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금 2

저리다 vs 절이다

(문제) 배추를 소금에 저리다 vs 배추를 소금에 절이다 정답: 절이다(o) - [동사] 푸성귀나 생선 따위를 소금기나 식초, 설탕 따위에 담가 간이 배어들게 하다. '절다'의 사동사. - 발음[저리다] ex) · 생선을 소금에 절이다. · 오이를 식초에 절이다. · ‘절이다’는 용언의 어간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그 어간을 밝혀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22항)에 따라 ‘저리다’로 적지 않고 ‘절이다’로 적는다. · ‘절이다’는 ‘저리다’와 구별하여 적어야 한다. ‘절이다’는 ‘절다’의 사동사로 ‘소금 따위를 배어들게 하다’라는 뜻을 나타내며 ‘배추를 소금에 절인다.’와 같이 쓴다. · ‘저리다’는 ‘쑤시듯이 아프거나 감각이 둔하다’라는 뜻을 나타내며 ‘오래 앉았더니 다리가 저리..

우리말doit 2023.12.11

웃소금 vs 윗소금

웃소금 vs 윗소금 정답: 웃소금(o) - 된장, 간장 따위를 담근 다음 그 위에 뿌리는 소금 - 윗소금(x) ex) · 웃소금을 흠뻑 뿌리면 곰팡이가 끼지 않는다. · 장을 담글 때에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웃소금을 넉넉히 뿌려 놓아야 한다. 출처: '웃소금': 네이버 국어사전 (naver.com) 사전 - 내용 보기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한국어 어문 규범 (korean.go.kr)

우리말doit 2023.08.29
728x90
반응형