벽.  - 발음[첟쌔벽]  - 신새벽(x)  ex)    · 첫새벽부터 들에 나가 일을 하다.    · 우리들이 기차에서 내린 것은 이제 막 어둠이 걷히려는 첫새벽이었다. cf. 날이 새기 시작하는 새벽을 일컬어, ‘첫새벽’이라 해야 옳다. 이를 한자 신(新)을 넣어 표현한 ‘신새벽’은 올바르지 못한 표현이다.표준어 규정 제4절 단수 표준어(어휘변화)제25항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출처: 첫새벽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4.07.23

맹락 vs 맥락

(문제) 이야기에 맹락이 없다 vs 이야기에 맥락이 없다  정답: 맥락(o)  - [명사] 혈관이 서로 연락되어 있는 계통.  -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맥.  - 발음[맹낙]  - 脈絡(맥 맥 / 헌솜 낙 / 헌솜 락)  - 맹락(x)  ex)    · 맥락이 닿다.    · 그 문제는 문화적인 맥락에서 생각해야 한다.    · 경찰은 최근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같은 맥락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성을 뜻하는 단어는 '맥락'입니다.  cf. ‘맥락’의 의미로 ‘줄맥’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맥락’만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 규정 3장 4절 25항제25항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

우리말doit 2024.06.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