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표준어 3

깅가밍가 vs 긴가민가

(문제) 약속 장소가 여기가 맞는지 깅가밍가하다 vs 약속 장소가 여기가 맞는지 긴가민가하다  정답: 긴가민가(o)  - 그런지 그렇지 않은지 분명하지 않은 모양. ≒기연미연.  - 깅가밍가(x)  ex)    · 골짜기에서 물 흐르는 소리란 그냥 꾸며 댄 말이었으므로 아씨는 되레 놀라면서 긴가민가 귀를 기울였다.  출처: 긴가민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깅가밍가"와 "긴가민가" 중에서 올바른 표기는 "긴가민가"입니다.긴가민가정의: 확실하지 않아 믿어지지 않거나 분명하지 않은 상태를 표현하는 말입니다.비슷한 말: 반신반의하다, 애매하다.예시: "그가 정말로 올지 긴가민가하다." (그가 정말 올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표준어: "긴가민가"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올바..

우리말doit 2024.11.24

신출나기 vs 신출내기

(문제) 그녀는 아직 신출나기라서 잘 모른다 vs 그녀는 아직 신출내기라서 잘 모른다  정답: 신출내기(o)  - [명사] 어떤 일에 처음 나서서 일이 서투른 사람.  - 新出내기(새로울 신 / 날 출)  - 신출나기(x)  ex)    · 신출내기 시절엔 실수를 했어도 실수인 줄 몰랐죠.    · 신출내기가 뭘 제대로 알겠나?    · 신출내기라고 얕보지 마세요. cf. ‘신출내기’가 표준어이고 ‘신출나기’는 비표준어이다. 이는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아니하되, 일부 단어의 경우 그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9항)에 따른 것이다. 출처: 신출내기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신출내기’의 뜻의..

우리말doit 2024.11.18

설거지 vs 설겆이

(문제) 설거지 vs 설겆이 정답: 설거지(o) - [명사] 먹고 난 뒤의 그릇을 씻어 정리하는 일. - 비가 오려고 하거나 올 때, 비에 맞으면 안 되는 물건을 치우거나 덮는 일. - 설겆이(x) ex) · 살림살이가 규모 있는 집일수록 잔치 설거지가 매서운 법이다. · 설거지를 끝내고 영선이 손을 닦으며 방에 들어왔을 때 사방에서 어둠이 밀려왔다.s 출처: 설거지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설겆이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09.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