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양 량 4

노동양 vs 노동량

(문제) 우리나라 평균 노동양 vs 우리나라 평균 노동양  정답: 노동량(o)  cf. '노동량'이 맞습니다. '량'은 한자어 다음에, '양'은 한자어를 제외한 고유어와 외래어 다음에 결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량"과 "양"의 구분 원칙"량(量)" → 한자어 다음에 붙음노동량, 배설량, 이동량, 소비량, 생산량"양(量)" → 고유어, 외래어 다음에 붙음커피 양, 칼로리 양, 데이터 양💡 기억하기 쉬운 팁:한자어 + 량고유어·외래어 + 양

우리말doit 2025.02.12

칼로리양 vs 칼로리량

(문제) 하루 칼로리양을 정한다 vs 하루 칼로리량을 정한다  정답: 칼로리양(o) cf. '칼로리양'이 맞습니다. '양'은 한자어를 제외한 고유어와 외래어 다음에, '량'은 한자어 다음에 결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양" vs. "량"의 차이순우리말 또는 외래어 + 양(O) / 량(X)"양"은 우리말이나 외래어와 결합할 때 사용한자어 + 량(O) / 양(X)"량(量)"은 한자어와 결합할 때 사용예: "섭취량(O)", "소비량(O)", "사용량(O)"

우리말doit 2025.02.01

산소량 vs 산소양

(문제) 산소량이 점점 줄어든다 vs 산소양이 점점 줄어든다  정답: 산소량(o)  - 산소량(x) cf. 산소  - [명사] 산소족에 속하는 비금속 원소, 또는 산소 원소로 만들어진 이원자 분자로, 공기의 주성분이면서 맛과 빛깔과 냄새가 없는 물질. 사람의 호흡과 동식물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기체로, 대부분의 원소와 잘 화합하여 산화물을 만들며, 화합할 때는 열과 빛을 낸다. 대기의 5분의 1, 지각 질량의 2분의 1을 차지하며, 고압이나 액체로 만들어 질식자의 치료, 산수소 불꽃, 산소아세틸렌 불꽃 따위에 쓰인다. 원자 기호는 O, 원자 번호는 8, 원자량은 16.  - 酸素(초 산 / 흴 소)  ex)    · 공기 중에 있는 산소의 농도.    · 산소가 부족하다.    · 산소를 공급하다...

우리말doit 2024.10.06

구름량 vs 구름양

(문제) 점차 구름량이 많아집니다 vs 점차 구름양이 많아집니다 정답: 구름양(o) - [명사] 구름이 하늘을 덮고 있는 정도. 구름이 온 하늘을 덮었을 때를 10, 구름이 전혀 없을 때를 0으로 하여 정수로 표시하며 그것은 눈으로 관측하여 정한다. ≒운량. - 구름量(헤아릴 양, 헤아릴 량) - 구름양(x) ※ ‘구름양(--量)’은 ‘구름량’으로 적지 않고 ‘구름양’으로 적는다. ‘量’이 고유어나 외래어와 결합할 때는 독립적인 단위로 인식되어 두음 법칙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cf. 고유어 + 量 = 양 외래어 + 量 = 양 한자어 + 量 = 량 ex) 구름(고유어) + 量 = 구름양 가사(家事, 한자어) + 量 = 가사량 노동(勞動, 한자어) + 量 = 노동량 출처: 구름양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

우리말doit 2024.01.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