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말 맞춤법 맞춤법 퀴즈 우리말 겨루기 3

민주주이 vs 민주주의

(문제) 우리나라는 민주주이국가다 vs 우리나라는 민주주의국가다  정답: 민주주의(o)  - [명사] 『정치』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는 제도. 또는 그런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 기본적 인권, 자유권, 평등권, 다수결의 원리, 법치주의 따위를 그 기본 원리로 한다. ≒민주.  - 발음[민주주의/민주주이]  - 民主主義(백성 민 / 주인 주 / 주인 주 / 옳을 의)  - 민주주이(x)  ex)    · 민주주의를 수호하다.    · 민주주의를 실현하다.    · 민주주의를 확립하다.  출처: 민주주의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민주주의"란?"민주(民主)": 국민이 주인이 되는 정치 형태"주의(主義)": 특정 사상이나 원칙을 따르는 체계즉, "민주주의(民主主義)..

우리말doit 2025.03.10

째 vs 채

(문제) 재산을 송두리째 빼앗겼다 vs 재산을 송두리채 빼았겼다  정답: 째(o)  - [접사]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대로', 또는 '전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ex)    · 그릇째.    · 뿌리째.    · 껍질째.   - [접사] (수량,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 또는 명사구 뒤와 수사 뒤에 붙어) '차례'나 '등급'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동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ex)    · 몇째.    · 두 잔째.    · 여덟 바퀴째.    · 사흘째.    · 며칠째.    · 다섯 달째. cf. 채  - [의존 명사] (‘-은/는 채로’, ‘-은/는 채’ 구성으로 쓰여)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 있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ex)    · 옷을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간다.    · ..

우리말doit 2025.03.04

들입다 vs 드립다

(문제) 들입다 뛰다 vs 드립다 뛰다  정답: 들입다(o)  - [부사] 세차게 마구. ≒들이.  - 발음[드립따]  - 드립다(x)  ex)    · 이번 일은 들입다 고생만 했지 보람이 없다.    · 그는 목이 탔는지 물을 입에 들입다 부었다. cf. 딥다  - [부사] '들입다'의 준말.  ex)    · 고향에 쉬러 내려갔다가 딥다 고생만 했다. 출처: 들입다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doit 2025.03.0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